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란 여러 대의 컴퓨터와 프린터, 스캐너와 같은 주변 장치를 통신 회선으로 연결하여 통신이 가능하도록 꾸민 시스템을 의미한다. 네트워크가 설치되면 전자우편, 그룹웨어, 원격회의, 전자자료교환, 재택근무 등이 가능하다.
네트워크의 종류로는 인트라넷(Intranet), 익스트라넷(Extranet), M-Bone(Multicast Backbone), 종합정보통신망(ISDN), 디지털 가입자 선로(Digital Subscriber Line)등이 있다.
인트라넷(intranet)은 인터넷 관련기술과 통신규약을 이용하여 조직내부 업무를 통합하는 정보시스템을 말한다. 쉽게 말하면 지금까지 사용해 오던 각종 정보시스템을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수정하여 재개발한 정보시스템을 의미한다. 넷(net)이라는 접미어가 붙어 있다고 하여 통신망이나 통신환경의 하나라고 혼동해서는 안된다. 인트라넷을 사용하게 되면 별도의 통신망을 구축하지 않더라도 세계 어느 곳에서도 자신이 속한 조직의 정보시스템을 사용할 수 있고, 거래관계가 있는 다른 조직과의 자료교환도 쉬워져 상호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게 된다. 그러한 이유는 인트라넷이 서로 다른 속성을 가지고 여기저기 흩어져 있는 조직의 정보시스템을 하나로 쉽게 통합할 수 있으며, 인터넷이라는 전 세계적인 기술표준을 이용하여 간단하고도 폭넓게 적용할 수 있으며, 어떠한 특정 기술이나 특정 컴퓨터에 예속되지 않기 때문이다. 인트라넷은 인터넷 기술을 이용하기 때문에 적은 비용으로 큰 성과를 얻을 수 있고, 차세대 정보기술로 빨리 전환할 수 있으며, 조직 내·외부의 정보를 결합하기 쉽다는 장점과 기회를 제공하는 반면에 아직은 정보의 보안문제라는 단점도 있다. 정보의 보안문제만 해결된다면 인트라넷은 조직의 정보 활용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는 전기가 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대기업들은, 인트라넷을 쓰는 자기회사 직원들이 양방향으로 메시지를 차폐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방화벽서버를 통해서만 공중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회사보안이 유지되도록 조치한다. 인트라넷 중의 일부로서 고객이나 협력사, 공급사 또는 회사외부의 다른 사람들에게 접근이 허용된 것을 엑스트라넷이라고 한다. 엠본은 멀티캐스팅을 지원하는 테스트 성격을 지닌 네트워크 백본을 뜻한다. 즉 엠본은 멀티캐스팅을 지원하는 호스트와 라우터들을 연결하여 구성된 인터넷의 부분집합이라 할 수 있으며, 유니캐스트만을 지원하는 현재의 인터넷 관점에서 본다면 일종의 실험망인 셈이다. 종합정보통신망(ISDN)은 다른 매체는 물론, 평범한 구리전화선 위에서도 디지털 전송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일련의 CCITT/ITU 표준들이다. 모뎀 대신에 ISDN 어댑터를 설치한 가정이나 회사의 사용자들은 최고 128 Kbps까지의 빠른 속도로 제공되는 웹 페이지를 볼 수 있다. ISDN은 전송 양단에 어댑터가 필요하므로, 서비스제공자 역시 ISDN 어댑터가 필요하다. ISDN은 일반적으로 미국이나 유럽의 대부분 도시지역의 전화회사가 서비스를 공급하며, 우리나라에서도 한국통신에서 1993년부터 ISDN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ISDN에는 두 종류의 서비스가 있는데, 가정이나 소규모회사에는 BRI(Basic Rate Interface)가, 많은 사용자를 위해서는 PRI(Primary Rate Interface) 서비스가 적합하다. 두 종류 모두 여러 개의 B 채널과 한 개의 D 채널을 포함한다. B 채널에는 데이터, 음성 및 기타 다른 서비스를 전송할 수 있으며, D 채널은 제어 및 신호정보를 전송한다.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비 대칭형 디지털 가입자 장치)의 약자로, 저주파(4KHz) 음성신호와 고주파(1MHz) 데이터 신호를 기존의 전화선에 같이 싣고, 스플리터라는 장치로 두 신호를 분리한 후 음성교환기와 데이터 교환기로 우회시켜 신호를 종단시키는 기술입니다. ADSL은 비대칭 방식이기 때문에 인터넷접속과 같은 곳에 적합하며, 하향전송속도의 범위는 1.5~8Mbps이며, 상향전송속도의 범위는 16~640Kbps로 규정되어 있다. 장점으로는 기존의 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데이터회선 구성시 추가 케이블을 시공한다거나 새롭게 시설을 구축할 필요가 없다는 것, 단점으로는 모든 가입자에 대해 전송 속도를 보증할 수 없다는 것이며, ISDN 회선과 ADSL 회선이 같은 묶음에 놓여 있거나 인접한 묶음에 있으면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이다.
