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외로 모르는 분들이
있어서
가져 왔습니다.
의사라고 똑 같은 의사가
아닙니다.
의사는
크게 나누면
1.일반의
2.전공의
3.전문의
4.전임의
전문의 되기도 어렵지만
전임의는 하늘의 별따기 이며
의대교수가 되려면
전임의가 되어야 합니다.
첫댓글 동네 개업의 중에서전임의가 있다면환자는행운 입니다^^
전공의 인지전문의 인지병원 간판을 잘 보고 가야 해요
네 맞습니다동네의원전공의 의외로 많아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전문의 자격이 없는 의사즉인턴1년레지던트3~4년 했으나전문의 자격증이 없음
@핑퐁사랑 넵좋은밤 되셔요^^
좋은정보. 감사
이제 잘알아보고 다녀야겠어요 ~/
명의 만나면기쁘지요^^
전문의라고써있는곳실내에도 적혀있지요.특히성혀외과는기술만배우고수술하는 사람 많으니주의하셔야됩니다.
딩동뎅^~^
설명이 명확한 것같지는 않네요.전공의는레지턴트과정에있는 의사를지칭하는 것으로알고 있습니다.동네 의원의 개업의는일반의사이거나특정진료분야의전문의 입니다.Fellow는전문의 중대학병원등에근무하며정식 교수가되기위한Course를 밟는의사를 가르키는칭호로 알고 있습니다.
전공의 과정후시험 포기 하면요?ㅡㅡㅡ전임의가Fellow 아닌가요?
@고흐 전공의 과정후(전문의)시험을포기하거나,시험에떨어진다면그냥 (전문이 없는)일반의로남는 것으로알고 있습니다.맞습니다.Fellow는 전임의라고말하지요.
@산자락 전문의 자격이 없으니계속 전공의로서 공부하죠그동안은 전공의 맞습니다.군대도 가야하고요.
@고흐 예 맞습니다.
@산자락 근데 뭐가 틀렸어요??
@고흐 비뱌님의댓글에 대한고흐님의 답댓글'동네의원전공의 의외로 많다'고 하신대목입니다.제 생각에는전공의가 개업하는것이 거의 없을 거라는점입니다.위에서 고흐님께서말씀하신대로전공의는전문의 자격이아직 없으니전문의 자격을취득할 때까지계속 공부하거나,군의관을다녀오기도하겠지요.
@산자락 실제로있는데 어쩌란 말씀 이신지?
@고흐 아 그래요?저도 다시알아보겠습니다.고맙습니다.
첫댓글
동네 개업의 중에서
전임의가 있다면
환자는
행운 입니다^^
전공의 인지
전문의 인지
병원 간판을
잘 보고 가야 해요
네 맞습니다
동네의원
전공의 의외로 많아요.^^
삭제된 댓글 입니다.
전문의 자격이 없는 의사
즉
인턴1년
레지던트3~4년 했으나
전문의 자격증이 없음
@핑퐁사랑
넵
좋은밤 되셔요^^
좋은정보. 감사
이제 잘알아보고 다녀야겠어요 ~/
명의 만나면
기쁘지요^^
전문의라고
써있는곳
실내에도 적혀있지요.
특히
성혀외과는
기술만배우고
수술하는 사람 많으니
주의하셔야됩니다.
딩동뎅^~^
설명이 명확한 것
같지는 않네요.
전공의는
레지턴트과정에
있는 의사를
지칭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동네 의원의 개업의는
일반의사이거나
특정진료분야의
전문의 입니다.
Fellow는
전문의 중
대학병원등에
근무하며
정식 교수가
되기위한
Course를 밟는
의사를 가르키는
칭호로 알고 있습니다.
전공의 과정후
시험 포기 하면요?
ㅡㅡㅡ
전임의가Fellow
아닌가요?
@고흐
전공의 과정후
(전문의)시험을
포기하거나,시험에
떨어진다면
그냥 (전문이 없는)일반의로
남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맞습니다.
Fellow는 전임의라고
말하지요.
@산자락
전문의 자격이 없으니
계속 전공의로서 공부하죠
그동안은 전공의 맞습니다.
군대도 가야하고요.
@고흐 예 맞습니다.
@산자락 근데 뭐가 틀렸어요??
@고흐 비뱌님의
댓글에 대한
고흐님의 답댓글
'동네의원
전공의 의외로 많다'고 하신
대목입니다.
제 생각에는
전공의가 개업하는
것이 거의 없을 거라는
점입니다.
위에서
고흐님께서
말씀하신대로
전공의는
전문의 자격이
아직 없으니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때까지
계속 공부하거나,
군의관을
다녀오기도
하겠지요.
@산자락
실제로
있는데 어쩌란 말씀 이신지?
@고흐
아
그래요?
저도 다시
알아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