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련동에 위치한 인천상륙작전기념관에 있는 전두환 전 대통령 기념석비와 기념식수비에 대한 논란이 뜨겁다.
노동당 인천시당은 지난 22일 보도자료를 내고 "인천시와 연수구청은 늦었지만 이제라도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의 전두환 석비와 기념식수비를 없애야 한다“면서 ”5·18 광주민주화운동 당시 수백명의 무고한 시민을 학살하고 다치게 했던 전두환이 인천에 남긴 흔적을 지우자"고 주장했다.
시당은 "사형선고까지 받았던 자신의 잘못을 여전히 인정하지 않고, 국민들을 분노케 하는 전두환의 흔적이 아직도 뻐젓히 인천에 존재한다는 것이 매우 부끄러운 일이 아닐 수 없고 5·18을 제압하기 위해 전두환은 계엄령을 내세워 당시 피해자들은 물론 학생과 시민들을 폭도로 내몰며 공수부대까지 동원한 무자비하게 무력으로 강경진압했다"며 "이 때 165명의 시민과 23명의 군인, 4명의 경찰관이 숨지고 23명이 실종됐으며 3000명 이상이 부상당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1996년 법원은 전두환에게 군 형법상 반란·내란 수괴 내란목적살인, 상관살해, 뇌물수수죄 등 10가지 죄목과 반란 및 내란중요임무종사, 뇌물수수죄 등 9가지 죄목을 모두 유죄로 인정하며 사형선고한 바 있다"고 덧붙였다.
대통령 재임 중 기업체 등으로 부터 받은 뇌물로 각각 받은 2205억원을 추징금으로 선고한 것도 이때였다.
또한 “아픈 역사지만 역사적 가치가 있으니 그대로 두자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의 전두환 석비와 기념식수비는 없애야 한다. 그 이유는 지금까지의 행태를 보면 전두환은 그래도 자신을 인정하고 있다고 착각할 수 있고 또한 자신의 권력욕으로 무고한 시민들을 학살시켜 사형선고까지 받았던 자의 석비와 기념식수비가 공존하는 것은 숭고하게 조국을 위해 목숨을 바친 국군들과 한국을 위해 목숨까지도 바쳤던 우방국들의 희생을 모독하는 것이기 때문”이라면서 “석비와 기념식수비를 나쁜 기념품으로 박물관에 보관하자는 주장이 있을 수도 있겠지만 나무는 생명이므로 그대로 놔두더라도 석비와 기념식수비는 없애는 것이 우리 자녀들에게 올바른 교육이 될 것입니다. 그대로 둔다면 인천시민들의 수치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시당은 인천상륙작전기념관의 전두환 석비와 기념식수비 제거에 대해 인천시와 연수구청의 즉각적인 조치를 강력히 촉구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