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의 이야기는 조금 어려운 이야기가 될 것 같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처음 보는 단어라고 느낄 것이 뻔하네요.
어렸을 때 “공자왈 맹자왈”하는 부분을 공부하던 때였는데요.
서당에서 공부하신 조부께서 예전에는 그렇게 읽지 않고 “공모孔某 왈, 맹모孟某 왈”하면서 읽었다 하셨지요.
그때는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 잘 몰랐습니다.
‘요(堯)’임금을 말할 때도 같은 음을 피하여 ‘고(高)’자로 대신 하였다는 얘기도 해주셨지요.
왜 사람들은 임금의 이름이나 높으신 분들의 함자를 함부로 부르지 않았을까 하는 의문은 꾹 삼켰지요.
피휘(避諱)라는 말이 있습니다.
‘국왕, 조상, 성인이 쓰는 이름, 국호, 연호와 같은 글자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이르는 말입니다.
즉 존중받아야 할 대상을 범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담고 있는데,
때에 따라서는 글자뿐만 아니라 음이 비슷한 글자를 모두 피하거나 획의 일부를 생략하는 방식입니다.
여기에서 ‘흐지부지’라는 말이 유래했다고 합니다.
‘휘지비지’가 변하여 ‘흐지부지’가 된 것이지요.
그런데, 이러한 피휘의 방법이 정확하게 정해진 것은 아닙니다.
<삼국유사>에 나타난 피휘의 용례가 일관성이 없는 것이 그 증좌입니다.
다른 말로 편찬자가 여러 사람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지요.
그런가 하면 해음 현상이란 말이 있습니다.
한자문화권에서는 거의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인데요.
어떤 단어가 또 다른 단어와 같은 소리가 나거나 혹은 비슷한 소리가 나면
해당하는 또 다른 단어의 이미지를 연상하게 만드는 언어 유희나,
이로 인하여 금기나 미신이 생기는 현상을 말합니다.(<위키백과> 참조)
이러한 해음 현상은 지금도 쓰이고 있습니다.
일부 비속어나 그러한 의미를 담고 있는 용어가 섞여 있을 때 다른 발음으로 말하는 방식인데요.
요즘 젊은이들이 많이 사용하는 ‘쌉가능’이란 표현도 여기에 속한다고 할 수 있고요.
쌉가능이란 말은 주로 온라인에서 사용되는 속어인데, “매우 가능하다”는 정도의 의미입니다.
근거가 어디에 있는지는 추측할 수밖에 없지만 ‘ssap’라는 식으로 표현하는 사람들도 있더라구요.
그 내면을 들여다 보면, 여성의 성기에서 유래한 것임을 유추할 수 있기는 합니다.
그래서 함부로 쓰기에는 부정적입니다.
요즘은 ‘개’라는 접두사의 의미가 바뀌었듯이(요즘 젊은이들이 쓰는 ‘개좋아’는 ‘매우 좋다’는 뜻임),
‘쌉’이라는 접두사가 생겨서 ‘매우’라는 의미로 활용되고 있기는 합니다.
주로 자신감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말이지만 공식적이거나 점잖은 자리에서 사용할 수 있는 용어는 아니지요.
해음현상의 하나로 우리나라에서도 병원에는 4층이라는 말을 쓰지 않고,
F층이라고 하고, 4층이 아예 없는 곳도 있더라구요. 죽을 사(死)자와 같은 발음이기 때문이라네요.
이러한 경우는 우리나라나 일본, 중국 등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 현상이긴 합니다.
유럽에서 13(예수가 13일 금요일에 십자가에서 사망했다)이라는 숫자를 꺼리는 것과 같습니다.
이러한 현상은 주로 동음이의어(같은 발음에 다른 의미를 지닌 단어)에서 유래합니다.
중국인들은 유난히 8이라는 숫자를 좋아하는데요.
이것 또한 발복(發福)한다는 말에 있는 ‘발(發)’과 ‘팔(八)’의 음이 같은 것에서 유래합니다.
중국인들은 숫자 6도 좋아한다는데, 육의 발음이 류(流 liu)와 같기 때문에
‘모든 일이 순조롭게 흘러가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무엇인가 새롭게 시작할 때는 6이 들어간 날에 진행한다나요.
그러므로 해음 현상이 꼭 부정적인 것만을 뜻하지는 않습니다.
술(주(酒)과 ‘오래살다(구(久)’의 음이 같은 것으로 인해 술을 선물하는 것도 해음의 일종이라고 합니다.
한편 한국인들은 숫자 3을 유난히 좋아합니다. 뭐든지 ‘삼 세 번’이라고 해서 세 번은 해야 하지요.
하지만 중국인들은 삼(三)과 산(散 흩어질 산)의 발음이 같은 관계로 3을 꺼리는 경향이 있고요.
‘재물이 흩어지다, 이혼하다, 떨어지다’ 등의 의미(散)와 발음이 같기 때문이라나요.
이와 같이 해음 현상은
동일한 발음으로 인해 좋아하거나 싫어하게 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삿짐센터의 전화번호는 2424, 도로공사의 전화번호는 2504(둘오공사-도로공사),
기차역의 전화번호는 7788(칙칙폭폭), 배달업체의 전화번호는 8282 등을 사용하는 것 등등
모두 해음현상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