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산 선생 교유록 목차
인동 장달수 편
*김여만(金如萬) 1625(인조 3)~1711(숙종 37)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회일(會一), 호는 기산(箕山) ·추담(秋潭).
제산선생 외조부
*김방걸(金邦杰) 1623년(인조 1)∼1695년(숙종 21).
본관은 의성. 자는 사흥(士興), 호는 지촌(芝村).
*이현일(李玄逸)1627년(인조 5)∼1704년(숙종 30).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익승(翼昇), 호는 갈암(葛庵).
*이완(李琓) 1650년(효종 1) ~ 1732년(영조 8)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수언(粹彦), 호는 구애(龜厓),
*김창석(金昌錫) 1652(효종 3)~1720(숙종 46)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천여(天與), 호는 월탄(月灘),
*김간(金侃)1653년(효종 4)∼1735년(영조 11).
본관은 풍산(豊山). 자는 사행(士行), 호는 죽봉(竹峯).
*권두경(權斗經)1654년(효종 5)∼1725년(영조 1).
본관은 안동. 자는 천장(天章), 호는 창설재(蒼雪齋).
*홍상민(洪相民) 1654(효종 5) 함창
본관 부계(缶溪). 자는 천경(天卿)
*장만걸(張萬杰) 1654(효종 5)∼1717(숙종 43)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기언(器彦), 호는 행당(杏堂),
*신필정(申弼貞) 1656년(효종 7)∼1729년(영조 5).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원백(元伯), 호는 병옹(病翁).
*이재(李栽)1657년(효종 8)∼1730년(영조 6).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유재(幼材), 호는 밀암(密庵).
*조덕린(趙德鄰)1658년(효종 9)∼1737년(영조 13).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택인(宅仁), 호는 옥천(玉川).
*권두기(權斗紀)1659년(효종 10)∼1722년(경종 2).
본관은 안동. 자는 숙장(叔章), 호는 청사(晴沙).
*이협(李浹) 1663(현종 4)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열경(悅卿), 호는 동애(東厓).
*서성구(徐聖耉)1663년(현종 4)∼1735년(영조 11).
본관은 달성(達城). 자는 희언(希彦), 호는 눌헌(訥軒) 또는 기암(寄菴).
*이만부(李萬敷)1664년(현종 5)∼1732년(영조 8).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중서(仲舒), 호는 식산(息山).
*하덕망(河德望) 1664(현종 5)~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섬경(瞻卿). 호는 양정재(養正齋) 17
*황수일(黃壽一)1666년(현종 7)∼1725년(영조 1).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용오(用五), 호는 용강(龍岡).
*유현시(柳顯時)1667년(현종 8)∼1752년(영조 28).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달부(達夫), 호는 호와(壺窩).
*오삼달(吳三達) 1667(현종8 정미)~1744(영조 20 갑자)
본관은 함양(咸陽) 자는 달부(達夫). 호는 취은당(醉隱堂)
*정만양(鄭萬陽)1664년(현종 5)∼1730년(영조 6). 永川 출신.
본관은 오천(烏川: 迎日). 자는 경순(景醇), 호는 훈수(塤叟)·기암(企菴)·정재(定齋).
*정규양(鄭葵陽)1667년(현종 8)∼1732년(영조 8). 영천(永川) 출신.
본관은 오천(烏川: 迎日). 자는 숙향(叔向), 호는 지수(篪叟). 18
*이만(李槾)1669년(현종 10)∼1734년(영조 10).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군직(君直), 호는 고재(顧齋).
*조시광(趙是光) 1669년(현종 10)∼1740년(영조 16). 영양(英陽)
본관은 한양(漢陽). 자는 계만(戒萬)이고, 호는 주강(柱江).
*채팽윤(蔡彭胤)1669년(현종 10)∼1731년(영조 7).
본관은 평강(平康). 자는 중기(仲耆), 호는 희암(希菴)·은와(恩窩).
*이영(李栐) 1670(현종 11)∼1735(영조 31)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사직(士直), 호는 후계(后溪),
*권구(權榘)1672년(현종 13)∼1749년(영조 25).
본관은 안동. 자는 방숙(方叔), 호는 병곡(屛谷).
*권덕수(權德秀) 1672년(현종 13)∼1759년(영조 35).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윤재(潤哉), 호는 포헌(逋軒).
*신익황(申益愰)1672년(현종 13)∼1722년(경종 2).
본관은 평산(平山). 자는 명중(明仲), 호는 극재(克齋).
*박이상(朴履相) 1672(현종 13)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신로(莘老). 호는 만송(晩松)
*김세용(金世鏞) 1673(현종 14)~1742(영조 18)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명우(鳴宇). 호는 이호(伊湖).
