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번호 |
제목 |
저자 |
출판사 / 연도 |
NO1 |
대쥬신제국사1~2 |
김산호 |
동아출판사 / 1995 |
NO2 |
역사신문1~4 |
역사신문 편찬위원회 |
사계절 / 1998 |
NO3 |
세계사신문1 |
세계사신문 편찬위원회 |
사계절 / 1998 |
NO4 |
한국생활사박물관3 - 고구려생활관 |
한국생활사 편찬위원회 |
사계절 / 2001 |
NO5 |
동아시아적 관점에서본 한중일의 미술(자료) |
|
경기도박물관 / 2002 |
NO6 |
1만년 韓민족사 |
한정호 |
丹書 / 1997 |
NO7 |
잃어버린 단제1 |
한국유리민족사 연구회 |
청림출판 / 1995 |
NO8 |
뜻으로 본 한국역사 |
함석헌 |
한길사 / 2001 |
NO9 |
역사는 이상의 현실화 과정이다 |
강만길 |
창작과 비평사 / 2002 |
NO10 |
역사란 무엇인가 |
E.H Carr |
홍산문화사 / 2004 |
NO11 |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
Keith Jenkins |
혜안 / 2002 |
NO12 |
역사학을 위한 변론 |
Richard Evans |
소나무 / 2001 |
NO13 |
풀어쓴 한국의 신화 |
장주근 |
집문당 / 1998 |
NO14 |
한권으로 정리한 이야기 한국고대사 |
최범서 |
청아출판사 / 1999 |
NO15 |
중고생을 위한 한국사 명인전1 |
이은직 |
일빛 / 1990 |
NO16 |
한국사 100장면 |
박은봉 |
실천문학사 / 1997 |
NO17 |
나의문화유산 답사기1 |
유홍준 |
창작과 비평사 / 1996 |
NO18 |
신편 삼국사기(상)~(하) |
고전 연구실 옮김 |
신서원 / 2000 |
NO19 |
삼국유사 |
권상노 번역 |
삼원사 / 1995 |
NO20 |
국역 삼국사절요1 |
세종대왕기념 사업회 |
세종대왕기념 사업회 / 1996 |
NO21 |
원문 동이전 |
김재선 편저 |
서문문화사 / 2000 |
NO22 |
한글 동이전 |
김재선 번역 |
서문문화사 / 1999 |
NO23 |
환단고기 |
임승국 역주 |
정신세계사 / 1991 |
NO24 |
아방강역고 |
정약용 |
범우사 / 1999 |
NO25 |
국립중앙박물관(도록) |
|
1986 |
NO26 |
신채호 역사논설집 |
신채호 |
현대실학사 / 1995 |
NO27 |
단재 신채호의 「천고」 |
최광식 역주 |
아연출판부 / 2004 |
NO28 |
조선사 연구草 |
신채호 |
범우사 / 1997 |
NO29 |
조선 위인전 |
신채호 |
범우사 / 1997 |
NO30 |
지도로 보는 한국사 |
김용만 |
수막새 / 2004 |
NO31 |
전쟁으로 보는 한국사 |
김성남 |
수막새 / 2004 |
NO32 |
중 원 |
정용석 |
청노루 / 1995 |
NO33 |
고고학자 조유전의 한국사 미스테리 |
조유전 |
황금부엉이 / 2004 |
NO34 |
고대로부터의 통신 |
한국역사연구회 |
푸른역사 / 2004 |
NO35 |
조선상고사 |
신채호 |
일신서적 출판 / 1998 |
NO36 |
역주 조선상고사 상,하 |
신채호 |
신채호 기념사업회 / 1998 |
NO37 |
한국사4 - 고조선․부여․삼한 |
국사편찬 위원회 |
국사편찬 위원회 / 1997 |
NO38 |
역사로 기록된 고조선 이야기 |
김성구 역주 |
백산자료원 / 1999 |
NO39 |
고조선 연구 |
리지린 |
백산자료원 / 1997 |
NO40 |
단군과 고조선 |
이형구 엮음 |
살림터 / 1999 |
NO41 |
한권으로 읽는 삼국왕조 실록 |
임병주 |
들녘 / 1998 |
NO42 |
고구려사 연구 |
노태돈 |
사계절 / 2000 |
NO43 |
고구려사의 제문제 |
손영종 |
신서원 / 2000 |
NO44 |
중원고구려비의 재조명 |
(사)고구려연구회 |
(사)고구려연구회 / 2000 |
