덴마크 인의 '얀테의 법칙'(JANTE LAW)이란?
UN이 발표하는 인류 행복지수에서
세계 200여개 국가 중 해마다
상위권에 올라가는 나라들이 있다.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인데 그중
동화의 나라로 잘 알려져 있는 덴마크는
언제나 세계에서 가장 국민이 행복한 나라중
한 나라로 손꼽힙니다.
덴마크의 지도
그 이유가 뭘까? 왜 그럴까?
그들의 문화에는
'얀테의 법칙'(JANTE LAW)이란게 있습니다.
덴마크가 이상적인 복지와 바람직한 교육 시스템을
갖고 있어서이기도 하지만
무엇보다도 국민 행복의 토대에는
'얀테의 법칙'(JANTE LAW)이
절대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얀테의 법칙'은 덴마크의 작가가 쓴
소설에 나오는 10개조의 규칙입니다.
산데모세가 쓴 '얀테의 법칙'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내가 스스로 특별하다고 생각하지 말라.
2. 내가 다른 사람보다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하지 말라.
3. 내가 다른 사람보다 더 똑똑하다고 생각하지 마라.
4. 내가 다른 사람보다 우월하다고 자만하지 말라.
5. 내가 다른 사람보다 더 많이 알고 있다고 생각하지 말라.
6. 내가 다른 사람들보다 더 중요한 위치에 있다고 생각하지 말라.
7. 내가 무엇을 하든지 다 잘 할 것이라고 장담하지 말라.
8. 다른 사람을 비웃지 마라.
9. 다른 사람이 나에게 신경쓰고 있다고 생각하지 말라.
10. 다른 사람을 가르치려 들지 말라.
어느것 하나 버릴 수 없는 보배와 같은 내용들 임을 알 수 있어
이를 어기는 것은 공동체의 조화를 깨는 인물로 간주하였다.
산데모세는 얀테라는 마을의 노동계급에 대해 썼지만 사실
어느 인간 사회도 얀테와 같은 모습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산데모세가 이 법칙을 창작하지는 않았으며 단지 북유럽인들의
정신에 수 세기 동안 박혀 있는 사고들을 명시한 것이다.
덴마크의 국기
[사회적 효과]
얀테의 법칙은 북유럽 사회를 신랄하게 묘사한 것이지만 점차
공동체의 이익에 반하는 인물들을 비판하는 용도로 언급되었다.
(1) 북유럽 사회에서 얀테의 법칙은 공통되며,
비슷하게 입고 비슷하게 생긴 차를 타며
집집마다 비슷한 물건들을 놓고 산다.
(2) 얀테의 법칙은 주로 지방에서 강하게 언급되지만
그렇다고 도시 사람들에게 그런 면이 없는 것은 아니다.
(3) 얀테의 법칙은 일종의 사회적 관습을 키워 주기 위해
학교에서 교육하기도 한다며 비판되지만
(4) 또 북유럽 국가들의 균질하게 높은 평등한 삶의 방식에 대한
만족감으로 이어진다는 평가도 있다.
(5) 얀테의 법칙은 노르딕 사회의 높은 자살율과도
이어진다는 기사도 있다.
(6) 이상 얀테의 법칙이 북유럽 사회를 규정하지 않는다고
선언하는 사람도 있지만,
그렇게 쉽게 부정되기는 어렵다는 평가도 여전히 있다.
☞ 그렇다면. 한국사람.
☞ 우리를 망치는 대표적인 두 가지는 무엇일까?
그것은 '우월감'과 '열등감'입니다.
이것은 어디서 열매 맺는 것일까?
'비교의식' 이라는 뿌리를 통해 나오게 되는
두가지 괴물입니다.
남들과 비교해서 내가 특별하다는 생각에서 탄생되는
첫번째가 우월감이고.
거기에 미치지 못했을 때 태어나는
두번째가 열등감입니다.
우리 모두는 '우월감' 과 '열등감' 으로 인하여
많은 피해를 보면서 살아왔습니다.
지금도 그것들로 인하여 고통과 낙심과 좌절속에
살아가는 이 들이 적지 않습니다. 대부분 그렇지요.
우리가 '우월감'과 '열등감'에 빠지지 않으려면
위에 소개한 '얀테의 법칙' 꼭 기억하고 살면 됩니다.
남들과 자주 비교하다 보니 교만해지거나
아니면 절망과 우울증에 불행해 질 수 있습니다.
비교의식 없이 마음을 비우고
자신의 주제와 처지를 제대로 알고
살면 불행할 이유가 없읍니다.
덴마크 국민들이 행복한 이유는
결코 남들보다 잘 나거나 부유해서가 아니라
'사람은 누구나가 다 존귀하다'는 라는 가치관을 바탕으로
상대방에 대한 존중과 배려의 마음으로 살아가기 때문입니다.
우리또한 그런 가치관을 갖고 산다면
아무리 힘들고 어려운 형편의 처지라도
불행하다 생각하지 않을 것입니다.
우리는 남과 자신을 비교해서
우월감을 갖거나 아니면 열등감을 가진채
스스로를 불행속으로 몰아넣을 까닭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