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阿美族豊年祭
○ 臺灣原住民은 17世紀 中國大陸의 沿海岸地域의 漢族들이 臺灣으로 侵入하여
大擧移住하여 건너오기 以前부터 이미 臺灣과 그 周邊島嶼地域에 살고있던 사
람들을 가리킨다. 原住民族은 言語와 文化的으로 南島語系(Astronesian)에 屬하
며, 淸代에는「藩人」이라 불리어졌고, 日本占領時代에「高砂族(Takasago)」이
라 불렀다. 그러다가 日本이 물러나자「高山族」이라 하였고, 國民黨政府가 臺
灣에 들어온 以後에는 또다시「山地同胞」와「平地高山族」이라 부르다가, 民
族間輕視風潮를 解消하기 爲하여 1994年에「山地同胞」를「原住民」이라고 바
꿨다가 한 발 더 나아가 1997年「原住民族條款」을 制定하게 되어 그 以後부터
「原住民族」이란 用語로 다시 바꿔 부르고 있다.

▲ 鄒族 - mayasvi祭典活動
○ 臺灣의 全體人口는 2,300萬名에 가까운데 그 中 原住民은 겨우 40餘萬名 程度
되니 總人口數의 2%를 넘지 않는다. 考證이 可能한 歷史遺跡으로 推算해 볼 때,
臺灣原住民은 臺灣이라는 섬에서 적어도 5千年 以上을 살아왔다.

▲ 泰雅族의 集團體操活動
○ 비록 13世紀頃에 바다를 사이에 둔 中國人과 微弱한 接觸이 있긴 하였지만 嚴
密히 말하자면 1624年과 1626年 네덜란드와 스페인이 각각 臺灣을 侵入해 그들
의 植民據點을 마련하기 前까지 臺灣 原住民은 繼續해서 臺灣의 唯一한 主人으
로 그 어떤 特定한 政權에도 隸屬됨이 없이 각기 獨特한 社會 文化制度를 發展
시키며 自給自足의 生活을 營爲해 왔다.

▲ 布農族 - 加拿小米祭
○ 臺灣原住民은 臺灣의 全地域에 分布되어 있는데 그 중 現在 이미 完全히 漢族
에 同化된 평포족(平埔族)은 大部分이 臺灣의 西部平原에 자리하고 있다. 그리
고 自身들의 固有文化를 如前히 保存하고 있으면서 臺灣政府에 의해 “原住民”
이라고 認定된 大部分의 住民들은 高山地域이나 臺灣의 東部平原 및 臺灣東南
方에 位置한 蘭嶼島에 住居하고 있다.

▲ 噶瑪蘭族 - 大峰峰海祭
○ 初期人類學者들의 硏究에 根據하여 볼 때, 이미 漢族化된 平埔族은 大體的으
로 9個의 種族으로 構成되어 있다. 즉 갈마란(葛瑪蘭, Kavalan)、도카사(道卡斯,
Taokas)、개달격란(凱達格蘭, Ketagalan)、 파칙해(巴則海, Pazehe)、파포랍(巴
布拉, Papora)、묘무동(貓霧棟, Bobuza)、홍안아(洪安雅, Hoanya)、서랍아(西拉
雅, Saisyat)、뇌랑(雷朗, Luilang)이다.

▲ 排灣族 - 土坂村五年祭
○ 國民黨一黨執權時節의 臺灣政府에서 認定하여 주던 原住民은 처음 9個種族이
었다가 그후 10個에 限하고 있었다. 阿美族(아메이족)、泰雅族(타이야족)、排
灣族(파이완족)、布農族(뿌농족)、卑南族(피난족)、曹族(짜오족)、鄒族(취족)、
魯凱族(루카이족)、賽夏族(싸이시아족) 및 蘭嶼島에 사는 雅美族(야메이족)이
그것이었다.

▲ 卑南族 - 小米收獲祭
○ 政府의 認證標準이 비록 人類學者들의 硏究를 根據로 삼고 있었지만 그 후 種族
들의 意識水準이 向上되어, 種族에 대한 稱號와 分類 方式에 對해 原住民社會의
意見이 政府와 다른 경우도 많았다. 原住民의 엘리트들은 原住民이나 原住民의
種族分類에 對해서 새로운 定義를 내릴 것을 要求하였다.

▲ 魯凱族 - 豊年祭合唱大會
○ 주로 泰雅族에서 다시 區分되어 나온 太魯閣族(또는 賽德克族이라 부른다)이나,
처음 248名밖에 남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던 日月潭近處인 德化社의 소족(邵族)은
過去에 人口가 너무 적다는 理由로, 政府는 이들이 漢族化해 버린 것으로 看做하
여 原住民에 包含시키지 않았던 것도 잘못된 것이라고 主張했다. 그래서 最近들어
그들은 剝奪 當한 自身들의 種族身分을 回復시켜 줄 것을 꾸준히 要求하여 왔다.
그들 역시 如前히 自身들만의 種族, 文化에 대한 認識을 같이하고 있다.

▲ 賽夏族- 律動的舞蹈
○ 그리고 蘭嶼島의 原住民인 雅美族의 正確한 種族名은「達悟族」이었으나, 學者
들의 잘못으로 因하여 그들의 種族名이 엉뚱하게 불리어지게 되었다. 또 줄곧 完
全히 漢族化된 것으로 여겨졌던 平埔族도 原住民運動의 刺戟을 받아 서서히 歷史
의 그늘에서 벗어나 政府에 대해 原來의 種族 身分을 回復시켜 줄 것을 要求하여
왔다.

▲ 邵族 - 秋收祝祭
○ 그러다가 地方住民에 의한 自治制가 實施되고, 臺灣 本省人들을 爲主로 한 統治
階級이 形成되자 原住民들에 對한 認識과 方式도 달라지고 있다. 過去 10個 種族
만 認定하던 原住民의 分類를 「갈마란족(葛瑪蘭族)、살기래아족(撒奇萊雅族)、
태로각족(太魯閣族)」을 原住民分類에 追加로 넣고, 人口가 적다는 理由로 따로
分類를 하지 않았던 「邵族」을 認定하였다. 그랬더니 다시 분류된「邵族」도 그
申告者 숫자가 600여명으로 늘어났다.

▲ 雅美(達悟)族 - 徐明正蘭嶼造舟影像
○ 지금은 臺灣政府에서 公式으로 認定한「原住民族」은 ①泰雅族 ②賽夏族 ③太魯
閣族 ④邵族 ⑤阿美族 ⑥撒奇萊雅族 ⑦噶瑪蘭族 ⑧曹族 ⑨布農族 ⑩鄒族 ⑪魯凱族
⑫卑南族 ⑬排灣族 ⑭雅美族(達悟族)으로 모두 14個 民族이다.

▲ 撒奇萊雅族 - 豊年祭

▲ 太魯閣族 - 樂舞"走過虹橋"的首演

▲ 曹族人之活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