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듀서(producer) - 기획자. 일본과 우리나라에선 방송드라마 연출자를 호칭하는
pd는 producer과 directer의 합성어이다.
미국이나 유럽에서는 기획과 연출을 별도의 개념으로 본다.
-디렉터 (directer) - 감독, 연출
스토리를 영상화하는 총책임자로 가장 중요한 역할이라고
볼 수 잇다.
-어시스턴트 디렉터 (assistant directer) -조감독. 감독을 보조하는 역할.
세트, 소품, 의상, 카메라,음향을 점검하고
제작비결재등등 드라마제작의 세세한 부분을
책임진다.
-아트 디렉터 (art directer) -미술부. 세트제작등을 맡는다.
-세트 드레서 (set dresser) -연기의 배경으로 쓰이는 가구, 휘장, 소도구등을
제 자리에 놓는 일을 한다.
-사운드 디렉터(sound directer) - 영화에 사용되는 모든 사운드 녹음 담당.
-믹서 (mixer) - 촬영현장의 마이크로부터 녹음실로 보내지는 모든 사운드를 정리하는
사람.
-퍼스트카메라 맨 (first camera man) - 촬영감독. 조명을 포함
영화촬영에 대한 전반적인 책임을 진다.
-에디터(editer) - 편집자. 감독이 찍은 필름, 또는 테이프를 하나의 작품으로 만드는
작업을 한다.
-프롬맨(prop man) - 소도구 담당자. 드라마에 사용되는 소품을 준비한다.
-스틸카메라맨 - 제작현장에서 영화 홍보를 위한 스틸사진을 찍는 사람.
-스크립터(scripter) - 속기사. 촬영현장에서 감독이 촬영하는 모든 장면과 의상,
소품등을 기록하는 역할. 즉석에서 감독의 요구에 의해 대본을
수정하는 일도 한다.
- 헤드 일렉트리션 (head electtician) -카메라맨과 협조해서 조명의 설치와
조정에 대한 일을 한다.
-스토리 어낼리스트(story analyst) - 시나리오를 검토 분석하는
전문적인 그룹이다.
-캐스팅디렉터(casting director) - 중요한 배역선정은 감독이 하지만 비중이 적은
역할은 캐스팅디렉터가 맡는다.
-그립 (grip) - 감자기 스튜디어 수선이 필요할 때를 대비헤 세트 옆에 대기시키는 목수.
드라마용어사전 (2)
2. 카메라, 편집 용어
- CUT - 찰영된 필름의 단편.
- SHOT -촬영작업.
- CUTBACT -각기 다른 두개의 씬을 연속적으로 바꾸어 같은
시각에 두곳에서 일어나는 사건을 보여주는 화면구성
-cut in - 한 화면에 다른 화면을 잘라넣는 일.
-angle -앵글. 카메라의 각도.
- FLASHBACK -컷 백을 급속히 진행해 나가는 수법.
긴박한 장면이나 환상적인 분위기를 낼 때 사용.
- FADE IN (F.I) -어두운 화면을 점점 밝게 하거나. 소리.
음성. 음악의 볼륨을 점점 증가
- FADE OUT (F.O ) -페이드 인과 정 반대의 의미.
- CROSS FADE (DISSOLOVE ) -페이드 인과 페이드 아웃이 동시에
이루어지게 하는 것.
시간과 장소의 차이. 그리고 표현 양식의 차이. 강조와 상황 의 변화등을 위해서 TV 연출에서 많이 사용.
영화에서는 오버랩 (O .L)
- FRAME IN -피사체 즉, 인물이나 물체가 화면 안으로 들어오는 것
- FRAME OUT-피사체가 퇴장 하는 것.
- WIPE -카메라에 잡힌 형상을 한쪽에서부터 닦아내듯이 사라지게 한다음 뒤에서 점차 다른 장면의 영상이 나오는 것을 말한다.
또는 화면의 중앙에서부터 원형이 펼쳐지면
원의 바깥쪽 화면은 지워지고 원 가운데에는 다른 영상이 나타나는 것.
- PAN - panorama의 준말로 어느 한 장소에서 카메라의 위치는 고정시킨 채 카메라
앵글만을 좌우로 돌리는 것을 말한다.
-TILT DOWN - 피사체를 잡아서 카메라 앵글을 아래로 향하 게 하는 것
- TILT UP -카메라 앵글을 위로
- TRUCKING-카메라의 위치를 이동시켜 달리고 있는 자동차나 걷고있는 사람을 측면에서
잡아 그와 같은 보조로 카메라를 이동시키면서 촬영하는 기법.
- FOLLOW SHOT -카메라가 움직이는 피사체를 쫓아다니며 촬영.
