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쉽다고 하는 우리말은 존대법이 생각보다 참 어렵습니다.
오래 머문 탓으로 한국인보다 더 익숙한 우리말을 사용하는 외국인들도
조사나 어미도 어렵지만, 존대법은 더 어렵다고 이야기합니다.
어디에 ‘시’를 넣어야 하는지도 어렵고, 어느 선까지 ‘님’자를 붙여야 하는지도 어렵다고 하지요.
그런데 우리나라 사람들도 마찬가지라는 생각을 할 때가 잦습니다.
무한 재생 반복되는 영상 속에 나오는 사람들도 틀리게 말하는 경우가 많고,
교회에서 부르는 호칭에서도 잘못된 경우가 흔하거든요.
TV 교양 프로그램이었는데, 사회 보던 여자가 툭 하고 던진 말이 그러했네요.
“어휘가 낯선 게 계실 것 같아요.”
도대체 저런 표현이 왜 나올까 하고 귀를 의심하지 않을 수 없었지요.
유정물도 아닌 ‘어휘’에다가 ‘계시다’라는 높임 표현을 쓴 것도 틀렸는데,
‘같아요’라는 추측의 용어를 쓴 것도 조금 이상했습니다.
물론 저런 상황에서는 완전히 틀렸다고는 할 수 없지만
불확실하게 표현하는 것보다는 “낯선 어휘가 있나 봐요?”(어휘가 조금 낯설지요?)
라고 해도 무방할 것을...
제 가까운 친척이 기독교집안이라 서로 호칭이 다른 친척과는 조금 다르다는 걸 아실겁니다.
목사님이 가장 존중받고 그 부인 역시 '사모'라고 불립니다.
직책에 따라 장로, 권사, 집사 등등으로 틉별한 호칭이 있습니다.
그런데 교인들 끼리가 아니라면 듣는 사람에게 불편하게 들리지 않도록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잖아요.
그런데 이상한 것은 그 목사라는 이가 자기 아내를 일컬어 ‘사모’라고 하는 겁니다.
목사의 아내를 사모라고 하는 것이 틀렸다는 것이 아닙니다.
자신의 아내를 사모라고 부르는 것이 옳지 않다는 말이지요.
자신의 아내는 그냥 ‘아내(혹은 안사람, 내자 등)’라고 하면 되는데,
굳이 친척들 앞에서 굳이 ‘사모’라고 지칭하는지 쉽게 이해가 되지 않았습니다.
일반 언중에게 ‘사모’라는 말은
‘스승의 부인, 스승이 될 만한 존경하는 사람의 부인을 높여 이르는 말, 목사의 부인’을 이르는 말입니다.
다른 사람이 높여주는 것이 ‘사모’이지, 자신의 아내를 스스로 높이는 것은 옳지 않아 보입니다.
아이고, 우리말 참 어렵습니다.
하기야 대통령 부인을 두고 '여사' 니 '영부인'이니 따따부따하는 작금의 언어혼돈 시대라면
말 한마디라도 더욱 조심해야 하겠습니다.
고맙습니다.
-우리말123^*^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