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재룟값’ ‘원자잿값’이라고 ‘사이시옷’을 붙여야 하나요?
너무 이상해 보여요. 또 ‘우윳값’ ‘구릿값’은 어때요,
이것도 맞춤법 규정을 따라야 할까요?”
“‘재료값’ ‘원자재값’이라 적는 게 상식적이긴 하지요.
소리를 표기에 반영한다는 취지는 이해하지만 형태가 일그러지다 보니 거부감이 들기도 해요.”
“사이시옷 규정을 그대로 따른다면 ‘둘레길’도 ‘둘렛길’로 적어야 하잖아요?
‘둘렛길’을 누가 받아들이겠어요?”
한글맞춤법 30항은 ‘사잇소리’가 날 때 ‘ㅅ’을 받쳐 적도록 하고 있습니다.
순우리말로 된 합성어나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에서 ‘냇가’[내까]처럼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날 때,
‘아랫니’[아랜니]나 ‘냇물’[낸물]처럼 ‘ㄴ’ 소리가 덧나거나 ‘나뭇잎’[나문닙]처럼 ‘ㄴㄴ’ 소리가 날 때
‘ㅅ’을 적으라고 합니다.
한자어 단어는 예외(곳간·셋방·숫자·찻잔·툇간·횟수)를 빼곤 안 적습니다.
이 규정 때문에 끝없이 ‘ㅅ’을 받쳐 적고 있습니다.
‘최댓값, 채솟값, 등굣길, 막냇손자….’
그런데 ‘갯수’나 ‘마굿간’은 한자어로만 돼 있어 ‘개수’ ‘마구간’으로 적어야 됩니다.
이 때문에 도처에서 아우성입니다. 어렵고 까다롭다고....
현실과 거리가 멀기만하니 어떻게 해야 할까요? 어떻게 해야 사이시옷 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까요?
가장 좋은 방법은 한글맞춤법에서 사이시옷 규정을 빼버리는 것인데요.
그렇다고 ‘냇가’나 ‘아랫니’ 등에서도 사이시옷을 뺄 건 아닙니다.
사이시옷이 굳어진 단어들은 그대로 두면 됩니다.
단지 ‘최댓값’ 같은 말들에선 빼는 게 낫습니다.
사이시옷 표기 여부는 국어사전에서 확인하면 되니까요...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