NO45 |
고구려는 우리의 미래다 |
윤명철 |
고래실 / 2004 |
NO46 |
고구려는 중국사인가 |
신형식 편저 |
백산자료원 / 2004 |
NO47 |
고구려 건국사 |
김기흥 |
창작과 비평사 / 2002 |
NO48 |
고구려의 발견 |
김용만 |
바다출판사 / 1998 |
NO49 |
고구려의 그 많던 수레는 어디로 갔을까 |
김용만 |
바다출판사 / 2000 |
NO50 |
인물로 보는 고구려사 |
김용만 |
바다출판사 / 2001 |
NO51 |
새로쓰는 연개소문전 |
김용만 |
바다출판사 / 2003 |
NO52 |
고구려의 건국과 시조숭배 |
강경구 |
학연문화사 / 2001 |
NO53 |
광개토왕릉비문 연구 |
사회과학원 |
중심 / 2001 |
NO54 |
고구려의 대외정복 연구 |
이인철 |
백산자료원 / 2000 |
NO55 |
고구려 고분벽화 |
김기웅 해설 |
서문당 / 1994 |
NO56 |
고구려 성 |
서길수 |
(사)고구려연구회 / 1998 |
NO57 |
新삼국사기 고구려본기 |
박영규 |
웅진출판 / 1997 |
NO58 |
고구려 700년의 수수께끼 |
이덕일 |
혜안 / 2000 |
NO59 |
고구려제국사 |
서병국 |
혜안 / 1997 |
NO60 |
광개토대왕의 전술 |
강무학 |
세진사 / 1999 |
NO61 |
백제와 근초고왕 |
김기섭 |
학연문화사 / 2000 |
NO62 |
이성산성(자료) |
한양대학교 박물관 |
2000 |
NO63 |
하남 교산동 건물지 중간 보고서 |
하남시 |
2000 |
NO64 |
영산강유역의 고대사회 |
최성락 편저 |
학연문화사 / 2000 |
NO65 |
중국진출백제인의 해상활동 천오백년 1 |
김성호 |
맑은소리 / 1996 |
NO66 |
가야사연구 |
천관우 |
일조각 / 1997 |
NO67 |
시민을 위한 가야사 |
부산․경남역사연구소 |
집문당 / 1997 |
NO68 |
가야와 임나 |
이희진 |
동방미디어 / 1999 |
NO69 |
임나국과 대마도 |
이병선 |
아세아문화사 / 1987 |
NO70 |
신비왕국 가야 |
고준환 |
우리출판사 / 1996 |
NO71 |
고대 한일 관계사 |
김석형 |
한마당 / 1988 |
NO72 |
일본에서 조선소국의 형성과 발전 |
조희승 |
백과사전출판사 / 1990 |
NO73 |
백제는 일본의 기원인가 |
김현구 |
창작과 비평사 / 2002 |
NO74 |
조선문화가 초기 일본문화발전에 미친 영향 |
량연국 |
집문당 / 1995 |
NO75 |
청해진의 장보고와 동아시아 |
김문경 |
(사)향토문화진흥원/ 1998 |
NO76 |
원효 |
고영섭 |
한길사 / 1997 |
NO77 |
발해사 |
박시형 |
이론과실천 / 1979 |
NO78 |
발해의 대외관계사 |
한규철 |
신서원 / 1995 |
NO79 |
한국으로 읽는 고려왕조실록 |
박영규 |
들녘 / 1997 |
NO80 |
5백년 고려사 |
박종기 |
푸른역사 / 1999 |
NO81 |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
박영규 |
들녘 / 1996 |
NO82 |
사화로 보는 조선역사 |
이덕일 |
석필 / 2001 |
NO83 |
당쟁으로 보는 조선역사 |
이덕일 |
석필 / 2001 |
NO84 |
정도전을 위한 변명 |
조유식 |
푸른역사 / 2001 |
NO85 |
광해군 |
한명기 |
역사비평사 / 2000 |
NO86 |
사도세자의 고백 |
이덕일 |
푸른역사 / 2000 |
NO87 |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이덕일 |
김영사 / 2000 |
NO88 |
다산을 찾아서 |
고승제 |
중앙일보사 / 1995 |
NO89 |
명성황후 최후의 새벽 |
쓰노다 후사코 |
조선일보사 / 1999 |
NO90 |
명성황후 시해의 진실을 밝힌다 |
최문형 |
지식산업사 / 2001 |
NO91 |
건건록 |
陸奧宗光(무쓰 무네미쓰) |
