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2008년 3월에 읽은 김혜남 박사님의 <서른 살이 심리학에 묻다>란 책을 서평한 글입니다.
이 책을 소개하는 이유는 제가 심리에 뜻을 두게 된 본격적 계기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올해 <심리학이 서른 살에게 답하다>란 책을 내셨는데, 아직 그 책을 읽지는 않았지만, 서른을 관통하며 살아가는 주체들의 의미를 다룬 책이라 여겨집니다.
서른, 그대여 거침없이 앞으로 나아가라!..
내가 태어났을때 나는 어디론가 향해하는 배 한가운데 있었다.
내나이 서른을 훌쩍 넘어서도 마찬가지 이름모를 목적지를 향해 탑승한 수많은 사람들 사이에 끼어 있을 뿐, 그렇게 점점 나이를 먹으며 자연스럽게 시간을 타고 흐르는 여행에 동참하고 있다.
문득 난 어디까지 여행을 해왔고, 무엇을 얻었고, 행복을 얼마나 갈구했었는지 궁금해졌다.
보통 평범한 내 모습, 과거의 내가 미래를 향해 그토록 갈구했던 현실이 지금인것이다. 막연한 미래를 꿈꾸듯, 언젠가는 지금처럼 현실의 내 모습을 직시할 추억을 갖겠지만, 나이 서른이 갖는 상징적인 의미를 이 한권의 책, <서른살이 심리학에게 묻다>에서 만났다.
욕망을 직시하는 나이가 서른살 즈음이 아닐까?
희망이나 소망보다 더욱 진한 원색의 빛깔을 띤 욕망은 순수한 동심에서 변질된 내안의 또 다른 자아이기도 했다.
한때 대박을 소원하며 로또없이는 버티기 힘든 하루도 있었고 그 여자 없이는 하루도 못살 것같은 뜨거운 정열을 품은 날도 있었고 아이의 탄생으로 온 세상을 얻은 것 같은 환희에 들뜬 날도 있었다. 내게 서른의 시작은 그렇게 시작됐다.
내가 탄 배가 옳게 가고 있는지는 아무도 모른다. 선장도 없고 향해사도 없다. 배의 주인이 나였다는 사실을 우습게도 서른이 지나고서야 알았기 때문이다.
시크릿의 비밀은 꿈..
이 책은 내 인생에 대해서, 서른이 내게 준 느낌과 시련, 과거와 현재를 잇는 의식의 흐름을 편안하게 해준다.
마치 한편의 영화를 본듯한 느낌, 잔잔히 밀물처럼 밀려오는 여운을 느끼노라면 서른이 내게 준 선물은 행복을 찾기 위한 과정이었다고 알려준다.
서른 여섯살에 성공을 찾은 대박 신화의 주인공 폴포츠 그의 성공은 우연이 아니었다. 어릴적부터 실패로 점철된 인생이었지만 희망을 버리지 않았다. 해리포터의 작가 조앤 롤링이 첫권을 발표했을때 나이가 서른 둘이었다.
현실이 무섭더라도, 힘들더라도 버틸수 있었던 것은 그들 모두 꿈을 꾸었기 때문이다.
서른이 내게 준 시련은 가혹한 현실과 이상과의 괴리였지만, 성공을 움켜진 사람들의 공통점은 희망을 갈구하는 진정성에 있었다는 점을 이 책을 통해 새삼 각인하는 동기가 되었다.
영화를 보는 즐거움, 책 속의 책을 읽는 즐거움
어떤 키워드에 관해 설명의 줄기를 한편의 영화에서, 책에서 발견하고 그 맥을 이어간다.
독자는 어느덧 저자의 장단에 손과 발을 편안히 내려놓고 편안히 눕는다.
매일 백오십번 선택의 기로에 선 사람들에 관해 설명하면서 올더스 헉슬리가 쓴 <멋진 신세계>의 한 장면을, 그리고 <악마는 프라다를 입는다>에서 저널리스트를 선택한 앤드리아의 모습을 비춘다.