- DOLLY IN . (또는,ZOOM IN ) -카메라 위치를 피사체 앞으로 전진시키는 촬영법
- DOLLY OUT (또는, ZOOM OUT) -카메라를 후퇴시키면서 촬영.
- SUPER IMPOSE -한개의 화면 위에 다른 화면이나 글자 또는 그림을 동시에 겹치게 하는 것 으로 야구경기에서 볼 카운트나 특정의 문자가 현장화면과 겹쳐
나타나는것.
- LONG SHOT -광각 렌즈를 사용해서 전경을 보이게 하는 것.
세트의 전경인 풍경의 전경 전체를 찍는 것.
- MEDIUM SHOT -롱샷에 비해 근경을 가르킨다.
- CLOSE UP - 목부터 얼굴 전체를 화면에 넣는 샷.
피사체를 근접해 촬영.
- BIG CLOSE UP -인물의 얼굴만을 화면 가득히 차지하게 하는 것
극적인 효과를 높이는 데 사용.
드라마용어사전(3)
3. 극본관련 용어,
dialogue - 대사에는 대화, 독백, 방백등이 있다. 그 중에서 대화, 문답체의 대사를
의미한다.
insert -삽입화면.
sequence -시퀀스, 스토리 가운데서 하나의 삽화로 모아진 부분.
silhouette- 실루엣. 그림자 그림.
situation - 시튜에이션 극적인 사건이 일어나는 국면.
episode - 삽화.각 시퀀스가 포함하는 단편적인 스토리.
f - filter의 줄임말로 전화를 통해 들리는 대사를 의미한다.
e - effect의 준말로 원래는 효과음을
뜻하지만 요즘은 회상씬등에서 대사가 목소리로만 전달될 때 쓰지만
원칙적으로는 (소리)라고 써서 음향효과와 분리해야한다고 주장하는 이도 있다.
n - narration의 줄임말로 등장인물사이에
오가는 대사가 아닌 독백, 또는 시청자를 향한 설명.
장르 (genre) - 부문, 종류, 종속.
시네마트루기(cinematurgie), 드라마트루기 - 영화, 드라마작법
클라이맥스 (climax) - 극의 최고조점
인트로덕션 (introduction) - 극의 도입부. 발단.
컨스트럭션 (construction) - 구성. 스토리를 시퀀스나 장면으로 짜나가는 것.
콘티뉴이티 (continuity) -줄여서 콘티라고 한다. 현장용의 연출대본이다.
파아스(farse) - 에드립으로 진행되는 즉석희극.
환타지 (fantasy) - 환상극. 몽환극.
레제시나리오(lese scenario) - 시나리오 형식을 빌린 새로운 문학형식. 영화화만을
목표로 하지않는다.
멜로드라마 (melo drama) - 성격의 추구보다도 줄거리의 변화로 관객의 눈물을
쥐어짜게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메인 타이틀(main title) - 영화 최초에 나오는 제목, 스탭, 배역등의 자막.
top title이라고도 한다.
서브 타이틀(sub title) - 화면이 갖는 의미를 보충설명하기 위한 자막.
슈퍼 임포즈(super imphoes) -화면에 문자를 구어넣는 일.
몹 신 (mob scene) - 군중이 나오는 장면
모티브 (motive) - 동기, 기인, 계기.
첫댓글(플래시 백)의 정확한 사용 법을 알고 싶은데요. 가르쳐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어떤 시나리오에서는 커트백을 급속히 진행해 나가는 수법으로 쓰이고, 어떤 시나리오에서는 과거를 제시하는 일련의 쇼트를 삽입, 현재 시점의 단절을 나타내는 편집 기법으로 쓰이던데..... 정확한 사용 기법을 알고 싶습니다.
첫댓글 (플래시 백)의 정확한 사용 법을 알고 싶은데요. 가르쳐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어떤 시나리오에서는 커트백을 급속히 진행해 나가는 수법으로 쓰이고, 어떤 시나리오에서는 과거를 제시하는 일련의 쇼트를 삽입, 현재 시점의 단절을 나타내는 편집 기법으로 쓰이던데..... 정확한 사용 기법을 알고 싶습니다.
그리고 어떤땐 씬을 나누어 쓰고 어떤땐, 씬 안에 인서트로 삽입해 쓰던데..그 정확한 용법도 알고 싶구요. 자세히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어떤땐 씬을 나누어 쓰고 어떤땐, 씬 안에 인서트로 삽입해 쓰던데..그 정확한 용법도 알고 싶구요. 자세히 가르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카메라편집용어 같은건 수고스럽지만 간단한 캡쳐와 함께 설명하는 것이 훨씬 더 도움이 될거 같아요... 아니면 그림이나 삽화로... 그런건 본적이 없네요... 저같은 초짜를 위해서~
초보인 저에게 너무너무 감사한 자료예요....... 블로그에 퍼가서 여러번 볼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