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여정부의 공약인 이른바 광주의‘문화수도론’이 한때 사람들 사이에 요란스럽게 등장했다가 언제부터인가 ‘문화중심도시’로 슬그머니 꼬리를 내리더니 이젠 ‘아시아문화중심도시’라는 말로 둔갑해 흡사 새마을운동 구호처럼 회자되고 있다. 이런 현란한 변화과정을 바라보는 광주시민의 한 사람으로서 도무지 종잡을 수 없고 어지럽기까지 하다.
우선 중심개념(문화수도, 문화중심도시, 아시아문화중심도시)에 대한 명쾌한 용어 정리는 광주의 문화도시건설계획에 몸담은 사람들이 광주시민들이 알아들을 수 있도록 보다 명료하고 현실성 있는 차원에서 제시할 일이다. ‘문화수도’라는 개념은 향후 광주의 지향점이라는 것을 감안한다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여겨지지 않으며, ‘문화중심도시’는 광주를 우리나라 문화의 중심도시로 건설하겠다는 뜻보다는 이른바 지역균형발전의 일환에서 광주의 발전전략으로서 문화를 부각시킨다는 의미로 들린다. ‘아시아문화중심도시’라는 개념 역시 좀 더 겸허하게 정리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광주의 문화도시건설계획의 핵심은 무엇보다 문화를 통해서 밥 먹고 살 수 있도록 하자는 데 있는 것 같다. 여기서 문화 개념은 지역경제발전,산업화, 수출 등과 거의 동의어나 마찬가지다. 그러나 이러한 문화의 개념은 광주가 자랑삼는 민주, 인권, 평화의 개념이나 예향의 도시로서의 위상과 어울리지 않는다. 게다가 문화는 사우나 실에 들어앉아 있는 것과는 근본적으로 다르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문화는 단숨에 땀을 빼듯 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이다.
진정한 문화는 단순히 장삿속으로 사람들의 소비욕망을 일깨우는 것이거나 문화를 통해 다른 문화에 대한 우월적 지배력을 얻기 위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깊은 감수성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모든 관계와 삶과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인간의 가장 깊은 존재행위가 바로 감수성이다. 이 존재행위로서 감수성은 세상과 인간 그리고 다른 문화를 향한 열린 마음이며 그런 의미에서 자기초월적이고 전복적 힘이며 역동성이다. 이 감수성의 심층을 열고 일깨우는 것이 광주의 정신을 문화에 담는 것일 게다.
광주의 미래적 문화도시로서의 진면목이 혹여 문화장사치들의 밥벌이 터전으로 드러나지 않기를 바랄 뿐이다. 소박한 일상의 삶의 공기처럼 그렇게, 사고팔 수 없고, 지배할 수도 없으며, 폐쇄적인 집단의 배타적이며 독점적인 전유물일 수도 없는 그런 문화, 누구에게나 꼭 필요한 따뜻한 밥 한 그릇 같은 문화의 도시를 그려본다. 김정용〈신부·광주가톨릭대학 교수〉
첫댓글 "모든 관계와 삶과 사물의 본질을 파악하기 위한 인간의 가장 깊은 존재행위가 바로 감수성이다." -- 우와 ... 너무도 심오하고 따뜻한 글을 읽었습니다.
신부님 축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