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삿갓과 수절과부(욕망)-1
김삿갓이 고향 떠나 어언 해가 바뀌고 다시 가을이 왔으나 방랑 생활에 익숙해진 삿갓집에 돌아 갈 생각은 않고 그저 떠돌기만 하다 보니 먹고 입는거는 그런데로 해결이 되지만 사람이 어디 먹고 입는것만이 생활이 아니 잔는가?
그도 피끓는 청춘이라 때로는 인간의 본능인 성 생활도 필요 하건만 아직 까정은 바람 한번 피어 보지 못하고 꽃피고 새울거나, 요즘처럼 쓸쓸한 가을날, 낙옆 떨어지고 비 오며 가을 바람 쓸쓸하게 불거나,
달밝고 외로운 밤이면 가슴엔 꿈처럼 그리운 것이 여자였도다.
그러나 어이 해볼 도리가 있었어야제...
때는 추석 명절이라 고향 생각, 아내 생각에 마음이 싱숭생숭 하던 차에 오늘은 우연히 함흥땅 가까운 주막에서 명절이다 보니 길손도 없고 하인도 없는 쓸쓸한 주막에 왠 소복한 아낙이 수심 가득한 얼굴로 객을 맞이한다
속으로 옳다구나 오늘은 여그서 남녀상렬지사가(男女相悅之詞) 아닌 남여상열지애(男女相悅之愛)를
이루어 보리라 생각 허고선 < 나그네 하룻밤 묵어 가겠소.> 하고 청을 하니 명절이라 아이들도 다 큰댁에 가고 심바람할 애 들이 없으니 딴집으로 가시란다.
그런다고 한번 맘 먹은 삿갓이 쉬 물러 날리가 어디 있것소.
<아무튼 다리도 아프고 허니 좀 쉬어라도 갑세다.>하고 부득 부득 마루에 처--억 올라 앉으니 아낙은 더 무어라 말도 못하고 부엌으로 들어 가버린다 .
삿갓은 속으로 어떻하면 여그서 하룻밤 묵기도 하고 오랫만에 이 운우지정(雲雨之情) 즉 쉬운말로는
여인네와 육두질이라도 질펀히 하고 갈꺼나 잔머리를 굴리고 있는데 마침 여인 이 다시 나오자 능청스레 수작을 걸어 본다.
<아주머니, 추석이 언젭니까?>하고 일부러 모르는척 물어 보니 < 어머, 내일이 추석이 잔아 예.>하고
어이 없다는듯이 빙그레 웃으며 바라본다. ( 어메 죽이는거이)
올커니 하고 젭싸게 쓸쓸한 나그네가 고향을 생각하는 당나라의 왕유(王維)의 시 한수를 청승맏고 쓸쓸허게 함 읊어본다.
독재이향위이객(獨在異鄕爲異客)하니, 매봉가절배사친(每逢佳節倍思親)이로구나.
홀로 타관 땅에 낯선나그네가 되었으니 해마다 맞는 명절에 어버이 생각이 더욱나는구나
< 어머----선비님, 아주 문장이시네요?> 하고 아낙은 대뜸 표정이 밝아진다.
(옳타 이제 슬슬 사람을 알아 보고 걸려 드는구나.) 속으로 생각 하매 <글쎄 올시다, 문장이면 무에 합네까? 타관에서 식객 노릇이나 하는 주제에.>하고 곁눈질로 아낙의 얼굴을 한번 힐끔살핀 뒤 신세한탄을 하니.
별스런 양반두 누가 명절에 객지밥 잡수라고 시켰나요.
부지런히 오늘이라도 고향 찾아가면 되지 하고 저녁거리 쌀을 씻으며 말을 받는다.
<허-----강원도 영월땅을 이제사 갈 수 있소?>하고 한숨을 휴 하고 내쉬니 <보아하니 젊잔으신 분이라 제가 오늘은 돈 안 받고 하루밤 재워드릴 테니 내일은아침 일찍 떠나셔야 하세요.> 하고 씻은 쌀 바가지를 들고 부엌으로 들어간다.
<음--- 됐다, 이 널찍한 집에서 저 여인네와 단둘이만 잔다?>고 생각하니 삿갓의 가슴은 벌써 부터 방망이질이다.
맛있게 차려준 저녁상을 물리고 나니 이윽고 밤이 되었다.
<hr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