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전남들꽃연구회 원문보기 글쓴이: 김진수
귀비온담탕/ 소간해울탕
쉽게 피로를 느끼고 현기증이 있으며, 정충, 경계(驚悸), 상기(上氣)되는 증상과 불면이 따르며 불안, 초조감이 심하다가 호소했다. 눈꺼풀 및 안면근육이 경련을 일으키며 신경을 쓰면 특히 속이 메스껍고 진땀이 나며, 배부(背部)에 열감을 심히 느낀다고 했다. 체격은 보통이고 혈압은 90/60, 안색은 좋아 보였으며 후두부로 쭈삣한 느낌이 들면 아주 기분이 안 좋다고 하며 가사일을 하면서 아주 힘이 들거나 아주 한가할 때는 더 자주 불안해진다는 것이다. 문진(問診)하여 보니 남편과의 관계도 비교적 좋은 편이고 남편은 말이 아주 없는 편이라고 하며 남편이 출근하고 난 뒤에는 다른 주부들과 똑같이 집안일을 열심히 돌보고 저녁에는 남편 오기만을 기다리는 착실한 주부라고 본인 스스로 설명을 한다. 그래서 필자는 환자에게 '성격이 쾌활한 편이냐' 고 물었는데 그렇지 않다는 대답이었다. 의사 선생님 앞이니까 이렇게 이런저런 얘기를 자세히 설명드린다면서 집에서는 남편처럼 말이 없는 편이라 하고 고집이 있으며 아이들에게서 곧 잘 짜증을 낸다고 한다. 더 자세히 물어보니, 환자는 중고등 학교 재학시절 공부를 썩 잘했으나 아래로 동생들이 많아 집안 형편상 대학진학을 포기했다고 한다. 일년전부터 아파트에 살게되어 아파트 부녀회에 나가게 되었는데 다른 주부들은 거의 다 대학을 나왔으나 자신만 그렇지 않은 것에 대한 심한 열등감을 받았다고 한다. 그래서 필자는 증상을 중심으로 투약하기로 결정하고 귀비탕(歸脾湯)에 온담탕(溫膽湯)을 합방하여 10일간 투여하였다. 방제(方劑)는 귀비탕 합 온담탕이다.
인삼, 황기, 백출(삽주), 백복신(죽은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균체) 각 1돈, - 3.75g 원지(애기풀), 목향 각 7푼, - 2.625g 감초5푼, - 1.875g 반하, 진피, 백복령, 지실(탱자), 죽여(竹茹:청대의 얇은 속껍질) 각 1돈, - 3.75g 황련(깽깽이풀) 5푼, - 1.875g 사인, 산사육(산사나무의 열매), 신곡(약누룩), 맥아(엿기름) 각 1돈. -3.75g
2차 내원시에는 후두부로 뻣뻣한 느낌이 드는 것과 가슴 두근거리는 것이 조금 덜하다고 하면서 우울증에 시달려 양약도 복용하고 오죽하면 한약도 복용하겠느냐면서 이런 모든 것을 내 남편이 알아주지도 않는다고 속상해 하였다. 이때 남편의 무관심이 이 환자의 증세를 더 악화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 남이 보면 얼굴색 좋고 멀쩡해 보이니까 환자로 보지도 않는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다시 처음 처방대로 10일분을 투여하면서 집에서 남편하고 대화를 되도록 많이 하라고 하였다. 3차 내원시에는 환자의 말에 의하면 약을 복용하면서 저녁에 남편과 자신의 병에 관한 것 등등의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고, 모든 증상이 약을 복용하기 전보다 많이 좋아졌다고 하며 단지 불안, 초조감만이 남아 있어 무슨 일을 하려고 해도 의욕이 생기지 않는다고 했다. 따라서, 필자는 몇 개월 전 『의림(醫林)』지에서 시호(柴胡), 용골(龍骨), 모려, 후박, 소엽, 원육 등이 들어가 있는 처방으로 노이로제 환자의 초조·불안감을 완연하게 낫게 하였다는 배 원식 선생의 치험례를 읽은 기억이 있어 이번에는 처방을 바꾸어 그 처방 <필자는 이를 소간해울탕(疏肝解鬱湯)이라 부름> 대로 10일분을 투여하였다. 방제는 소간해울탕이다.