*김민행(金敏行) 1673(현종 14) ~ 1734(영조 13)
본관은 의성(義城) 자 선백(善伯)
*배행검(裵行儉)1673년(현종 14)∼1752년(영조 28).
본관은 흥해(興海). 자는 수약(守約), 호는 삼여당(三餘堂)·오수(梧叟).
*이익필(李益馝) 1674년(현종 15)∼1751년(영조 27).
본관은 전의(全義). 자는 문원(聞遠), 호는 하옹(霞翁).
*이광정(李光庭) 1674년(현종 15)∼1756년(영조 32).
본관은 원주(原州). 자는 천상(天祥), 호는 눌은(訥隱). 18
*권만두(權萬斗)1674년(현종 15)∼1753년(영조 29).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용경(用卿), 호는 지족당(知足堂).
*김명석(金命錫) 1675년(숙종 1)∼1762년(영조 38).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여수(汝修), 호는 우계(雨溪),
*임화세(任華世) 1675년(숙종 1)∼1731년(영조 7).
본관은 풍천(豊川). 자는 실혜(實兮), 호는 시옹(是翁).
*김하구(金夏九) 1676(숙종 2)∼1762
본관은 수안(遂安). 자는 정보(鼎甫), 호는 추암(楸菴),
*박태무(朴泰茂) 1677(숙종 3)∼1756(영조 32)
본관은 태안(泰安), 자는 춘경(春卿), 호는 서계(西溪),
*이언환(李彦煥) 1678(숙종 4)~1748(영조 24)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여빈(汝彬). 호는 묵와(墨窩)
*황도익(黃道翼) 1678년(숙종 4)~ 1743년(영조 19)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익재(翼哉). 호는 이계(夷溪)
*김대(金岱) 1679(숙종 5)
본관은 부안(扶安). 자는 사종(士宗). 아버지는 김석창(金錫昌)
*권상일(權相一) 1679년(숙종 5)∼1759년(영조 35).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태중(台仲), 호는 청대(淸臺).
*유승현(柳升鉉)1680년(숙종 6)∼1746년(영조 22).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윤경(允卿), 호는 용와(慵窩).
*주건(朱楗) 종성(鍾城) 출신
호는 배계(涪溪)
*박용상(朴龍相) 1680(숙종 6)∼1739 (영조 15)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현경(見卿), 초묭은 단상(端相), 호는 기헌(畸軒),
*박사상(朴師相)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원로(元老). 호는 죽포(竹浦)
*김덕오(金德五)1680년(숙종 6)∼1748년(영조 24). 영해(寧海) 출신.
본관은 수안(遂安). 자는 성겸(性兼), 호는 치헌(癡軒).
*권중도(權重道)1680년(숙종 6)∼1722년(경종 2).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여행(汝行), 호는 퇴암(退庵).
*송명기(宋命基)1680년(숙종 6)∼1755년(영조 31).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정부(定夫), 호는 매헌(梅軒).
*김시형(金始炯)1681년(숙종 7)∼1750년(영조 26).
본관은 강릉(江陵). 자는 계장(季章).
*김광국(金光國) 1682(숙종 8)
본관 광산(光山). 자는 사능(士能).
*김광국(金光國) 1682(숙종 8)~1775(영조 51)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대관(大觀), 호는 육인재(六忍齋)
*김성흠(金聖欽) 1682(숙종 8)~1757(영조 33)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경백(敬伯), 호는 와계(臥溪).
*이복환(李復煥)1682년(숙종 8)∼1727(영조 3).
본관은 재령(載寧). 초명은 지유(之煣), 자는 여강(汝强) 내경(來卿), 호는 노계(魯溪)
*안명하(安命夏) 1682(숙종 8)∼1752(영조 28)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국화(國華), 호는 송와(松窩),
*박정걸(朴廷杰) 1683(숙종 9)∼1746(영조 22)
본관은 무안(務安). 자는 회영(懷英), 호는 남포(南浦),
*이항배(李恒培) 1683(숙종 9) 영주 출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계실(季實)
*김시빈(金始鑌)1684년(숙종 10)∼1729년(영조 5). 영천(榮川) 출신.
본관은 함창(咸昌). 자는 휴백(休伯), 호는 백남(白南). 19
*김시빈(金始鑌)1684년(숙종 10)∼1729년(영조 5). 영천(榮川) 출신.
본관은 함창(咸昌). 자는 휴백(休伯), 호는 백남(白南).
*정중기(鄭重器)1685년(숙종 11)∼1757년(영조 33).
