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논문 목록
* 출처: 송향근(2011). 음운 이론과 한국어 발음 교육.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21-28쪽.
*엮은이(송향근) 주: 3장에서 발음 교육 연구 논문의 분석은 관련 논문이 최초 발표된 1986년부터 2010년 8월까지의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으나, 2006년까지의 연구 목록은 김상수․송향근(2006)을 참고할 수 있기에 생략하고 여기서는 2007년부터의 연구 목록만 수록한다.
1. 발음교육 요소
<학위 논문>
강철서(2009), 한국어 모음 교수-학습 방안: 이주노동자를 대상으로, 인하대 석사논문.
권성미(2007), 한국어 단모음 습득에 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 이화여대 박사논문.
김경미(2007),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단모음을 중심으로, 부경대 석사논문.
김용렬(2008),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발음 교육 방안-자음동화 현상을 중심으로. 부산대 석사논문.
김정윤(2007). 영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발음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김지은(2010), 지각 훈련을 활용한 한국어 분절음 교육 방안: 중국인 초급 학습자의 파찰음지각과 산출을 중심으로, 고려대 석사논문.
김희정(2010), 베트남 결혼이주여성의 한국어 발음오류와 발음교육: 평음, 격음, 경음을 중심으로, 군산대 석사논문.
란샤오샤(2007), 방언권에 따른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연구, 서울대 석사논문.
박지연(2010),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 단모음 지각과 산출 관계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범류(2010),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ㄹ’ 발음을 중심으로, 연세대 박사논문.
비강강(2010),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겹받침 발음 교육 방안 연구, 한남대 석사논문.
서승아(2010),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자음과 모음을 중심으로, 우석대 석사논문.
소열녕(2008), 韓國語와 中國語 破裂音의 實驗音聲學的 對比 硏究, 성균관대 석사논문.
소원군(2010), 중국어 방언권에 따른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연구: 관화방언, 오방언, 월방언권을 중심으로, 부산외대 석사논문.
신노 토모코(2007),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억양 교육 방안: 접속구 경계 운율구조를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논문.
안연희(2007),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연구. 충남대 석사논문.
여정화(2008), 일본어 모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비음․유음을 중심으로, 부경대 석사논문.
유재선(2009), 러시아어권 한국어 초급 학습자를 위한 자음 발음 교육 방안, 부산외대 석사논문.
윤정기(2009), 한국어 장애음 발음 교육에 관한 연구, 충남대 석사논문.
이명남(2010), 중국어권 초급 학습자를 위한 자음 발음 교육 방안 연구: 파닉스(Phonics)를 중심으로, 한국외대 석사논문.
장우군(2009), 중국인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성 발음 교육 방안 연구, 한국외대 석사논문.
정미지(2000), 일본인 한국어 학습자의 평음, 격음, 경음 발음에 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논문.
최현숙(2008),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된소리 발음 교육 연구, 충남대 석사논문.
필라델퍼브 꼰스딴친(2007), 한국어 자음과 러시아어 자음의 발음 비교 연구, 우석대 석사논문.
<학술지 및 학술대회 발표 논문>
김수현(201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의 억양 교육 연구, 한국문화연구 18, 이화여대 한국문화연구원.
박기영(2009b),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종결어미의 억양 교육 방안 -특히 양태 의미에 따른 억양 차이를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34, 우리어문학회.
박시균․권병로(2008), 외국어 화자에게 어려운 한국어 자음 분석 및 교육 방안 모색 -영어 화자를 중심으로, 국어문학 45 , 국어문학회.
박해연(2007), 한국어 억양 발음 교육 -한,중 의문문 억양 곡선 비교를 중심으로-, 선청어문35,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
신지영(2010), 한국어 사전 표제어 발음의 음소 및 음절 빈도, 언어청각장애연구 15-1,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양명희(2009),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글 자모와 발음 교육 방법에 대하여, 語文論集 41, 중앙어문학회.
양순임(2010), 한국어 발음 교육에서의 길이, 우리말연구 26. 우리말학회.
여학봉(2007), 중국어권 화자를 위한 한국어 자음 발음 교육, ‘高凰論集’40, 경희대학교 대학원 원우회.
오광근(2008), 기초 단계의 한국어 자모 교육, 韓民族語文學 53, 韓民族語文學會.
