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찰 전각의 편액과 현판
'편액(扁額)'은 사찰의 각 전각이나 문 위에 글씨가 쓰여 걸려있는 액자를 말한다. 일주문, 대웅전, 극락전 등과 같은 굵은 글씨가 쓰여 있다. 대개의 경우 편액은 널빤지, 종이 또는 비단 등에 글씨를 써 문 위에 건다. 대부분 가로로 걸어 '횡액(橫額)'이라고도 한다.
편(扁)은 서(署)의 뜻으로 문호 위에 제목을 붙인다는 말이며, 액(額)은 이마 또는 형태를 뜻한다. 편액에 쓰이는 글자는 대부분 한자이나, 요즘에는 한글로 된 편액을 많이 걸기도 한다. 글씨체는 전서, 예서, 해서, 행서, 초서 등 다양하다.
편액은 건물의 얼굴이므로 건물 격식에 어울리는 글씨와 장식을 더한다. 글씨는 금니와 은니 · 먹 · 분청 · 호분 등으로 쓰고, 틀은 무늬와 색채를 넣어 주련(柱聯)과 함께 건물의 중요한 장식 수단이 된다.
오랜 역사를 지닌 사찰의 전각에 걸린 편액의 글씨는 문화재적 또는 사적 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 것이 매우 많다. 이는 건립 당시의 명필에게 글을 부탁하여 귀중하게 얻어 서각을 하거나 액자화 한 것이 많기 때문이다.
사찰의 '현판(懸板)'은 단순히 전각의 명칭만을 적은 편액과 달리 긴 문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그 문장 속엔 중수 또는 중건 내용이 적혀 있다. 특히 사찰 현판은 비용과 공력이 많이 드는 비석 대용으로 많이 제작되었는데, 현판이 유일한 문헌자료가 되는 경우가 많아 그 가치가 대단히 높다.
또한 현판에는 중수나 중건을 기념하여 그 일이 일어난 배경과 과정, 그리고 불사가 완결된 상황을 상세히 전하고 있기 때문에 사찰을 연구할 때 중요한 1차 자료가 된다. 역사의 빈 공간을 현판이 훌륭하게 채워주고 있는 셈이다.
때문에 '편액'이 글씨 자체나 글씨를 쓴 인물과 서예사적인 것에 주목하는 데 비해, '현판'은 그 절의 지나온 역사와 연혁을 알려주는 유용한 사료에 주목하고 있다는 점에서 관점과 가치가 서로 다르다.
<참고: 신대현의 ‘한국의 사찰 현판’>
[출처] 사찰 전각의 편액과 현판|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