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시브하우스 컨셉으로 지어진 강화 ALC주택
강화 장화리에 저희 (주)ALCMATE가 패시브하우스 컨셉의 ALC주택을 완공,입주하였습니다.
패시브하우스는 높은 수준의 쾌적성과 매우 낮은 에너지 소비량을 결합한 것입니다. 패시브하우스는
탁월한 단열성능을 지닌 창문, 우수한 단열, 열교환기 사용등이 주된 요소입니다.
패시브하우스의 주된 컨셉은
1)매우 높은 수준의 단열성능
2)단열성능이 탁월한 3중유리가 장착된 창문사용
3)열교현상 방지
4)건축물의 기밀성능
5)효율성이 우수한 열교환기의 사용등입니다.
이러한 패시브하우스의 컨셉을 기초로 강화주택은 설계단계부터 에너지 절약을 위한 단열계획을
고려하였습니다.

1. 외벽 단열
외벽의 경우 단열성능이 높은 ALC블럭을 주벽체로 사용하였습니다. ALC블럭 두께 300mm를 채택하였는데
이때 U값=0.31 W/m2K 입니다. 열교현상을 억제하고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태두리보와 각벽의 모서리부분은
150mm 두께의 2종 비드법보온판을 부착하였습니다. 이로서 단열이 취약한 부분의 U값=0.12W/m2K를 얻을수
있었습니다.

보온판을 부착할때에도 장착용 앵커를 통한 열교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앵커를 보온판에 매립하고
외부를 별도의 단열재로 보강하는 Alsifix를 사용하였습니다.

Alsifix를 시공하는 동영상입니다.
2. 지붕단열
지붕은 두께 200mm의 ALC지붕슬라브 위에 별도의 단열재 그라스울 T100mm를 사용하였고
그 위에 공기층을 두고, 독일 Creaton사의 점토오지기와 FUTURA(동적색)을 사용하였습니다.
이때 지붕의 U값=0.19W/m2K를 얻을수 있었습니다.
또한 단열재에 의 한 단열성능 확보를 더하여 기와공사시 기와 하부에 70mm 정도의 공기층을 두어
처마에서 공기가 들어가 용마루에서 배출되는 순환시시템을 사용하였습니다. 이로서 지붕의 복사열을
차단할수 있도록 설계, 시공하였습니다.



처마의 환기용 공기층으로 지붕의 복사열을 차단할 뿐 아니라 실내의 습도도 조절하는 기능을 합니다.
3.창문
창문은 오스트리아의 Gaulhofer사의 3중단열유리가 장착된 "에너지라인(ENERGYLINE90)"을
사용하였고, 이창문은 3중으로 된 유리두께 42mm의 양면 Low E-coating이 되었으며, 아르곤가스가
주입되었습니다. 또한 PVC 프레임에도 별도의 단열처리가 된 두께 90mm의 창문입니다.
이창문의 U값=0.58W/m2K로 패시브하우스에서 정한 규격을 충분히 충족시킵니다.




장착된 창문들, 창문하부는 전용 창문씰을 사용하여 누수 및 기밀성능을 높일수 있었습니다.

4. 건축물의 기밀성능
지붕은 ALC지붕슬라브를 사용하였고, 각 슬라브는 맞춤접합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완벽한 기밀성능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다락방위의 지붕은 별도의 천정없이 독일 Alsecco사의 스프레이플라스터로 마감하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ALC지붕슬라브 위에는 별도의 투습쉬트를 깔아 기밀성능을 더하였습니다.


또한 창문 주위의 기밀성능 확보를 위해 창문 설치 후 마감시 코킹작업없이 독일의 Alsecco사의
전용 창문비드를 사용하여 창문이 마감재에 뭍혀버리는 공법을 채택하였습니다.

5. 환기
패시브하우스에서는 효율성능이 높은 열교환기의 사용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나, 본 프로젝트에서는
여러 사정으로 인해 열교환기를 사용하지 못하였습니다. 하지만 주택의 환기를 위한 보조장치로
기와공사시 독일 Creaton사의 특수 환기관용기와를 사용하였습니다. 실내의 습기를 방출하고
환기량을 늘릴수 있는 보조장치를 채택하였습니다.
특수 환기관용기와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하였습니다.
6. 바닥 점토축열판 사용
겨울철 난방시 난방효율을 높이기 위해 열전도가 좋고, 축열성능이 좋은 두께 20mm의 독일 Creaton사의
점토축열판 "CREAPUR"를 사용하였습니다. 독일에서 실험 결과 겨울철 난방을 작동한 후 적정실내온도에
도달하는데 기존공법의 4시간 보다 짧은 1시간 30밖에 되지 않습니다. 또한 순수 점토로 만들어져 친환경적인
무공해 자재입니다. 점토축열판은 별도의 마감재없이 노출하여 사용했기 때문에 경제성도 무척 좋은 편이
었습니다.
7. 창문 배열
에너지 절감을 위해 남향에는 많은 창문을 배치하고, 반대로 북향에는 가급적 청문의 수를 줄이거나
크기를 작게하였습니다. 또한 여름철 큰 창문을 통한 많은 일사량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고자
남측 창문 위에는 별도의 장식지붕을 만들었습니다.
남측에는 많은 대형크기의 창문을 설치하였습니다.
배면인 북측에는 창문을 가급적 설치하지 않았습니다.
여름철 햋빛이 깊게 들어오는 서측,동측의 창문 위에는 여름철 들어오는 일사량을 줄이기 위해 별도의 장식지붕을 설치하였습니다.
8. 외벽의 마감
여름철 강한 일사량을 차단하여 냉방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백색 위주의 독일 Alsecco사의 ALC전용마감재 알시톱(Alsitop)을 사용하였습니다. 외단열부분에는 최근 Alsecco사에서 개발하여 각광을 받고 있는 카본파이버가 혼입된 카본외단열마감시스템 “Alprotect Carbon”을 사용하였습니다. 이 외단열마감재는 외벽충격을 70J 정도까지 견딜수 있는 일반 외단열마감재에 비해 5~7배 정도의 충격강도를 나타내고 있어 기존 외단열마감재의 취약점을 크게 개선하였습니다.
9. 보조난방으로 사용된 벽난로
에너지 비용 절감 차원에서 보조난방 기구로 열효율이 매우 탁월한 독일 Kago사의 매립형 벽난로를 설치하였습니다. 독일에서는 주난방으로 사용되는 이 매립형벽난로는 열효율이 매우 높아 난방을 위해 최소의 장작으로 가동이 가능한 독일 명품 벽난로를 사용하였습니다. 이로서 전체 난방비를 크게 줄일수 있는 효과를 얻었습니다.
이번 강화주택의 경우에는 패시브하우스의 규격을 완벽히 충족시키지는 못하였으나, 저희 ㈜ALCMATE에서 10년 동안 축적된 기술을 접목시키는 프로젝트였으며, 에너지 절감과 쾌적성 향상을 위한 패시브하우스의 컨셉을 충족시키기 위해 설계부터 시공까지 기술분석과 정밀시공이 이루어 졌습니다. 이외의 저희 ㈜ALCMATE에서 시공한 많은 주택에서 패시브하우스 컨셉이 적용되고 있고, 최근 나주에서는 열교환기까지 설치된 보다 완벽한 패시브하우스를 지을수 있었습니다.
저희 (주)ALCMATE에서는 ALC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독일 점토블록등을 활용한 패시브하우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주)ALCMATE Tel.02-2168-3333~5
출처 :ALCMATE의 ALC주택 Story.. 글쓴이 : 에이엘씨메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