안녕하세요.
“춘향이가 간다”와 “춘향이는 간다”는 뭔가가 다릅니다. 느낌만 다른 게 아니라는 말입니다.
‘가’냐, ‘는’이냐에 따라 문장의 초점이 달라지기 때문인데요.
‘춘향이가’는 ‘춘향이’에 정보의 초점이 맞춰집니다.
다음 대화에서 더 드러납니다.
“누가 가는 거야?”
“춘향이가 간다.”
여기선 ‘춘향이’가 정보의 중심이란 걸 알 수 있습니다. ‘가’는 이럴 때 붙습니다.
반면에 ‘춘향이는’은 ‘간다’에 초점이 있습니다.
다음에서 확인할수 있지요.
“춘향이는 어떻게 할 거 같아?”
“춘향이는 간다.”
이땐 ‘춘향이’보다 ‘간다’는 사실이 더 중요해 보입니다.
‘는’은 이처럼 서술어에 초점이 놓일 때 씁니다.
다음 문장도 마찬가지입니다.
“춘향이는 그네를 잘 탄다.”
이 문장의 초점도 춘향이에 있지 않고 ‘잘 탄다’에 있습니다.
“옛날에 몽룡이와 춘향이가 살았다.”
여기서 ‘춘향이가’ 대신 ‘춘향이는’이라고 한다면 어색해집니다.
‘춘향이’가 처음 나오는 상황이기 때문인데요.
이처럼 앞말이 첫 정보일 때는 ‘가’를 붙여야 자연스럽습니다.
‘춘향이는’은 ‘춘향이’가 재등장할 때 써야 어울립니다.
“춘향이가 살았다. 춘향이는 그네를 잘 탔다.”
둘째로 나오는 ‘춘향이’는 이미 알려진 정보가 되는 것이고 ‘는’은 이럴 때 써야 합니다.
“춘향이가 그네를 잘 탄다는 걸 몽룡이는 모른다.”
여기서도 ‘춘향이가’라야 자연스럽습니다.
이처럼 뒤에 오는 절에 안긴 앞의 절에도 ‘가’가 와야 어울립니다.
“너는 지는 해라면 그는 뜨는 해다”는 부자연스럽습니다.
‘너는’은 ‘네가’여야 합니다.
주체의 행위를 묘사하는 상황에서도 ‘가’가 어울립니다.
이때는 주체에 초점을 맞춰야 합니다.
“춘향이가 대표 선서를 하고 있다.” 이렇게 ‘춘향이가’라야 선서 장면이 선명해지는 겁니다.
'-는'과 '-은' 그리고 '-가'는 주어 뒤에 붙어서 행위의 주체를 분명하게 만드는 것이니
잘 구별해서 사용하기를 소망합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