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청와대) 2015.1.22/뉴스1 © News1 이광호 기자 |
개각 등 지난 '1·23 인사개편'의 후속인사 발표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15일 청와대 등에 따르면, 박근혜 대통령은 16일 이완구 국무총리 후보자 임명동의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 이후 신임 총리가 되는 이 후보자의 제청을 받는 형식으로 공석 중인 해양수산부 장관 등 2~3개 부처 장관의 '소폭 개각'을 단행할 계획이다.
대통령 비서실장 교체를 포함한 청와대 비서진 추가 개편 또한 개각과 동시에 발표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여권 관계자는 "임명동의안의 국회 본회의 표결 상황이 '변수'가 될 수도 있지만, 관련 부처에서도 일단 그 가결을 전제로 필요한 준비를 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면서 "설 연휴가 시작되는 18일 이전엔 후속 인사 발표가 모두 마무리될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이르면 16일 오후, 늦어도 17일 오전 중엔 개각을 포함한 인사 명단이 모두 공개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해수부 등 '소폭 개각'… 정치인 출신 중용되나?
앞서 여권 주변에선 이 후보자 지명을 포함한 지난 '1·23 인사개편'에 따른 여론의 반향이 그리 크지 않았던 데다, 여당인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큰 폭의 인적쇄신이 필요하다"는 요구가 이어진 점 등을 이유로 "개각 폭이 예상보다 커질 수 있다"는 전망이 나왔었다.
그러나 청와대 관계자들은 박 대통령이 집권 3년차를 맞아 '경제혁신 3개년 계획' 등 주요 국정과제의 성과 가시화를 거듭 독려하는 상황임을 들어 일단 "예고했던 소폭 개각의 범주를 넘어서지 않을 것"이라는 데 입을 모으고 있다.
다수 장관 교체시 그 내정자들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에만 적잖은 시일이 소요되는 만큼 그로 인한 국정공백을 막기 위한 차원에서라도 "공석 중이거나 교체가 '불가피'하다고 판단되는 장관들만 개각 대상에 포함시킬 것"이란 얘기다.
특히 최근까지 여당 원내대표를 지낸 3선 중진의 이 후보자가 예상보다 혹독한 국회 인사 청문 과정을 거친 점 또한 청와대가 개각 폭 확대를 주저하는 한 요인이 되고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이에 따라 정치권에선 해수부와 국토교통부, 그리고 통일부 등 3개 부처 장관이 개각 대상에 우선 포함될 것으로 보고 있다. 류길재 통일부·서승환 국토부 장관 모두 현 정부 출범 당시부터 일해 온 '1기 내각' 구성원인데다, 국토부의 경우 조현아 전 대한항공 부사장의 이른바 '땅콩 회항' 사건 관련한 부실 조사 논란에 휩싸인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정치권에선 유기준 새누리당 의원이 공석 중인 해수부 장관 후보로 벌써 수개월째 거명되고 있는 상황. 허남식 전 부산시장도 해수부와 국토부 장관 하마평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
통일부 장관 교체시엔 조만간 국내로 복귀하는 권영세 주중국대사나 김규현 국가안보실 제1차장 등이 후임으로 거론된다.
그러나 여권 일각에선 내년 4월에 제20대 국회의원 총선거가 예정돼 있음을 감안할 때, "현 시점에서 총선 출마가 예상되는 정치권 출신 인사들을 장관으로 기용할 경우 자칫 '시한부 내각'을 만드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우려하는 기류도 읽힌다.
현재도 최경환(경제)·황우여(교육) 부총리와 김희정 여성가족부 장관이 여당의 현역 국회의원 신분을 유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완구 후보자가 총리에 임명되면 내각 내 국회의원 겸직 인사는 모두 4명으로 늘어난다.
아직 이들 중 내년 총선 불출마 의사를 공식화한 사람은 없다. 다만 이 후보자의 경우 지난달 23일 총리 후보 지명 당시 "내 공직의 마지막 자리란 각오와 함께 (제의를) 수락했다"고 밝혀 총선 불출마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란 해석을 낳기도 했다.
◇'김기춘 후임은 누구?'… 지지율 하락 만회할지 주목
청와대 비서진의 추가 개편과 관련해선 김기춘 대통령 비서실장의 교체 여부와 함께 그 후임으로 어떤 인물이 발탁될지가 가장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김 실장의 교체에 대해 "지켜보자"며 말을 아끼고 있지만, 정치권에선 김 실장의 교체 가능성 쪽에 무게를 두고 있다.
작년 말 이른바 '정윤회 문건' 파문 이후 청와대를 향한 정치권 안팎의 인적쇄신 요구에 소극적 태도를 보인 사실이 올 초 박 대통령 지지율 하락의 결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판단되는 만큼 "이번 인사에서 이를 만회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다.
여권 관계자는 "이 후보자 임명 문제에 관한 여론이 그리 호의적이지 않은 상황에서도 개각도 별다른 '임팩트'를 주기 어렵다면, 결국 청와대 비서진 인사가 핵심이 될 수밖에 없다"며 "김 실장 교체 얘기도 그런 맥락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박 대통령은 지난달 12일 신년 기자회견 당시 김 실장의 거취 문제에 대해 "당면 현안 수습 뒤 결정할 문제"라고 밝힌 바 있다.
김 실장은 이후 청와대 인사위원장으로서 '1·23 인사개편'과 그 후속조치에 힘써왔다고 한다.
김 실장의 후임으론 김병호 한국언론진흥재단 이사장,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현경대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수석부의장, 황교안 법무부 장관 등 복수의 인사들이 거명되고 있다. 권영세 대사의 실장 발탁 가능성을 점치는 시각도 있다.
이런 가운데, 일각에선 박 대통령의 과거 국회의원 시절 '경제 교사'로 불렸던 이한구 새누리당 의원이 지난 13일 차기 총선 불출마를 선언함에 따라 '개각 또는 청와대 비서진 개편과 연관이 있는 게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기도 한다.
그러나 정치권에선 그간 실장 후보군으로 거명돼온 인사들에 대해 대체로 "신선도가 떨어진다"는 평가를 내놓고 있어 '제3의 인물'이 기용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이밖에 정무 담당 대통령 특보(특별보좌관)가 신설될 경우엔 정치권 출신 인사들이 기용될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서울=뉴스1) 장용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