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 및 보충 : 學軒
漢江 다리 조사
한강은 길이 514 km, 유역면적 34,397 km² 이다. 서울에서 한강의 북쪽도로는 강변북로, 남쪽은 올림픽대로가 있다.
한강은 6호선, 8호선, 9호선, 분당선이 [2010년에 한강을 통과하는 하저터널 건설중]
인천 국제공항철도와 인천 메트로 1호선을 제외한
모든 수도권 지하철 노선들이 교각으로 한강을 통과한다. 1호선 [용산역 ~ 노량진역], 2호선 [강변역~성내역, 당산역~합정역] 3호선 [압구정역 ~ 옥수역], 4호선 [이촌역 ~ 동작역], 7호선 [뚝섬유원지역 ~ 청담역],
그리고 지하터넬은 5호선 [여의나루역 ~ 마포역, 광나루역 ~ 천호역]을 통해 관통하며, 2010年, - 현재까지 28개의 다리를 지니고 있다.
동호대교 아래의 한강대교 지도 1. 일산대교(일산大橋)[길이-1840 m : 유일하게 통행료를 징수한다.]
공사중인 일산대교
왕복 6차선으로 완공 된 모습 2003년 8월에 착공하여 약 4년 4개월여 만에 끝나 지금은 1200~1300원대 수준에서 징수하고 있다. 한강다리 중에선 유일하게 통행료를 징수하나 원효대교에 이어 한강에 민간투자사업으로 건설되는 두 번째 다리다. 무정차 전자지불시스템인 ‘하이패스’가 운영될 예정이다.
고양시와 김포시를 잇는 일산대교는 일산신도시와 김포신도시가 짧은 거리로 연결되어 약 20분의 시간단축을 가져온다. 고양시 법곳동(이산포IC)과 김포시 걸포동(걸포IC)을 연결하는 총 길이 1.84㎞에 왕복 6차로의 교량인 일산대교는 인근이 철새도래지역이기 때문에 불빛 차단형 가로등 및 방음벽 설치, 저소음 포장공법 등이 적용된다
2. 김포대교(金浦大橋)[길이 - 2280 m , 외곽 순환 고속도로와 연결]
경기도 김포시 고촌면 신곡리와 고양시를 잇는 다리로 길이 2,280m[총연장 1,475m], 너비 38.2m이다. 8차선 28.8m이고 중앙에는 너비 3.4m의 분리대가 설치되었다. 하부구조는 교대가 20기이고, 경간 사이의 최대 거리는 125m에 이른다. 서울 외부순환고속도로 계획에 따라 건설되었으며 한강 다리로는 21번째. 한강 다리 중에서 너비가 가장 넓고 길이도 가장 길다.
남쪽은 김포제방도로를 가로지르고 고양시쪽은 자유로를 가로지른다. 자유로 와는 신평인터체인지로 이어지고, 김포인터체인지에서는 48번 국도와 이어진다. 하부의 교각이 상부구조와 조화를 이루어 미관이 뛰어나다.
김포시와 고양시 일산 지역은 물론 문산읍 파주시, 서울특별시 서부 지역의 교통난을 분산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3. 신행주대교(新幸州大橋)[- 1460m]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과 서울특별시 강서구 개화동을 잇는 다리로 길이 1,460m, 너비 14.5m이며 1995년 5월 개통되었다.
1996년부터 제2 신행주대교를 건설하여 2000년 12월 16일 개통되었다. 이에 따라 신행주대교는 고양시에서 서울 방향, 제2 신행주대교는 서울에서 고양시 방향으로 각각 일방통행하게 되었다. 각 노선은 편도 3차선이다.
승용차만 다니던 행주대교는 비상도로로 활용하다가 철거될 계획이다.
4. 방화대교(傍花大橋)[2559m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연결]
강서구 방화동과 경기도 고양시 강매동을 잇는 다리를 말하는데 총연장 2,559m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 구간 중 서울특별시 입구에 건설된 다리이다.