조 가(2008), 한국어 경구개 자음의 발음교육 연구 -중국어권 학습자 대상으로-, 高凰論集 43, 慶熙大學校 大學院. 61-77.
허 용(2008), 중간언어 음운론을 위한 자음 연구, 한국어교육 19-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 발음교육 자료
<학위논문>
김미경(2009), 한국어 발음 교재 개발과 지도 방안, 영남대 석사논문.
김지연(2010),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자모교육 소프트웨어, 이화여대 석사논문.
김형민(2008), 독학용 한국어 발음 교재 개발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이 숙(2010), 한글의 음향적 특성에 따른 음악 적용 한국어 발음 교육 프로그램 개발, 숙명여대 박사논문.
이주희(2009), 요구 분석을 통한 한국어 초급 발음 교재 연구, 경희대 석사논문.
민상희(2010), 여성 결혼 이민자를 위한 독학용 한국어 발음 교재 개발 방안 연구: 베트남인 여성 결혼 이민자를 대상으로, 부산외대 석사논문.
황지유(2010), TV 광고를 활용한 한국어 발음교육 연구: 소리의 반복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외대 석사논문.
<학술지 및 학술대회 발표 논문>
권현주(2008), NHK 한국어 강좌 교재의 발음표기에 대한 실태 분석 -종성 발음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19-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김은애․박기영․박혜진․진문이(2008), 한국어 억양 교육을 위한 방법론적 고찰 -교재 개발의 측면에서-, 한국어교육 19-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박기영(2009a), 한국어 교재의 발음 기술에 대한 일고찰 -음운규칙과 정확성, 유창성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40, 이중언어학회.
백소영(2010), 한국어 통합 교재를 통한 교육 고찰, 시학과 언어학18, 시학과 언어학회.
왕 팡(2010), 중국인을 위한 초급 한국어 교재 분석 연구: 발음 부분을 대상으로, 청주대 석사논문.
최은지(2007), 한국어 듣기 교재 내 음성 자료 속도의 실제성, 한국어교육 18-1, 국제한국어교육학회.
3. 발음교육 방법
<학위논문>
권영미(2008), 중국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지도 방안 연구, 청주대 석사논문.
김길동(2008),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단국대 박사논문.
김문희(2009), 중국인 고급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충남대 석사논문.
김알라(2008), 러시아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창원대 석사논문.
박미희(2008), 한국어 발음교육을 위한 청취 훈련 방안, 부산외대 석사논문.
박윤진(2007), 음운인식활동을 통한 한국어 발음교육 연구 방안, 경희대 석사논문.
박지영(2010), 한국어 자음 발음 교육 방안 연구: 북부 베트남 학습자를 대상으로, 부산대 박사논문.
백소영(2009), 러시아어권 화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교육 연구, 충남대 박사논문.
손경애(2009), 中國語圈 學習者를 위한 韓國語 發音 敎育 方案에 관한 硏究, 중앙대 석사논문.
신정애(2005), 베트남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 경기대 석사논문.
오문경(2004a)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교육 방안, 한국외대 석사논문.
요 외(2007).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육 방안, 신라대 석사논문.
이현아(2008), 한국어 음운 변동 규칙의 효율적인 발음 교육 방안 연구, 동아대 석사논문.
ZHANG LIN(2008), 중국어권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교육에 관한 연구, 전남대 석사논문.
정수정(2007), 슬로바키아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교육 연구: 중간언어 음운론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외대 석사논문.
진 월(2010), 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발음 지도 방안 연구: 한·중 자모음 체계 대조를 중심으로, 건국대 석사논문.
<학술지 및 학술대회 발표 논문>
박기영(2010), 한국어 음운론과 한국어 발음 교육의 상관성에 대한 일고찰 -자모 교육과 음운 변동 교육을 중심으로, 語文論集, 제43집, 中央語文學會.
백옥란(2010), 한국어학습자들의 발음오류현상과 그 교육방안, 중국조선어문1,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정명숙(2008),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전략적 발음 교육, 한국어학 38, 한국어학회.
최은하, 박시균, 오종철(2010),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와 중국어 유사발음 비교 분석 및 발음지도 연구, 국어문학48, 국어문학회.