네트워크에서 데이터를 송신하는 측과 수신하는 측이 보조를 맞출 수 있어야 데이터 통신이 가능해지는데, 구성요소들이 협력하는 방법들에는 비동기 전송과 동기식 전송, Simplex, half-duplex, full-duplex, 디지털 전송과 아날로그 전송 등이 있다.
동기전송모드 STM(Synchronous Transfer Mode)은 하나의 채널을 주기적으로 나타내는 프레임 타임 슬롯으로 분할해서 전송하는 시간 위치 다중 방식으로 특정의 호를 프레임으로부터 유출하는 등의 채널 식별은 프레임 내의 타임 슬롯의 시간적 위치애서 판단한다. 이 방식은 1채널달 최대 통신속도가 일정한 제약이 있다. B-ISDN처럼 다양한 정보, 통신 속도가 다르거나 변화하는 정보를 취급할 경우는 하나의 호에 대해서 최대 통신 속도에 맞춰야 하므로 여러 개의 채널을 할당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공백 채널이 많아지고 회선 사용 효율이 나빠진다. 비동기전송모드 ATM(Asynchronous Transfer Mode)은 데이터전송에서 대량의 정보를 셀이라구 불리는 짧은 패킷으로 분할하여 비동기로 고속 전송하는 방식이다. 데이터가 흐르는 방향에는 단방향 전송(simplex), 반이중방식 전송(half-duplex), 전이중방식 전송(full-duplex)방식이 있다. 단방향 전송은 한쪽 방향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TV가 그 예이고, 반이중방식 전송은 양방향 전송은 가능하지만 한 번에 한 방향으로만 전송할 수 있는 것으로 무전기가 그 예이며, 전이중방식 전송방식은 양방향 동시 전송이 가능한 전송방식이다. 정보를 다른 컴퓨터로 전송하기 위해서 다른 형태로 변환해야 하는데 아날로그 신호나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아날로그 신호는 크기와 패턴이 끊임없이 변하는 전자기파이고, 디지털 신호는 시간에 따라 급격하게 바뀌며 이산형 신호(discrete signal)라고 한다. 아날로그 전송은 디지털 데이터와 아날로그 데이터를 모두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전송하는 방식으로 기존의 전화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디지털 데이터를 전송할 때는 그렇게 유리한 방식이라고 할 수 없다. 모뎀(Modem)은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바꾸어주는 변조(modulation)와 그 반대인 복조(demodulation) 작업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디지털 전송은 아날로그 전송 방식의 반대 형태로 아날로그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코덱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 데이터의 경우 부호 변환기를 통해 전송한다. 코덱(codec)이란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디지털 신호를 다시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네트워크 장비로는 랜카드, 케이블, 허브, 스위치, 라우터, 브리지 등이 있다.