본관은 영일(迎日). 자는 도옹(道翁), 호는 매산(梅山).
*김경석(金慶錫) 1686(숙종 12) ~ 1760(영조 36)
본관은 의성(義城) 자 선여(善餘)
*이인환(李寅煥)1686(숙종 12)∼1732(영조 8).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도중(鞱仲). 호는 농와(聾窩).
*박사수(朴師洙)1686년(숙종 12)∼1739년(영조 15).
본관은 반남(潘南). 호는 내헌(耐軒)·내재(耐齋).
*권만(權萬)1688년(숙종 14)∼1749년(영조 25).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일보(一甫), 호는 강좌(江左).
*황정(黃晸)1689년(숙종 15)∼1752년(영조 28).
본관은 장수(長水). 자는 양보(陽甫).
*김진하(金振河) 1689(숙종 15) ~ 1756(영조 32)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대숙(大叔)
*남국주(南國柱)1690년(숙종 16)∼1759년(영조 35). 영해(寧海)
본관은 영양(英陽), 자는 하중(廈中), 호는 봉주(鳳洲).
*권모(權謩) 1690(숙종 16)~1751(영조 27)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창언(昌言) 호는 랑건헌(琅玕軒)
*조현명(趙顯命) 1690년(숙종 16)∼1752년(영조 28).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치회(稚晦), 호는 귀록(歸鹿)·녹옹(鹿翁).
*김복하(金福河) 1690(숙종 16)~1762(영조 38)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청지(清之)
*박문수(朴文秀)1691년(숙종 17)∼1756년(영조 32).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성보(成甫), 호는 기은(耆隱).
*김경온(金景溫) 1691년(숙종 17)-1734년(영조 10)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광보(光甫), 호는 단사(丹砂).
*하대명(河大明) 1691(숙종 17)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진숙(晉叔). 호는 한계(寒溪)
*류광렴(柳光濂) 1692(숙종 18)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숙명(叔明). 호는 임은(林隱)
*유신적(柳信迪)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성오(省吾). 아들은 동암(東巖) 류장원(柳長源)
*하서룡(河瑞龍) 1692(숙종 18) 상주
본관 진주(晋州). 자는 성칙(聖則).
*유관현(柳觀鉉) 1692년(숙종 18)∼1764년(영조 40).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용빈(用賓), 호는 양파(陽坡).
*이복환(李復煥) 1692(숙종18~ 1727(영조 3)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내경(來卿), 호는 노계(魯溪).
*하서룡(河瑞龍) 1692(숙종 18) 상주 출신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성칙(聖則)
*이수연(李守淵)1693년(숙종 19)∼1748년(영조 24).
본관은 진보(眞寶). 자는 희안(希顔), 호는 청벽(靑壁).
*정옥(鄭玉)1694년(숙종 20)∼1760년(영조 36).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자성(子成), 호는 우천(牛川).
*이만용(李萬容) 1694(숙종 20)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휴언(休彦).
*이유원(李猷遠) 1695(숙종 21)∼1773(영조 49)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굉보(宏甫), 호는 냉천(冷泉),
*김도흠(金道欽) 1695(숙종 21) ~ 1756(영조 32)
본관은 의성(義城). 자 행언(行彦). 호 월봉(月峰)
*김세릉(金世錂)1696(숙종 22)∼1753(영조 29).
본관 의성(義城). 초명은 세주(世鑄). 자는 미중(美仲 初字 愚仲). 호는 성재(省齋).
*이 장(李槳)1696(숙종 22)∼1737(영조 13).
본관 전주(全州). 자는 숙통(叔通). 호는 호산(毫山).
*이태환(李台煥) 1697(숙종 23)~1774(영조 50)
본관은 재렬(載寧), 자는 공섭(公燮), 호는 성헌(惺軒).
*송이석(宋履錫)1698년(숙종 24)∼1782년(정조 6).
본관은 야성(冶城). 자는 백유(伯綏), 호는 남촌(南村).
*하대관(河大觀) 1698(숙종 24)
본관은 진주(진주). 자는 관부(寬夫). 호는 괴와(愧窩)
*유태제(柳台齊) 1699(숙종 25)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현보(鉉甫). 호는 나은(蘿隱)
*김경한(金經漢) 1699(숙종 25)~1756(영조 32)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이장(以章)
*이세근(李世根)
자는 달후(達厚) 제산 문인
*황후간(黃後榦) 1700(숙종 26)
본관은 창원(昌原). 자는 이직(爾直). 호는 이봉(夷峰)
*하필청(河必淸) 1701(숙종 27)
본관 진양(晉陽). 자는 천기(千期) 호는 태와(台窩)
*이봉환(李鳳煥) 1701(숙종 27)~1777(정조 1)
본관은 재령(載寧). 자는 경의(景儀), 호는 검남(劒南).
