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 고시 제2025-13호
강원특별자치도 지정유산 지정 고시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제70조 및 「강원특별자치도 문화유산 및 자연유산 보호 조례」 제23조에 따라 지정한 강원특별자치도 지정유산을 같은 조례 시행규칙 제11조에 의거 다음과 같이 고시합니다.
2025년 1월 10일
강 원 특 별 자 치 도 지 사
1. 고성 화암사 목조약사여래좌상
가. 지정종별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나. 지정명칭 : 고성 화암사 목조약사여래좌상(高城 禾巖寺 木造藥師如來坐像)
다. 수 량 : 1구
라. 시 대 : 1748년
마. 소 재 지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화암사길 100, 화암사
바. 소 유 자 : 대한불교조계종 화암사
사. 관 리 자 : 대한불교조계종 화암사
아. 지정사유
- 고성 화암사 목조약사여래좌상은 조성발원문과 복장유물이 전하지는 않지만, 1748년 조성된 인제 백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과 서울 봉국사 목조석가여래좌상과 함께 조성된 상으로 조성 연도, 조각승,시주자 등을 파악할 수 있으며, 왕실 관련 불상을 주로 조성한 조각승 인성의 조각 기량 등을살펴볼 수 있어 18세기 불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지정 보존가치가 있다.
2. 고성 화암사 지장시왕도
가. 지정종별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나. 지정명칭 : 고성 화암사 지장시왕도(高城 禾巖寺 地藏十王圖)
다. 수 량 : 1폭
라. 시 대 : 1863년
마. 소 재 지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화암사길 100, 화암사
바. 소 유 자 : 대한불교조계종 화암사
사. 관 리 자 : 대한불교조계종 화암사
아. 지정사유
- 고성 화암사 지장시왕도는 화기를 통해 조성 시기, 봉안 장소, 화사, 시주자 등을 알 수 있는 왕실 발원 불화이자 19세기 지장시왕도의 기준작으로 서울 경기와 강원지역 화사 교류 정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지정 보존가치가 있다.
3. 고성 화암사 치성광여래회도
가. 지정종별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나. 지정명칭 : 고성 화암사 치성광여래회도((高城 禾巖寺 熾盛光如來會圖)
다. 수 량 : 1폭
라. 시 대 : 1868년
마. 소 재 지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토성면 화암사길 100, 화암사
바. 소 유 자 : 대한불교조계종 화암사
사. 관 리 자 : 대한불교조계종 화암사
아. 지정사유
- 고성 화암사 치성광여래회도는 화기를 통해 조성 시기, 봉안 장소, 화사, 시주자 등을 알 수 있는 19세기 불화의 중요한 기준작일 뿐만 아니라, 강원지역 사찰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승들의 화풍과 더불어 지역 사찰계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지정 보존가치가 있다.
4. 동해 만재 홍락섭 전적류
가. 지정종별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나. 지정명칭 : 동해 만재 홍락섭 전적류(東海 晩齋洪樂燮 典籍類)
다. 수 량 : 79책
라. 시 대 : 조선시대
마. 소 재 지 : 강원특별자치도 동해시 천곡로 77, 동해시청
바. 소 유 자 : 동해시장
사. 관 리 자 : 동해시장
아. 지정사유
- 동해 만재 홍락섭 전적류는 한 가문에서 축적해온 일괄 유물로 가치가 높고 강원 영동지방 근·현대 서화가의 인맥과 활동 양상을 파악할 수 있으며, 지역의 역사를 구체적으로 고증해 줄 수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문헌자료로서의 학술적·사료적 가치가 크므로 지정 보존가치가 있다.
5. 양양 낙산사 홍련암 목조보살좌상
가. 지정종별 : 강원특별자치도 유형문화유산
나. 지정명칭 : 양양 낙산사 홍련암 목조보살좌상(襄陽 洛山寺 紅蓮庵 木造菩薩坐像)
다. 수 량 : 1구
라. 시 대 : 조선시대(17세기 전반 추정)
마. 소 재 지 : 강원특별자치도 양양군 강현면 낙산사로 98-18, 낙산사
바. 소 유 자 : 대한불교조계종 낙산사
사. 관 리 자 : 대한불교조계종 낙산사
아. 지정사유
- 양양 낙산사 홍련암 목조보살좌상은 조성발원문과 복장유물이 전하지 않지만, 조각승 현진이 제작한 불상들의 특징적 요소를 보이고 있어 17세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므로 지정 보존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