"정말 당신은 어쩔수 없이 그 일을 하고 있나요?"
스파이더맨3에서 심비오트에 감염된 피터처럼 내제된 사람의 본능의 악마를 소개한다.
파괴적이고 이기적인 욕망들, 과거의 상처에서 비뚤어진 마음을 회복하는 과정을 한편의 영화에서 훑어본다.
삭막한 세상에서 살아남기 위해 이기적이기를 자처하는 사람들에게 또다른 작품을 소개한다.
마치 앨봄의 <천국에서 만난 다섯 사람>에서 주인공 에디의 이야기를 들어보자.
아이를 구하려다 불의의 사고로 죽은 애디는 그가 어릴적 차도로 뛰어든 자기로 인해 죽은 다른 사내를 만나면서 듣게 된 말들..
"내가 죽어서 당신이 살게 된 것이 좋은 것이고, 타인이란 아직 미처 만나지 못한 가족일 뿐이라고.."
이 책에서 나를 집중 탐험하는 시간은 방어기제를 점검해보는 시간이다.
골방에서 책을 읽으며 내가 환호성을 터뜨린 단어는 시니컬하게도 소통과 공감이란 단어였다.
내면의 아픔을 대화할 사람 없이 관계의 부재속에 오래동안 방치된 나는 타인을 공감할수 있는 능력을 잃어버린 사람들 중의 한명이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서로 다른 타인끼리 살수 있는 이유는 다양성을 인정하고 타인을 뜨겁게 배려하는 공감 능력이다.
언젠가 읽었던 장자의 책에서 얻은 작은 깨달음을 떠올려보면, 누구나 자신의 슬픔만이 고달프다고 토로한다는 것이다.
남의 처지야 어찌됐든 말든 내 처지가 가장 고단할 뿐이다. 유아기적 피해자 증후군 신세를 면치 못하는 내 처지야 말로 공감 능력을 상실했으나 버젓이 남을 위로한다고 가장한 처지는 동정에 지나지 않았다.
서른 살의 방어기제, 이 글을 읽는 당신은 어떤 방어기제를 지녔는가? 짧지 않는 글을 읽으며 서늘히 옷 한자락을 붙잡지 않을까?
끝으로 서른이 묻는 심리학에게 큰 인상을 받은 부분은 '결혼, 그 두려움'이었다.
말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란 책에서 토마스가 테레사를 찾아가 마침내 둘의 사랑을 확인한 날 교통사고로 목숨을 잃은 장면을 소개한다. 저자는 둘이 죽지 않았어도 만일 결혼했다면 반드시 후회했을 것이라 추측했다.
결혼.. 서로에 대한 기대와 실망, 애정과 미움 등 온갖 감정이 끊임없이 뒤섞인다..라고 말한 대목이 차가운 메스로 가슴을 베어내는 아픔을 느끼게 한다. 정말 아무것도 아닌 일로 싸우고, 다른 사람에게 하지 않을 치명적인 말도 서슴없이 내뱉고 서로 큰 상처를 입은 가운데 시간이 지나 아무것도 아니듯이 하루가 흐른다. 리처드 스틸의 "결혼이란 우리가 이 세상에서 경험할 수 있는 가장 완벽한 이미지의 천당과 지옥이다"라는 말에 확연히 공감하는 순간. 상대의 마음이 다치치 않도록, 상대의 힘든 부분을 같이 나누려 노력해야만 일상의 지루하고 소모적인 일들에 치이지 않고 행복해질수 있다는 구절에 눈길이 머무른다.
김형경 작가의 <천 개의 공감>을 읽어보았다면 편하게 읽어볼수 있는 책이라 사려된다.
서른 살, 성공하고 싶은 이에게, 뜨겁게 사랑하고 싶은 이에게, 행복을 갈구하는 이에게 읽어주고 싶다.
그들과 더불어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 소통과 공감이란 주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