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나귀를 타신 겸손과 평화의 왕 (요한복음 12:12~19)
오늘의 말씀
12 그 이튿날에는 명절에 온 큰 무리가 예수께서 예루살렘으로 오신다는 것을 듣고
13 종려나무 가지를 가지고 맞으러 나가 외치되 호산나 찬송하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 곧 이스라엘의 왕이시여 하더라
14 예수는 한 어린 나귀를 보고 타시니
15 이는 기록된바 시온 딸아 두려워하지 말라 보라 너의 왕이 나귀 새끼를 타고 오신다 함과 같더라
16 제자들은 처음에 이 일을 깨닫지 못하였다가 예수께서 영광을 얻으신 후에야 이것이 예수께 대하여 기록된 것임과 사람들이 예수께 이같이 한 것임이 생각났더라
17 나사로를 무덤에서 불러내어 죽은 자 가운데서 살리실 때에 함께 있던 무리가 증언한지라
18 이에 무리가 예수를 맞음은 이 표적 행하심을 들었음이러라
19 바리새인들이 서로 말하되 볼지어다 너희 하는 일이 쓸데없다 보라 온 세상이 그를 따르는도다 하니라
오늘의 말씀요약
명절에 예수님이 어린 나귀를 타고 예루살렘으로 가십니다. 큰 무리가 종려나무 가지를 가지고 나가 “호산나…이스라엘의 왕이시여”라고 외치며 예수님을 맞이합니다. 나사로를 살리신 예수님의 표적에 대해 들었기 때문입니다. 한편 바리새인들은 온 세상이 예수님을 따른다고 말하며 경계합니다.
오늘의 말씀해설
종려나무 가지와 어린 나귀 (12:12~15)
예수님을 환호하는 무리는 자신들을 로마 제국에서 해방시켜 줄 정치적 왕을 기대했습니다. ‘종려나무’에 해당하는 헬라어 ‘포이닉스’는 ‘불사조’(phoenix)를 뜻합니다. 유다 마카베오가 수전절에 종려나무 가지를 가지고 성전에 들어왔고(주전 164년), 그의 형 시몬이 예루살렘을 되찾았을 때도 유대인들은 종려나무 가지를 흔들며 환호했습니다(주전 141년). 이렇게 종려나무는 승리와 구원을 상징합니다. 무리가 “호산나”(“지금 구원하소서.”라는 뜻)를 외치며 예수님을 이스라엘의 왕으로 환호합니다(13절). 예수님의 예루살렘 입성은 마치 왕의 대관식과도 같지만, 예수님은 무리가 바라는 혁명적 왕으로 오신 것이 아닙니다. 예수님은 스가랴의 예언처럼 어린 나귀를 타신 겸손의 왕이요(슥 9:9), 두려워하는 백성을 위로하시는 평화의 왕입니다(15절).
- 예수님이 어린 나귀를 타신 것은 무엇을 의미하나요? 내가 직위나 권위를 내려놓고 겸손하게 행동할 일은 무엇인가요?
예수님에 대한 사람들의 반응 (12:16~19)
예수님이 어린 나귀를 타고 입성하시자 사람들의 반응이 각기 다릅니다. 먼저 제자들은 그 일의 의미를 깨닫지 못합니다. 그들은 예수님이 영광을 얻으신 후, 곧 부활하시고 승천하시는 것을 본 후에야 그 의미를 깨닫게 됩니다(16절). 예수님이 나사로를 살려 내신 일을 보거나 들은 무리는 그분이 그러한 표적을 다시 보이실 것을 기대하며 환호합니다(17~18절). 한편 바리새인들은 온 세상이 예수님을 따른다며 분개합니다(19절). 교만한 자들은 만왕의 왕이신 예수님이 연약한 나귀 새끼를 타시고 예루살렘에 입성하신 의미를 결코 알지 못합니다.
- 예루살렘에 입성하시는 예수님을 두고 무리와 바리새인들의 반응은 각각 어떠했나요? 나 중심으로 판단하지 않도록 주의할 일은 무엇인가요?
오늘의 기도
주님, 세상의 주인이자 왕으로 이 땅에 오신 주님을 찬양합니다. 제 삶의 구원자이신 주님께 제 마음의 왕좌를 내어 드립니다. 군림하는 이 땅의 왕들과 달리 나귀를 타고 왕으로 오신 예수님처럼, 저도 보냄받은 자리에서 겸손하게 행하며 주님을 온전히 따르게 하소서.
* 생명의 삶 텍스트 콘텐츠 저작권은 두란노서원에 있습니다.
첫댓글 12 그 이튿날에는 명절에 온 큰 무리가 예수께서 예루살렘으로 오신다는 것을 듣고
13 종려나무 가지를 가지고 맞으러 나가 외치되 호산나 찬송하리로다 주의 이름으로 오시는 이 곧 이스라엘의 왕이시여 하더라
14 예수는 한 어린 나귀를 보고 타시니
15 이는 기록된바 시온 딸아 두려워하지 말라 보라 너의 왕이 나귀 새끼를 타고 오신다 함과 같더라
16 제자들은 처음에 이 일을 깨닫지 못하였다가 예수께서 영광을 얻으신 후에야 이것이 예수께 대하여 기록된 것임과 사람들이 예수께 이같이 한 것임이 생각났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