4. 발음교육 체계
<학위논문>
김정욱(2009),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교수 방안 연구: 한국어와 중국어 모음 체계 대조를 중심으로, 대구대 석사논문.
王雅娟(2009), 한국어의 음운체계 및 음운현상에 대한 지도방안: 중국인을 대상으로, 강릉대 석사논문.
이영주(2009), 일본인 학습자 대상 한국어 발음 제시 방법 연구, 계명대 석사논문.
이재원(2010), 한국어 발음 교육을 위한 변동규칙의 배열, 대진대 석사논문.
정지은(2008), 중국어권 학습자의 한국어 자음 습득 연구: 파열음의 인식과 신출을 중심으로, 한국외대 석사논문.
<학술지 및 학술대회 발표 논문>
장향실(2008a),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음운 규칙 항목 선정 연구, 한국언어문학 65, 한국언어문학회.
장향실(2008b),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음운 규칙의 제시 순서 연구, 한국어교육 19-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5. 발음교육 양상
<학위논문>
강정희(2009), 베트남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 오류 분석 및 교육방안 연구, 동국대 석사논문.
공해령(2010), 중국 학습자의 한국어 단순모음 발음의 실험음성학적 연구, 한양대 석사논문.
김민선(2008), 의사소통적 출력이 한국어 학습자의 억양 습득에 미치는 영향: 재한몽골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이화여대 석사논문.
김윤희(2008), 프라트 분석을 통한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모음 발음 오류 연구: 일부 동형동의 한자어 발음을 대상으로, 배재대 석사논문.
김지연(2010), 중국인 학습자의 자연발화 발음 오류 분석 연구, 충남대 석사논문.
Du Fan(2010), 자기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이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오류인식 및 수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대 석사논문.
박정곤(2009),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발음오류 개선방안 연구: 자음의 음운현상을 중심으로, 경남대 석사논문.
백난주(2009), 발음 교육이 듣기 능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연구: 중국어권 학습자의 비음화 현상을 중심으로, 부산대 석사논문.
이순영(2008), 중국어권 학습자의 발음 오류의 실제와 교정 방안 연구: 초급 말하기 평가 자료를 중심으로, 영남대 석사논문.
이유라(2009),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운변동 단어의 읽기 발음 훈련효과, 나사렛대 석사논문.
이진선(2009), 한국어 의문문 억양 오류 분석 및 교육 방안 연구: 태국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외대 석사논문.
이혜영(2009), 발음전략을 이용한 한국어 발음교육의 효용성 연구 발음전략을 이용한 한국어 발음교육의 효용성 연구, 계명대 석사논문.
조남민(2007), 한국어 학습자의 어중자음군 폐쇄지속성에 대한 연구, 이화여대 박사논문.
조선희(2007),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조음에 나타나는 음향음성학 특성 연구-일본과 필리핀 출신 여성 결혼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전북대 석사논문.
한지영(2009), 베트남 여성 결혼이민자들의 한국어 모음에 나타나는 음향학적 특성 연구, 전북대 석사논문.
최현정(2009),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강세 오류에 대한 실험 음성학적 고찰을 통한 운율 교육 방안 연구, 고려대 석사논문.
<학술지 및 학술대회 발표 논문>
권성미(2009), 초점의 음성적 실현에 나타난 영어 화자의 한국어 운율 체계 습득 양상 연구, 한국어교육 20-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양순임(2007), 연음규칙 적용에 따른 오류 분석 - 중국인 학습자의 중간언어를 대상으로, 한국어교육 18-3,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윤영해(2008), 중간언어 음운연구를 바탕으로 한 발음교육의 효과 연구 -중국인 화자들의 받침 발음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19-2, 국제한국어교육학회.
장향실(2009), 중국인 학습자의 한국어 음절 오류와 교육 방안, 우리어문연구34, 우리어문학회.
전나영(2008), 한국어 학습자의 발음 문제와 교수 방법, 문법교육 8, 한국문법교육학회.
황현숙(2007),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의 “ㅊ” 받침과 모음 조사 결합에 의한 발음 실현 연구, 인문학연구 34-3,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송향근(2011). 음운 이론과 한국어 발음 교육. 한국어학 15. 한국어학회. 1-28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