한강을 횡단하는 다리 가운데 27번째로 건설된 최장 교량이며, 특히 중앙부 540m의 아치트러스[arch truss]橋는 비행기의 이착륙을 형상화한 디자인으로 미관이 뛰어나서 남쪽의 개화산과 북쪽의 행주산성 등 주변 경관과 조화를 이루고 있다.
5. 가양대교(加陽大橋)[- 1608m]
마포구 상암동과 서울특별시 강서구 가양동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북단은 강변북로와 자유로가, 남단은 올림픽대로가 연결된다. 1994년 12월 착공하여 2002년 5월 31일 준공되었다. 교각과 교각 사이의 거리가 최소 100m, 최대 180m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길다. 교량의 길이는 약 2.5Km로 大橋이다.
6. 성산대교(城山大橋 )[- 1410m]
마포구 망원동과 영등포구 양평동을 잇는 길이 1,410m. 너비 27m이다. 1980년 6월 30일 에 개통되었다. 국도 제1호선 및 국도 제48호선 의 일부이며, 서부간선도로를 거쳐 서해안고속도로 로 이어진다.
성산로 (독립문∼ 경인고속도로 입구)의 건설과 함께 시공되었으며, 제2한강교 의 교통량 분산과, 김포공항에서 도심으로 진입하는 시간을 단축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이 다리는 한강의 12번째 교량으로서 성수대교 와 같은 트러스 공법 으로 세워졌는데, 외측을 반달형으로 하여 특유한 조형미를 갖추고 있다
7. 양화대교(楊花大橋)[-1053m]
특히 양화대교는 한강다리가 본격적으로 건설되기 시작한 60년대의 첫 교량이다.
60년대에 들어서 경제개발이 시작되었고, 1965년 1월 제2한강교라 불린 양화대교가 등장했다.
합정동과 당산동을 잇는 양화대교는 영등포와 인천·김포공항으로 가는 서울의 서부관문이기도 하다.
마포구 합정동과 영등포구 양평동 사이를 연결하는 다리이다. 1962년 6월 20일 착공되어 1965년 1월 25일 준공 개통되었다. 준공 당시에는 "제2한강교"라 불리었으며 1982년 9월 현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다리 남쪽에 선유도 공원이 있다. 약 1.6KM로 당산역에서 조금만 걸으면 보이는 곳이다.
8. 당산철교(堂山鐵橋) [-1360m : 지하철2호선전용]
서울 지하철 2호선 의 당산역 과 합정역 을 연결하는 철교이다. 1983년 에 완공되었으며, 1984년 5월 서울 지하철 2호선의 완전개통으로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한강의 3번째 철교이다. 성수대교 붕괴사고의 여파로 당산철교도 교량 점검 후폭풍이 불었다. 완공 10년 후에 실시된 교량 점검 과정에서, 상판은 물론 교각 자체에도 심각한 문제가 발견, 전면 재시공이 결정되면서 1996년 末에 대대적인 공사가 시작되어 당산역- 합정역 구간이 한때 단절되었다. 이후 약 3년간 당산역과 합정역 및 홍대입구역을 임시로 드나드는 무료 셔틀버스가 운행되었고 2호선 열차가 합정역에 임시로 회차선을 만들어 회차하기도 했다.
1999년 가을에 당산철교가 다시 개통되어 현재까지도 별 문제 없이 교량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있다. 교량의 길이는 약 1.2km이며, 높이는 약 30m에 이른다.
9. 서강대교(西江大橋)[-1700m]
1999年 준공된 서강대교는 철새도래지인 밤섬을 가로질러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하였다. 한강의 수질보호와 밤섬 철새도래지의 보호를 위하여 콘크리트 상판 960m 를 연속압출공법 [시공 관리가 용이하고 속도가 빠름] 으로 가설하였으며, 아치형 다리로 수려한 미관을 자랑한다.