소엽(차즈기), 인삼, 산사육, 천궁, 후박, 오약(녹나무과의 상록, 중국 타이완), 감초 각 7푼, - 2.625g 선퇴(매미의 허물) 5푼. - 1.875g 4차 내원시에는 불안감이 조금 덜하며 신경질이 덜 난다고 하여 그 후 그 처방대로 40일간을 투여한 바 제증상이 소실되었다 |
* 돈 : 3.75g * 푼 : 0.375g
황련 心(심)의 열을 내려주며 소화기에 저체되어 있는 濕熱(습열)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기 때문에 열을 모여서 생긴 병증을 치료하는 要藥(요약)이 된다. 心(심)에 열이 있으면 정신불안 및 신경쇠약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을 치료하며 血分(혈분)에 열이 있어서 생긴 각종의 출혈증에도 응용된다. 가슴에 두근두근하면서 잠이 오지 않는 불면증, 눈과 귀에 종기가 나고 종양이나 종기, 입안 헌 것이나 어린이의 감기을 없애며 눈을 밝게 하며 눈에 눈물이 흐르는 증상을 치료한다. 또한 肝氣(간기)를 잔정시키고 熱毒(열독)을 제거하는 작용도 가지고 있다. 독성정보 무독(無毒): 약성에는 독이 없으나 차갑고 쓴 황련의 성질로 말미암아 다량복용하면 위의 기능을 손상시켜 소화불량등이 증상이 나타나고 위의 진액을 손상시키기 때문에 비와 위의 기능이 허약한 사람은 신중하게 복용하며 보음약과 같이 사용하여야 한다. |
====================================================================================
소요산(逍遙山)
조성(造成)
복령(茯笭) 15g 백출(白朮) 15g 시호( 柴胡) 10g 당귀(當歸) 12g 백작(白芍) 15g 박하(薄荷) 6g 감초(甘草) 10g 생강(生薑) 15g
공용(功用)
소간해울(疏肝解鬱) 건비화영(健脾和營)
주치(主治)
간울혈이치(肝鬱血而致) 양협작통(兩脇作痛) 한열왕래(寒熱往來)
두통목현(頭痛目眩) 구조인간(口燥咽干) 신피식소(身疲食少)
월경부조(月脛不調) 유방작창(乳房作暢) 맥현이허자(脈弦而虛者)
근용(近用)
만성간염(慢性肝炎)
침처방(針處方)
주혈(主穴)
중완(中脘)ㅣ 천추(天樞)ㅣ 간수(肝輸)ㅣ 담수(膽輸)ㅣ 비수(脾輸)ㅣ 위수(胃輸)ㅣ
배혈(配穴)
사신총(四神聰)ㅣ 내관(內關)ㅣ 신문(神門)ㅣ
심계(心悸) : 심수(心輸)ㅣ 내관(內關)ㅣ
납소(納少) : 음능천(陰陵泉)ㅣ 족삼리(足三里)ㅣ
흉만협통(胸滿脇痛) : 기문(期門)ㅣ 일월(日月)ㅣ 곡천(曲泉)ㅣ
월경부조(月經不調) : 음능천(陰陵泉)ㅣ 삼음교(三陰交)ㅣ 기해(氣海)ㅣ 관원(關元)ㅣ
심번이노(心煩易怒) : 합곡(合谷) 태충(太衝)
=====================================================================================
조위승청탕
약처방은 10일 분량이며 달인 후 한회 분량은 커피잔으로 2/3가 적당하다. 이것은 약 110ml에 해당한다.
이의인(율무) 건율(밤) 240g
나복자(무의 종자) 120g
맥문동, 천문동, 오미자, 석창포, 원지, 길경, 용안육, 산조인 80g
을 한꺼번에 달여서 하루에 3회씩 10일 동안 마신다.
애기풀(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