랜카드는 네트워크상에서 컴퓨터가 통신하려면 서로 연결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때 컴퓨터 사이의 연결은 케이블을 사용하지만, 케이블을 컴퓨터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이 둘의 매개체 역할을 하는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이런 역할을 하는 것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라고 하는데 다시 말해 랜카드이다. 허브는 데이터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부터 한곳으로 모이는 장소로서, 들어온 데이터들은 다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방향으로 전달된다. 허브는 보통 어떤 종류의 스위치를 포함한다(스위치라고 불리는 장비는 보통 허브라고도 불린다). 허브는 데이터가 모여드는 곳이고 스위치는 모여든 데이터를 어떻게 그리고 어디로 보낼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두 장비의 차이점이다. 스위치 측면에서 고려한다면, 허브는 또한 라우터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형상을 나타낼 때, 허브의 형상은 외부로 향하는 여러 개의 회선이 붙을 수 있는 백본(주회선)과, 부착되는 장치들을 위한 하나 이상의 접속 포트들로 구성된다. 이것은 근거리통신망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인터넷 사용자들에 있어, 인터넷 서비스 공급자에 의해 제공되는 가장 일반적인 네트워크 형상이다. 그외에 또 다른 네트워크 형상이 있다면, 버스형이나 링형 네트워크일 것이다(둘 모두 브리지를 사용하면 허브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제품으로서의 허브는 다이얼업 사용자를 위한 모뎀 카드 집합체나, 이더넷이나 토큰링과 같은 근거리통신망 접속을 위한 게이트웨이 카드, 그리고 T-1 회선의 접속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브리지는 하나의 랜을 이더넷이나 토큰링과 같이 서로 같은 프로토콜을 쓰고 있는 다른 랜과 연결시켜주는 제품을 말하며, 각 랜에 연결되어 있는 스테이션들은 프로토콜을 바꾸지 않고서도 랜이 확장되는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브리지를, 당신이 누군가에게 보낸 메시지에 대해 같은 건물 내에 있는 랜으로 보내야할지, 혹은 길 건너 다른 빌딩 내의 랜으로 보내야할지를 판단하는 장치라고 생각해도 좋다. 브리지는 랜 상의 각 메시지들을 조사한 다음, 같은 랜으로 보내야할 메시지는 받아들이고, 연결되어 있는 다른 랜으로 보내야 할 것들은 넘겨주는 식으로 동작한다. 브리지로 연결된 네트워크들에서 컴퓨터나 노드 주소들은 실제 위치와 특별한 상관관계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모든 메시지들은 네트워크상의 모든 주소로 보내지지만, 그 메시지들은 오직 목적지 노드에 의해서만 받아들여진다. 브리지는 어떤 주소들이 어떤 네트워크에 있는지를 미리 파악하고, 메시지들을 정확히 다른 네트워크로 전달할 수 있도록 미리 표를 작성해 놓는다. 브리지로 연결된 네트워크들은 일반적으로 항상 랜에 상호 연결되어 있고, 모든 메시지들을 브로드캐스팅하기 때문에 대형 네트워크인 경우 불필요한 네트워크 트래픽들이 쇄도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터넷과 같은 라우팅 네트워크는 각 노드에 주소를 할당함으로써, 메시지나 패킷들이 모든 방향으로 전달되는 대신에 한 방향으로만 전달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브리지는 네트워크의 데이터링크 계층에서, 통신 선로를 따라 한 네트워크에서 그 다음 네트워크로 데이터 프레임을 복사하는 일을 한다. 브리지에 라우터 기능이 결합되어 하나의 제품으로 나오는 경우도 있는데, 이것을 브라우터라고 부른다. 스위치는 단위 데이터를 다음 목적지까지 보내기 위해 경로 또는 회선을 선택하는 네트워크 장비이다. 스위치는 루트, 즉 보다 명확히 말하면, 인접한 네트워크 지점 중 어디로 데이터가 보내져야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는 장비인 라우터 기능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와, 루트를 어떻게 결정해야하는지에 관한 지식을 요구하는 라우터보다, 스위치가 훨씬 단순하고 더 빠르게 동작하는 장치이다. 라우터는 동일한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분리된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 네트워크 계층간을 서로 연결한다. 라우터는 브리지가 가지는 기능에 추가하여 경로 배정표에 따라 다른 네트워크 또는 자신의 네트워크 내의 노드를 결정한다. 그리고 여러 경로 중 가장 효율적인 경로를 선택하여 패킷을 보낸다. 라우터는 흐름제어를 하며, 인터네트워크 내부에서 여러 서브네트워크를 구성하고, 다양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브리지와 라우터의 차이점을 간단히 살펴보면, 라우터는 네트워크 계층까지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으면서 경로 설정을 해주는 반면, 브리지는 데이터링크 계층까지의 기능만으로 목적지 주소에 따른 선별 및 간단한 경로 결정을 한다.