*권렴(權濂) 1701(숙종 27)~1781(정조 5)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희원(希元), 호는 후암(厚庵)
*김익한(金翼漢) 1702(숙종 28)~1781(정조 5)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장천(章天). 호는 추재(秋材)
*유정원(柳正源) 1703년(숙종 29)∼1761년(영조 37).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순백(淳伯), 호는 삼산(三山).
*김광한(金光漢) 1704(숙종 30)~1756(영조 32)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유장(幼章).
*김우한(金宇漢) 1705(숙종 31)~1783(정조 7)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광천(光天), 호는 인재(忍齋)
*김익명(金翼溟) 1708(숙종 34)~1775(영조 51)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운약(雲若). 호는 범암(凡巖)
*김원하(金逺河) 1710(숙종 36)~1768(영조 44)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원보(源甫)
*김정한(金正漢) 1711(숙종 37)∼1766(영조 42)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부중(扶仲), 호는 지곡(芝谷),
*이상정(李象靖) 1711년(숙종 37)∼1781년(정조 5).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경문(景文), 호는 대산(大山).
*김진한(金振漢) 1714(숙종 40)~1756(영조 32)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권보(权甫)
*김시원(金始元) 1716(숙종 42)~ 1747(정묘)/1807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경인(景仁).
*송학렴(宋學濂) 1719(숙종 45) 칠곡 출신
본관 야성(冶城). 자는 영심(令尋)
*김강한(金江漢) 1719(숙종 45)∼1779(정조 3)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탁이(濯以), 호는 난곡(蘭谷),
*유도원(柳道源) 1721년(경종 1)∼1791년(정조 15).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숙문(叔文), 호는 노애(蘆厓).
*소응천(蘇凝天)
자는 일혼(一渾), 호는 춘암(春庵)
*이동영(李東英)
자는 백실(伯實). 선생의 사위
*이세근(李世根)
제산 선생 문인
*남국붕(南國鵬)
자는 운거(雲擧) 제산 문인
*김기호(金起浩)
본관은 순천(順天) 자는 시천(時天).
*홍대구(洪大龜) 1726(영조 2)
본관은 부림(缶林). 자는 국보(國寶). 목재 홍여하의 손자 총 117명
제산 선생 동방록
왕대년: 영조(英祖) 11 증광시이다.
시험일: 1735년 04월 13일 (윤달)
시험관: 명관(命官) 우상(右相) 김흥경(金興慶)
시험실시이유: 원자가 탄생한 경사로 시행한 시험이다.
시험문제: 부(賦) 주수구방기명유신(周雖舊邦其命維新)
(달수 주) 주나라는 비록 옛 나라이나 그 국운은 유신(維新)된다
시경(詩經) 대아(大雅)에 있는 구절로 주나라 문왕(文王)을 칭찬한 말이다. 주나라가 생긴 지는 오래 되었으나 이때에 와서 문왕이 새로 일어난다는 뜻이다.
영조 11년 증광시에서 42명이 급제하였는데 안동 출신으로 제산선생(당시 52세)과
삼산(三山) 유정원(柳正源)(당시 33세) 양파(陽坡) 유관현(柳觀鉉)(당시 44세)
해저의 김경필(金景泌)(35세). 대산(大山) 이상정(李象靖) (당시 25세)로 같이 급제하였다. 동방록을 대강 정리하여 관직을 수록한다
*박필리(朴弼理) 1687(숙종 13) 장원급제. 승지. 동지의금부사
본관은 반남(潘南). 자는 경옥(景玉), 호는 성암(醒庵).
아버지는 사헌부장령 태창(泰昌)
*유동원(柳東垣) 1688(숙종 12) 판결사(判決事)
본관은 진주(晋州) 자는 숙야(叔野)
*오명서(吳命瑞) 1688년(숙종 14)∼1740년(영조 16). 대사간. 경상감사
본관은 해주(海州). 자는 신경(信卿). 아버지는 군수 수일(遂一).
