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0년 수도 서울을 지켜온 국보1호 숭례문(崇禮門·옛 남대문)이 화재로 삽시간에 잿더미로 변한 가운데 충북지역에 산재한 목조 문화재들도 화재위험에 무방비로 노출돼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
|
|
▲ 왼쪽부터 청주 보살사 극락보전, 충북도병마절도사영문, 청주 중앙공원 망선루. |
| ▶충북도내 문화재 현황=충북도내에는 국보 55호인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을 비롯한 국보 13건, 보물 915호인 법주사 대웅보전을 비롯한 보물 74건, 도지정유형문화재 242건, 사적 18건 등 총 623건의 문화재가 산재해 있다.
이 중 목조건축 문화재는 사찰 17건, 향교 18건, 관아 13건, 루·정·각 21건, 고가 44건, 재실 8건, 사묘 28건, 서원 4건, 교회건축 3건, 기타 8건 등 목조건축 문화재는 163건에 달하고 있으며, 이들 대부분 화재에 취약한 상태다.
▶화재 대책 허술=대부분 오래된 목조 건물인 이들 문화재는 화재에 매우 취약하지만 지방자치단체 등 관리당국의 소방안전 점검은 극히 기본적인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실정이다.
목조문화재가 지역 곳곳에 산재해 있지만 이들 대부분은 분말소화기만 비치해 놨을 뿐 스프링쿨러 등의 자동소화설비를 설치한 곳은 단 한 곳도 없는 실정이다. 일부는 아예 소화기조차 없는 곳도 있다.
국보 55호인 법주사 팔상전 등 국가지정 문화재 22건, 도지정 문화재 38건 등 60건의 문화재가 몰려있는 보은군의 경우 소화기와 CCTV 28대가 설치돼 있을 뿐 스프링쿨러 등의 안전대책은 전무하다. 야외노출 문화재의 경우 소화기 비치마저 쉽지 않은 상황이다.
실제로 충북도지정문화재인 청주 중앙공원 망선루의 경우 소화기를 비치해 놓았지만 야간에 취객이나 청소년들이 장난으로 소화기를 분사하는 경우가 많아 현재는 소화기 조차도 없는 상태다. 사적인 청주상당산성도 각 성문에 소화기를 놓아두었지만 며칠 가지 못해 분실되는 경우가 많아 이곳에도 소화기를 비치하지 않고 있다.
▶목조문화재 화재 2년간 6건=이같은 방재시스템 허술로 충북도내 목조 문화재에서 최근 2년동안에만 모두 6건의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 문화재의 경우 화재 당시 소화기만 갖추고 있었을 뿐 소화전, 소화수조, 자동화재경보시설, 시각경보 등의 화재안전시설은 전혀 없었던 것으로 충북도 자료 결과 확인됐다. 또 산중에 위치해 있어 소방차 진입에만 가섭사의 경우 20분 이상 걸린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10월1일 옥천군 동이면 우산리 한국불교여래종 총본산인 대약사사에서 방화로 인한 불이 나 대웅전을 모두 태운 뒤 2억5천만원의 재산피해를 낸 뒤 1시간만에 꺼졌다.
이밖에 지난 2005년 1월11일 오후 2시57분께 보물로 지정된 보은군 법주사 복천암에서 원인미상의 불이 나 9천만원의 피해를 낸 뒤 꺼지기도 했다.
▶체계적 관리 필요=김경표 충북도 고건축분야 문화재위원(충북대학교 건축공학과 교수)은 "지역에 산재해 있는 문화재를 관리할 수 있는 부서가 만들어져 체계적인 관리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은 "세계 최고의 목조건축인 일본 법륭사의 경우 지어진 지 1천300년이 지났지만 철저한 관리시스템으로 재난과 화재를 예방하고 있다"며 "법륭사에는 각 법당마다 CCTV가 설치돼 있고, 심지어 5층탑 내부까지 폐쇄회로가 설치돼 있어 통제실에서 모든 문화재를 관리해 각종 화재나 재난으로부터 문화재를 보호하고 있다"고 말했다. / 사회부
■ 2007년 도내 사찰 및 목조문화재 소방검사 결과 |
대상명 |
위치 |
불량내용 |
도안사 |
충주시 금가면 문산리 5-13 |
분기 과전류차단기 정격용량 과다 |
황강영당 및 수암사 |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산 34 |
수동식소화기 미비치 |
원호유허비 및 관란정 |
제천시 장곡리 산 14-2 |
수동식소화기 미비치 |
한수 명오리 고가 |
제천시 한수면 송계리 723-1 |
수동식소화기 축압불량 |
지장사 |
영동군 황간면 난곡리 523-1 외 2 |
소화기 축압불량 |
영국사 |
영동군 양산면 누교리 1397 |
소화기 축압불량 |
덕산양조장 고택 |
진천군 덕산면 용몽리 572-16 |
소화기 축압불량 |
용흥사 |
음성군 금왕읍 용계리 166-1 |
자탐 수신반 예비전원 불량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