네트워크의 논리적 구성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프로토콜이다. 프로토콜이란 컴퓨터 사이에서 데이터를 주고받는 과정에 적용되는 일련의 규칙을 의미한다. 프로토콜은 어떻게 메시지를 보내고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에 대한 약속을 의미한다. 프로토콜의 종류에는 WAP(Wireless Application Protocol)와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블루투스, WiFi(Wireless Ethernet), TCP/IP, UDP, POP, SMTP, ICMP 등이 있다. WAP는 PDA나 휴대폰을 이용한 인터넷 사용을 가능하게 한 통신 프로토콜 규격이다. irDA라는 이름 자체는 프로토콜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적외선 통신 링크에 사용되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표준을 만들어내는 조직을 뜻한다. 주로 노트북, PDA, 휴대 전화 등에 장치된다. 블루투스 역시 irDA처럼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이다. 블루투스는 이동전화, 컴퓨터, PDA등을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된다. WiFi는 노트북 등 휴대용 컴퓨팅 기기와 인터넷 라인을 서로 연결시켜주는 새로운 방식의 무선 전송 기능을 말한다.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와 IP(Internet Protocol)는 인터넷의 동작을 책임지는 프로토콜로 처음에는 UNIX 운영체제에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인터넷의 표준 프로토콜이 되었다. TCP/IP는 네트워크 접근, 인터넷, 전송, 응용프로그램의 계층구조라고 할 수 있으며 각 계층은 독립적인 구조를 띈다. 네트워크 접근 계층은 물리적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각종 전기적인 신호 방식 등이 정의되어 있다. 인터넷 계층은 IP주소를 판단하여 목적지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송 계층은 전송의 신뢰성을 유지하고 오류를 수정한다. 응용프로그램 계층은 사용자가 인터넷에서 사용하는 웹, 텔넷, FTP, 전자메일 등의 응용프로그램 제어를 담당하는 계층이다. 데이터 전송 과정은 계층별로 진행되는데 응용프로그램계층에서 전송 계층으로, 전송 계층에서 인터넷 계층으로, 인터넷 계층에서 네트워크 접근 계층으로 내려갈 때마다 헤더라는 것이 데이터에 추가되어 각종 제어정보와 목적지 주소 등이 기록되어 데이터가 전송되며 수신측에서는 전송 때와 반대 순서로 헤더를 떼어내며 오류가 있는지의 여부 등 각종 검사를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원본 메시지를 복구하게 된다. UDP(User Datagram Protocol)는 비연결성 전송방식으로 데이터를 전송한 후 수신측이 문제없이 데이터를 전송받았는지 신경 쓰지 않기 때문에 신뢰성이 낮으나 간단하고 전송이 빠르기 때문에 데이터의 정확도가 문제되지 않으면서 실시간 전송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사용한다. POP(Post Office Protocol)은 전자우편에서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는 전자우편을 보낼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이다. ICMP(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는 네트워크에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에러 대처 능력이 없었던 TCP/IP를 보완하기 위하여 추가된 프로토콜이다. 호스트의 정상 작동 여부 탐색, 에러 원인 규명, 최적 경로 재설정, 전송시간 초과 여부 등을 알아내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인터넷에서 통신을 하려면 통신 중인 컴퓨터를 표시하는 주소가 필요하다. 주소에 해당하는 것이 IP주소이다. 네트워크상에서 실제 컴퓨터를 구별하는 일은 네트워크 하드웨어에 부여된 “물리적 주소 체계”MAC 주소에 의해 이루어진다. ARP(Address Resolution Protocol)는 논리적인 IP 주소에서 물리적인 MAC 주소를 유추해내기 위해 쓰이는 프로토콜이고 그 반대로 쓰이는 게 RARP(Reverse ARP)라고 한다.