*김성탁(金聖鐸) 1684년(숙종 10)∼1747년(영조 23). 을과 1위. 홍문관 교리
본관은 의성(義城) 자는 진백(振伯), 호는 제산(霽山). 아버지는 태중(泰重)
*김범갑(金范甲) 1690(숙종 14) 현감(縣監)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중만(仲萬) 아버지는 하영(夏英)
*주 기(朱 杞) 중량(仲良) 1683 전주(全州) 을과(乙科) 3등 함경판관(咸鏡判官)
*신명좌(申命佐) 계량(季良) 1685 미상(未詳) 을과(乙科) 4등 예조좌랑(禮曹佐郞)
*유정원(柳正源) 순백(淳伯) 1703 전주(全州) 을과(乙科) 5등 삼산(三山) 대사간
*김경필(金景泌) 원중(源仲) 1701 의성(義城) 을과(乙科) 6등 해저 팔오헌 손자
*심경선(沈景先) 사행(士行) 1700 풍산(豊山) 을과(乙科) 7등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박필간(朴弼幹) 계직(季直) 1683 반남(潘南) 병과(丙科) 1등 승지(承旨)
*홍상한(洪象漢) 운장(雲章) 1701 풍산(豊山) 병과(丙科) 2등 예조판서
*이창의(李昌誼) 성방(聖方) 1704 전주(全州) 병과(丙科) 3등 좌의정(左議政)
*이징규(李徵奎) 천장(天章) 1682 연안(延安) 병과(丙科) 4등 지평(持平)
*박창윤(朴昌潤) 군탁(君擢) 1699 밀양(密陽) 병과(丙科) 5등
*박해윤(朴海潤) 여중(汝重) 1696 밀양(密陽) 병과(丙科) 6등
*황최언(黃最彦) 양백(良伯) 1711 창원(昌原) 병과(丙科) 7등
*유관현(柳觀鉉) 용빈(用賓) 1692 전주(全州) 병과(丙科) 8등 양파(陽坡) 형조참의
*오수채(吳遂采) 사수(士受) 1692 미상(未詳) 병과(丙科) 9등 대사헌(大司憲)
*이성중(李成中) 사득(士得) 1706 전주(全州) 병과(丙科) 10등 이조판서(吏曹判書)
*유언국(兪彦國) 군필(君弼) 1701 미상(未詳) 병과(丙科) 11등 병조참판(兵曹參判)
*서해조(徐海朝) 종지(宗之) 1691 연산(連山) 병과(丙科) 12등
*윤지태(尹志泰) 대첨(大瞻) 1700 칠원(漆原) 병과(丙科) 13등 사간(司諫)
*정순검(鄭純儉) 성종(聖從) 1710 동래(東萊) 병과(丙科) 14등 대사간(大司諫)
*심 곡(沈 瑴) 군옥(君玉) 1695 청송(靑松) 병과(丙科) 15등
*윤동준(尹東浚) 사심(士深) 1693 파평(坡平) 병과(丙科) 16등 대사간(大司諫)
*이형만(李衡萬) 평일(平一) 1711 경주(慶州) 병과(丙科) 17등 승지(承旨)
*허 추(許 錘) 덕칭(德稱) 1697 양천(陽川) 병과(丙科) 18등 승문원정자(承文院正字)
*이창유(李昌儒) 이진(而珍) 1713 전주(全州) 병과(丙科) 19등
*김광국(金光國) 대관(大觀) 1709 안동(安東) 병과(丙科) 20등 병조참판
*임상원(林象元) 언춘(彦春) 1709 나주(羅州) 병과(丙科) 21등 부사(府使)
*정하언(鄭夏彦) 미중(美仲) 1702 연일(延日) 병과(丙科) 22등 승지(承旨)
*박홍준(朴弘儁) 자의(子毅) 1704 반남(潘南) 병과(丙科) 23등 사간(司諫)
*김 운(金) 구이(久而) 1694 부령(扶寧) 병과(丙科) 24등 첨지사(僉知事)
*민수언(閔洙彦) 성원(聖源) 1686 여흥(驪興) 병과(丙科) 25등 정언
*임 원(任 遠) 치숙(致叔) 1688 풍천(豊川) 병과(丙科) 26등
*이이장(李彛章) 군칙(君則) 1708 한산(韓山) 병과(丙科) 27등 대사헌(大司憲)
*이상정(李象靖) 경문(景文) 1711 한산(韓山) 병과(丙科) 28등 대산(大山). 예조참의
*김시찬(金時粲) 치명(穉明) 1700 안동(安東) 병과(丙科) 29등 부제학(副提學)
*안택중(安宅重) 인로(仁老) 1695 순흥(順興) 병과(丙科) 30등 승문원정자
*강봉휴(姜鳳休) 의백(儀伯) 1694 금천(衿川) 병과(丙科) 31등 헌납(獻納)
*김 굉(金 硡) 대숙(大叔) 1703 경주(慶州) 병과(丙科) 32등 지평(持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