범우사 / 1994 |
NO92 |
여운형 노트 |
몽양연구소 |
학민사 / 1994 |
NO93 |
조선총독 10인 |
친일문제연구회 엮음 |
가람기획 / 1996 |
NO94 |
대한민국 50년사1,2 |
임영태 |
들녘 / 1998 |
NO95 |
한국전쟁의 기원과 전개과정 |
김영호 |
두레 / 1998 |
NO96 |
한국현대사 뒷이야기 |
김상웅 |
가람기획 / 1995 |
NO97 |
유라시아 유목제국사 |
루네 그루쎄 |
사계절 / 1999 |
NO98 |
아시아 역사와 문화1 |
朴健柱 번역 |
신서원 / 1996 |
NO99 |
이야기 중국사1~3 |
김구진, 김희영 |
청아출판사 / 1995 |
NO100 |
인물로 보는 중국역사1~2 |
立間祥介 外 |
신원문화사 / 1994 |
NO101 |
正史 삼국지1~7 |
김원중 번역 |
신원문화사 / 1994 |
NO102 |
칭기즈칸 |
Harold Lamb |
현실과 미래 / 1998 |
NO103 |
완역 일본서기 |
전용신 역주 |
일지사 / 1989 |
NO104 |
일본의 고고학 |
정한덕 |
학연문화사 / 2002 |
NO105 |
동아지중해와 고대일본 |
윤명철 |
청노루 / 1996 |
NO106 |
일본 고대국가의 형성과 칠지도의 비밀1~3 |
임길채 |
범우사 / 2002 |
NO107 |
일본고대사 연구비판 |
최재석 |
일지사 / 1990 |
NO108 |
한국사의 연장 고대일본사 |
문정창 |
인간사 / 1989 |
NO109 |
백제와 대화일본의 기원 |
홍원탁 |
구다라 인터내셔널 / 1994 |
NO110 |
고대 한일관계사의 이해 - 倭 |
김기섭 편역 |
이론과 실천 / 1994 |
NO111 |
천황을 알면 일본이 보인다 |
사이카와 마코토 |
다락원 / 2001 |
NO112 |
중동의 역사 |
이희수 번역 |
까치 / 1998 |
NO113 |
거꾸로 읽는 세계사 |
유시민 |
푸른나무 / 1988 |
NO114 |
세계사 100장면 |
박은봉 |
실천문학사 / 1996 |
NO115 |
폼페이 최후의 날 |
E.B Lytton |
출판시대 / 1997 |
NO116 |
폼페이 최후의 날 - 유물전(도록) |
홍석현 |
중앙일보사 / 1997 |
NO117 |
히틀러 |
홍사중 |
한길사 / 1997 |
NO118 |
로마인 이야기2~5 |
시오노 나나미 |
한길사 / 1993 |
NO119 |
빌게이츠@생각의 속도 |
빌게이츠 |
청림출판 / 1999 |
NO120 |
Use Your Head |
Tony Buzan |
평범사 / 2001 |
NO121 |
유시민의 경제학자 카페 |
유시민 |
돌베개 / 2002 |
NO122 |
오다 노부나가의 카리스마 경영 |
童門冬二 |
경영정신 / 2000 |
NO123 |
원숭이는 적을 만들지 않는다 |
櫻井秀勳 |
씨앗을 뿌리는 사람 / 2004 |
NO124 |
세상을 보는 지혜(전, 후) |
발타자르 그라시안 |
도서출판 둥지 / 1996 |
NO125 |
제국의 오만 |
황정일 번역 |
랜덤하우스 중앙 / 2004 |
NO126 |
강증산의 생애와 사상 |
증산도사상연구소 |
대원출판 / 2002 |
NO127 |
불교와의 만남 |
수산스님 |
마하야나 / 2002 |
NO128 |
순전한 기독교 |
C.S Lewis |
홍성사 / 2001 |
NO129 |
공자 |
H.G Creel |
지식산업사 / 1988 |
NO130 |
공자의 철학 |
HarBard Fingarette |
서광사 / 1993 |
NO131 |
공구는 짱구 |
장익순 |
도서출판 장원 / 1993 |
NO132 |
철학이야기 |
Will Duurant |
홍신문화사 / 1987 |
NO133 |
소유냐 존재냐 |
Erich Fromm |
범우사 / 1992 |
NO134 |
에피소드 과학사 - 물리이야기 |
조경철 번역 |
우신사 / 1991 |
NO135 |
UFO와 우주법칙 |
조지 아담스키 |
고려원 / 1993 |
NO136 |