LAN은 local area network의 약칭이다. 공간적 규모가 큰 지역 즉, 도시·국가 또는 전세계로 연결되는 통신망인 WAN(wide area network:광역통신망)에 상대되는 개념이다. 랜의 특징은 광대역 전송에 사용되는 통신 매체를 사용하여 고속통신이 가능하고, 통신망 내의 어떤 기기와도 통신할 수 있고, 통신 오류율이 매우 낮으며, 경로 선택이 필요 없고, 방송 형태의 이용이 가능하며, 접속하는 기기들의 값이 싸고 확장이 간편하며, 원거리에 있는 다른 랜과 접속하기도 쉬워 적은 비용으로 원거리 컴퓨터들과 통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랜의 발전으로 과거의 대형컴퓨터와 광역통신망으로 이루어지던 중앙집중식 처리 형태에서 소형 컴퓨터에 의한 분산 처리 형태로 발전할 수 있었으며, 분산 처리 방법의 대명사인 클라이언트·서버방식도 탄생할 수 있었고, 각종 멀티미디어 정보를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아울러 인터넷이 발전할 수 있었던 것도 랜의 발전이 기여한 바가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더넷은 가장 광범위하게 설치된 근거리통신망 기술이다. 이제는 IEEE 802.3에 표준으로 정의되어있지만, 이더넷은 원래 제록스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제록스와 DEC 그리고 인텔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 이더넷 랜은 일반적으로 동축케이블 또는 특별한 등급이 매겨진 비차폐 연선을 사용한다. 가장 보편적으로 설치된 이더넷 시스템은 10BASE-T 이라고 불리며, 10 Mbps의 전송속도를 제공한다. 모든 장치들은 케이블에 접속되며, CSMA/CD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경쟁적으로 액세스한다. 고속 이더넷이나 100BASE-T 등은 전송속도가 최고 100 Mbps까지 제공되며, 일반적으로 10BASE-T 카드가 장착된 워크스테이션들을 지원하기 위한 근거리통신망의 백본으로 많이 사용된다. 기가비트 이더넷은 1,000 Mbps 정도로서, 보다 높은 수준의 백본 속도를 지원한다. 종래에 사용 중인 이더넷은 10M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이더넷으로는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대역폭 및 노드간 지원 거리를 향상시켜 주는 네트워크를 요구하게 되었다. 새롭게 등장한 이러한 네트워크에 대한 요구 사항에 부응하기 위하여 기존의 이더넷 환경을 보호하며 적절한 고속의 대역폭을 제공하기 위하여 전송 속도를 100Mbs로 늘이고 기존의 토폴로지(Topology)를 그대로 이용하는 패스트 이더넷(100 Base T라고도 함)이 개발되었다. 패스트 이더넷의 특징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더넷 환경을 그대로 준수한다. 즉, 기존의 이더넷과 같이 CSMA/CD방식을 기반으로 하고 케이블(UTP, STP) 및 상위계층 프로토콜과 LAN 운용 소프트웨어의 변경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1982년 이더넷이 기술 발표이후 매체 접근 방식(CSMA/CD)은 그대로 유지되고 있으나 활용업무 및 응용성격이 급격하게 변화 진보하면서 대역폭 확보가 민감한 문제로 대두되어 10Mbps 이더넷 이외에 스위치드 10Mbps 이더넷, 100Mbps 패스트 이더넷, 스위치드 100Mbps 패스트 이더넷등과 같은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1994년 100Mbps를 지원하는 패스트 이더넷이 소개되었을 때는 매우 획기적인 일로 받아들여졌고 이것이 CSMA/CD를 준수하는 이더넷 한계로 인식되었다. 패스트 이더넷은 기존 이더넷과 완전히 호환될 뿐만 아니라 10배의 속도를 지원함으로써 기존 이더넷 사용자들로부터 폭 넓은 지원을 받게 되었다. 이러한 이더넷의 속도 증가가 있었지만 LAN 상의 응용들은 고품질 이미지, 음성, 동화상 등을 포함하게 되어 100Mbps의 전송속도마저 곧 한계에 이를 것이라는 우려와 함께 업계에서는 1996년 5월 주요 네트워크 및 서버업체들을 중심으로 기가 이더넷 동맹(GEA : Gigabit Ethernet Alliance)을 결성하게 되었고 IEEE에서는 IEEE802.3z, Gigabit Ethernet 표준화 프로젝트를 승인하게 되었다.
대도시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MAN)은 LAN보다 광범위한 규모의 네트워크이다. 원거리 통신망(Wide Area Network:WAN)은 다국적 기업의 사내 네트워크나 인터넷처럼 국가적 규모 혹은 그 이상의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기타 통신망으로는 클라이언트/서버 네트워크와 피어-투-피어 네트워크가 있다.
윈도우의 네트워크 진단 명령어에는 ping, tracert, nbtstat, netstat, ipconfig, pathping 등이 있다. 이들 명령어는 "MS-DOS"창을 이용하거나 “명령 프롬프트”를 이용한다. Ping(Packet InterNet Groper) 프로그램은 관심있는 호스트가 동작하는지의 여부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한다. Tracert는 현재 내 위치에서 내가 접속하려는 호스트까지의 경로를 추적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Nbtstat는 MAC주소, 사용자 이름, 로그인 이름, 그룹 이름 및 연결 상태 등을 표시하는 명령어이다. Netstat는 프로토콜 통계와 TCP/IP 네트워크 연결 상황을 나타낸다. Ipconfig는 시스템의 IP 설정 정보 확인 및 재설정에 사용한다. Pathping은 우선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거치는 경로를 표시한 후 중간 경로에서의 패킷 손실률과 도착시간 등을 알려준다.
우리가 가장 흔하게 접할 수 있는 네트워크가 바로 인터넷이다. 인터넷은 미 국방성이 중심이 되어 개발한 ARPANET으로부터 시작되었다. ARPANET은 TCP/IP를 이용하여 패킷을 전송하며 대학 연구기관 및 미 국방성 협력 기관들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연구를 수행하였다. WWW은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시각에 의한 직관적인 정보 검색을 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전문적인 지식이 없는 사람일지라도 쉽게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게 해 주었다. 하이퍼텍스트는 사용자의 선택에 맞추어 원하는 링크로 이동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정보로, 웹의 등장과 함께 인터넷의 표준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시각적으로 웹 정보를 검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소프트웨어가 브라우저이다.
인터넷에서 다른 사이트로 이동하는 데는 URL(Uniform Resource Locator)라는 것을 이용한다. URL은 http://www.cyworld.com/bokty와 같은 형식을 갖는다. IP 관리기구로는 NIC, IAB, ICANN 등이 있다. NIC(Network Information Center)은 인터넷 주소에 대한 정책을 개발하고 도메인 이름 등록 업무를 관장한다. IAB(Internet Architecture Board)는 인터넷의 기술적 진화에 대한 감독기구이다. ICANN(Internet Corporation for Assigned Names and Numbers)은 인터넷 주소공간 할당, 프로토콜 매개변수 할당, 도메인 이름 시스템 관리, 그리고 루트 서버 시스템 관리 기능 등을 수행한다.
웹브라우저는 인터넷 익스플로러나 넷스케이프 네비게이터와 같은 종류의 프로그램을 지칭한다. 종류로는 MS Explorer, Netscape Navigator, Mosaic, Lynx 등이 있다. 웹 브라우저의 기능강화를 위한 방법이 요구되는데 그것이 바로 플러그인(plug-in)이다. 플러그인은 웹 브라우저의 일부로서 쉽게 설치되고 사용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대표적인 플러그인으로는 쇼크웨이브, 리얼플레이어, 미디어플레이어, 스트림웍스, 비보 액티브, VDO 라이브, 애크로뱃 리더 등이 있다. 쿠키는 단순한 텍스트 파일이다. 컴퓨터의 특정 폴더에 저장되는데, 인터넷 쇼핑물의 장바구니와 같은 것이 쿠키의 역할이다. 인터캐스트는 웹페이지나 프로그램과 같은 정보를 TV 신호와 함께 PC에 방송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인터캐스트 서비스를 실시하는 방송에서는 방송과 함께 전달되는 고나련 정보를 수신하여 볼 수 있다. 그러나 인터캐스트는 단방향 전송 서비스라는 단점이 있다. 인터넷 홈페이지를 작성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언어는 기본적으로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라는 것이다. 화려한 홈페이지를 제작하기 위해서는 HTML외에 다양한 언어들을 알아야 하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XML, DHTML, JAVAScript, VBScript, SGML, CGI, VRML, ASP, DNA 등이 있다. XML은 기존에 사용하던 HTML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새로운 태그를 정의할 수있는 기능을 추가한 것이다. DHTML(Dynamic HTML)은 사용자와의 상호작용에 보다 민감한 웹페이지를 만들기 위하여 제안되었다. JAVAScript는 넷스케이프에서 만든 인터프리터형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트 언어이다. VBScript는 JAVAScript에 대응하여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소개한 인터프리터형 언어이다. 