1999년 8월 18일 지구 최후의 날 |
五島 勉 |
고려원 / 1981 |
NO137 |
중국고전 BEST14를 떼다 |
동양고전 감상실 |
예매원 / 1993 |
NO138 |
어린왕자 |
쌩 떽쥐뻬리 |
소담출판사 / 1996 |
NO139 |
소설 한국 역사 9000년 |
최종철 |
미래문화사 / 1997 |
NO140 |
고구려를 위하여1~3 |
김병호 |
하서 / 1997 |
NO141 |
화척1~5 |
김주영 |
문이당 / 1995 |
NO142 |
동의보감(상)~(하) |
이은성 |
창작과 비평사 / 1990 |
NO143 |
영원한 제국 |
이인화 |
세계사 / 1993 |
NO144 |
동주 열국지1~5 |
김구용 완역 |
민음사 / 1990 |
NO145 |
초한지1~5 |
김홍신 완역 |
대산출판사 / 1998 |
NO146 |
삼국지1~7 |
이문열 완역 |
민음사 / 1996 |
NO147 |
소설 제갈공명(상)~(하) |
陳舜臣 |
까치 / 1991 |
NO148 |
소설 삼국지1~5 |
이재운 |
동방미디어 / 2000 |
NO149 |
정본 완역 삼국지1 |
김구용 |
솔 / 2000 |
NO150 |
매니아를 위한 삼국지 |
정원기 |
도서출판 청양 / 2000 |
NO151 |
삼국지 역사기행 |
공학유 |
이목 / 1995 |
NO152 |
소설이 아닌 삼국지 |
최명 |
조선일보사 / 1995 |
NO153 |
또하나의 삼국지 |
김용장 |
범우사 / 1997 |
NO154 |
소설 조조(상)~(하) |
권오석 |
우리터 / 1994 |
NO155 |
後 삼국지1~5 |
이원섭 편역 |
명문당 / 1992 |
NO156 |
람세스1 |
Christian Jacq |
문학동네 / 1997 |
NO157 |
현대 태극권 교본 |
현대레저연구회 |
태을출판사 / 1998 |
NO158 |
개선문 |
E.M Remarque |
청목 / 1994 |
NO159 |
전우치전 |
조동일 엮음 |
시인사 / 1996 |
NO160 |
사랑손님과 어머니 |
주요섭 |
어문각 / 1993 |
NO161 |
허생전․베비장전 |
채만식 |
어문각 / 1993 |
NO162 |
이차돈의 사 |
이광수 |
일신서적 / 1995 |
NO163 |
너는 눈부시지만 나는 눈물겹다 |
이정하 시집 |
도서출판 푸른숲 / 1998 |
NO164 |
먼나라 이웃나라3~6 |
이원복 |
고려원 미디어 / 1993 |
NO165 |
새 먼나라 이웃나라 일본2<일본역사 편> |
이원복 |
김영사 / 2000 |
NO166 |
마계마인전1~7 |
水野良 |
들녘 / 1995 |
NO167 |
타나타노트 |
베르나르 베르베르 |
열린책들 / 1994 |
NO168 |
DNA |
로빈쿡 |
열림원 / 1995 |
제가 가지고 있는 책의 목록표에서도 느껴지듯이 이젠까지는 역사부분만
많이 공부했습니다.
그 중에서도 특히 고구려사에 대해서는 미친듯이 공부했었습니다.
2005년 새해부터는 역사부분뿐만 아니라 여러분야의 책을 읽어 지식뿐만 아니라 생각이 넓히지는 사람이 되었으면 합니다.
2005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계획하신 일들 다 이루시길 바라겠습니다.
첫댓글 일람표 감사합니다. 이정기 운영자님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운영자 모두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그리고 이정기님은 이 책을 빌려준다는 말인가요????? 책 빌려주면 못 돌려받는데~~ 보고싶은 책이 제법 있는데 어쩌지요>>>>????
으,,,무서운 정기님,,,이렇게 많을 줄이야,,,이거 보고 저도 집에 있는 역사 관련책만 세아려 봤는데 70종 정도 있네요. 이것 중에서 제대로 통독한 건 20권 정도? 나머지는 사고 난 뒤에 자료 참조만 했을 뿐이니,,새삼 부끄럽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