둘 모두 웹 브라우저와 함께 설치되는 인터프리터와 함께 동작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에서는 문서의 구조와 내용을 분리시켰으며, 문서의 구조를 사용자가 정의할 수 있도록 하여 범용성을 넓혔다. CGI(Common Gateway Interface)는 동적인 웹 페이지를 만들기 위한 웹 인터페이스이다. VRML(Virtual Reality Markup Language)는 2차원적인 웹 기반 정보의 구성형태, 모델 등에 실세계에 가까운 3차원적인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을 구현한 인터넷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ASP(Active Server Page)는 마이크로소프트사에서 개발한 동적 웹페이지 구현 기술이다. DNA(Distributed Application Architecture)는 인터넷 및 인트라넷 응용 프로그램, 전자상거래 시스템 등을 개발하기 위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소개한 통합 프레임워크이다. 웹페이지 저작도구에는 드림위버, 나모웹에디터, 프론트페이지 등이 있다. 웹 서핑 속도 항상 기법으로는 프록시 서버, 캐시 등이 있다. 프록시 서버는 인터넷 사용자와 인터넷 사이에서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며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가 인터넷 서비스 요청을 할 경우 프록시 서버는 자신의 로컬 캐시에 이전에 다운로드 해놓았던 웹 페이지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 캐시라는 것은 데이터를 임시로 저장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인터넷의 가장 기본이 되는 서비스는 바로 정보검색이다. 인터넷 정보 검색은 여러 가지 인터넷 정보 검색 도구를 이용하여 자료를 찾아내는 행위를 의미하는데 이때 가장 도움을주는 것이 바로 검색 엔진이다. 검색엔진은 정보 검색 방식에 따라 주제별 검색엔진, 키워드 검색엔진, 메타 검색엔진으로 분류할 수 있다.
웹 이외의 인터넷으로는 FTP, Telnet, 뉴스그룹, 유즈넷, 아키, 와이즈 등이 있다. FTP(File Transfer Protocol)는 인터넷에서 파일을 전송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서비스이다. 텔넷 서비스는 원격 컴퓨터에 접속하여 그 컴퓨터의 자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서비스이다. 뉴스그룹은 인터넷의 토론방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유즈넷은 각종 뉴스그룹에 관련된 글들을 모아놓은 것이다. 아키는 웹이 활성화되기 전 활발하게 사용되던 서비스이다. 와이즈는 특정 단어를 포함하는 텍스트로 된 자료들을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도구이다.
전자 상거래로 인해 인터넷 벤처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문제가 된 것이 인터넷 창업 열기의 보호였다.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등장한 것이 BM특허이다. BM특허는 정보 시스템과 아이디어를 결합한 형태로 정보시스템을 이용하여 아이디어를 실행하는 발명에 주어지는 것이다.
정보 시스템을 이용한 경영 관리 방법으로는 ERP, SCM 등이 있다. ERP(Enterprise Resource Planning)는 전사적 자원 관리라고도 불리우며, 생산, 구매, 재고 관리, 주문 관리, 거래자 관리, 재무 관리, 인적 자원 관리 등 사업을 수행할 때 필요한 각종 프로세스 관리에 필요한 각종 모듈을 통합한 소프트웨어 패키지이다. SCM(Supply Chain Management)은 물자, 정보, 재정 등이 생산자로부터 소비자에게 이동하기까지 전반적인 진행과정을 감독하는 개념이다.
인터넷 방송은 TV를 통해 이루어지던 방송을 인터넷으로 옮긴 것이다. 대다수의 인터넷 전문 방송에서 취하는 형태로 인터넷 교육, 인터넷 성인 방송 등 다양한 서비스가 존재한다. 스트리밍 기술은 인터넷 방송을 실제로 가능하게 한 기술이다. 코덱은 동영상 압축 및 해제에 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이다.
인터넷을 이용한 각종 벤처 사업이 인기를 누릴 때 주목을 받았던 것이 VoIP(Voice over IP)이다. VoIP는 인터넷과 전화 서비스를 결합한 것으로 음성 정보를 연속해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불연속적인 패킷의 형태로 분할한 후 인터넷 망을 통하여 전달하는 방식이다.
악성 네트워크 프로그램은 보통 바이러스라고 불리우며 사용자 하드 디스크를 포맷하거나 사용자 하드 디스크의 내용을 유출시켜 직접적인 피해를 입히기도 한다. 이런 종류의 프로그램으로 대표적인 것은 바이러스, 트로이 목마, 웜, 백오리피스, 스파이웨어 등이 있다. 바이러스는 자신을 복제하기 위해 다른 파일이나 부트 영역에 침투하는 프로그램으로 부트 바이러스, 파일 바이러스, 메모리 상주형 바이러스 등으로 나눌 수 있다. 트로이 목마는 자신의 정체를 숨기고 게임과 같이 다른 기능의 프로그램인 것처럼 하여 사용자를 속인 후, 사용자가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시스템에 피해를 주는 프로그램이다. 웜은 다른 파일을 감염시키지 않는다는 점에서 트로이 목마와 흡사하지만 다른 기능의 프로그램으로 가장하지 않는다는 차이가 있다. 스파이웨어는 사용자에 관한 정보를 수집하여 관심 있는 사람들에게 넘길 목적으로 목표 컴퓨터에 비밀리에 잠입하는 프로그램이다. 백오리피스는 제작자들에 의하면 TCP/IP로 연결된 컴퓨터를 간단한 콘솔이나 GUI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윈도우 시스템의 원격관리 도구이다.
컴퓨터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는 각종 악성 코드 외에도 해킹과 크래킹을 주의해야 한다. 해커나 크래커들은 네트워크에 침투하여 정보를 빼돌리기도 하지만 네트워크에 공격을 가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자체를 방해하기도 한다. 네트워크 공격에 사용하는 수법들로는 DoS, 주소변조, 버퍼, 오버플로우 등이 있다. DoS(Denial of Service)는 합법적인 사용자들의 컴퓨터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는 공격기법이다. 주소변조 공격은 ICMP 응답 패킷의 에코 메시지 주소를 희생자 IP 주소로 변조하여 이루어진다. 버퍼 오버플로우 공격은 Solaris의 로긴 프로그램에 문제를 일으켜 root 권환(개인 사용자가 컴퓨터에 대한 모든 사항을 관장하는 windows계열의 컴퓨터와 달리 Unix계열의 운영체제에서는 사용자들의 등급에 따라 컴퓨터를 제어할 수 있는 능력에 제한이 있다. 네트워크 보호하는 수단으로 대표적인 것은 바이러스 백신, 방화벽, 침입 탐지 시스템과 같은 것들이 있다. 방화벽은 가장 기본적인 보호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새로운 네트워크 보호 수단으로 등장한 것이 침입 탐지 시스템이다. 침입 탐지 시스템은 네트워크 통신 현황, 접속 패턴 등을 감시하고 있다가 비정상적인 패턴이 탐지되면 경보를 발령하는 시스템이다.
미래의 네트워크로는 홈 네트워크, Ad-hoc 네트워크, 지능형 인터넷이 있다. 홈 네트워크는 중앙의 서버를 중심으로 컴퓨터와 휴대폰 그리고 각종 가전 기기를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때 각종 기기에는 IP 주소가 하나씩 부여되어 통신을 하게 된다. 홈 서버는 홈 네트워크의 중추가 되는 정보 처리 장비로 각종 기기들과 외부 네트워크의 연결을 담당하며, 네트워크 관리를 담당하는 장비이다. 네트워크 가전에는 인터넷 냉장고와 인터넷 전자레인지 등이 있다. 인터넷 냉장고는 LCD창을 이용하여 정보 검색이 가능할 뿐 아니라, 냉장고에 기록된 각종 메모 사항을 외부에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Ad-hoc 네트워크는 통화에 참여하는 기기 자체가 라우터 역할을 수행하여 주변의 다른 단말기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의 필요성을 감소시키기 때문에, 통신의 가용성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화가 급증하는 지역에서도 어느 정도 수준 이상의 통화 품질을 보장 할 수 있다. 지능형 인터넷은 사용자 행동 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고, 인터페이스가 개선하며, 분산된 지식을 활용할 수 있다.
첫댓글 very~good~!
very~bad~!
조용 안해?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