10. 마포대교(麻浦大橋 [-1400m]
마포구 마포동과 영등포구 여의도동 을 잇는 다리이다. 길이는 1.6km이며 왕복 10차선 다리이다. 초기 이름은 서울대교 였지만 추후 마포대교로 개명되었으며, 1970년 착공되었다. 이 다리가 건설된 이후 극심한 교통체증으로 나중에 원효대교 를 건설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고, 이 다리로 인해 여의도 가 발전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다리는 한강에서 4번째로 설치되었다.
2008년 8월부터 11월까지 보행환경 개선공사로 왕복 8차선으로 다리가 축소된 적도 있었다. 서울 지하철 5호선 은 이 다리와 평행한 하저 터널 로 여의나루역과 마포역 이 이어진다.
11. 원효대교 (元曉大橋)[ - 1470m]
용산구 원효로 4가와 영등포구 여의도동을 잇는다. 1978년 7월에 착공, 1981년 10월 27일 에 완성되었다. 폭은 20미터(차도폭 15.4미터, 보도폭 4.6미터에, 4차선 규모로 총연장 1,120미터 길를 지니고 있다. 원효대교는 지보공이 없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장대교량 이다. 원효대교는 독일의 디비닥공법과 프리 캔틸레버공법을 이용하여 건설되었다. 원래 동아건설 (주)에서 건설하여 개통 초기에는 통행료를 징수했으나, 이후 1984년 서울시에 다리의 소유권을 기부한 이후 톨게이트는 철거되었다.
12. 한강철교(漢江鐵橋) [-1110m : 지하철1호선과 기타여러기차전용]
한강의 교량 중 최초로 건설된 교량으로, 노량진역 과 용산역 사이를 잇는 철교이다. 1900년 한강 이남으로 노량진역에서 끊겨 있던 경인선을 용산역 과 남대문역[現 서울역]까지 연장하기 위하여 건설된 철도 전용 교량이다. 현재 경인선, 경부선 등의 열차가 이용하는 교량이다.
대한제국과 일제 강점기 당시 건설된 A·B·C선은 2006년 에 대한민국의 등록문화재 로 지정되었다.
1900년 7월 5일 준공된 한강 위에 놓인 최초의 다리 한강철교
현재는 운송량의 증가와 맞물려 4개까지 늘어났다. 상류에서 하류 측으로 A-B-C-D 순으로 자리 잡은 4개 의 한강철교는 각기 다른 역할을 하는데, 철교-A는 용산에서 부평간 경인선 열차가, 철교-B는 화물열차, 철교-C는 경부선·장항선·호남선 등의 철도가, 철교-D는 경인·경수 전동차가 다니고 있다.
사진 : 1912년의 한강철교 공사, 출처 : 서울시 건설안전본부 홈페이지
13. 한강대교(漢江大橋)[-1005m]
첫 다리가 연결된 後 17年이 있은 後에는 사람과 우마차가 다니는 길이라 해서 인도교, 또는 제일 한강교라 이름 붙여진 한강대교가 건설되어졌다.
한강대교는 노들섬과 연결되어 있다. (상 위그림) 한강대교 외에도 서강대교는 밤섬과, 양화대교는 선유도와 연결되어 있으며, 한강대교와 양화대교 사이에는 카페형 전망대가 조성되어서 최근에는 연인들끼리 자주 찾는 명소가 되기도 하였습니다. 한강대교 야경 - 이하출처 : 서울 건설안전본부.
14. 동작대교(銅雀大橋)[-1330m : 가운데 지하철 4호선 통과]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동과 서초구 반포동을 잇는 총연장 1,330m의 한강 다리이다. 한강 다리 중 11번째로 개통하였다. 한강의 5번째 철교이다. 동호대교와 같은 구조의 도로·철도 겸용 교량으로 건설되어, 서울 지하철 4호선의 이촌역 - 동작역 사이를 연결하고 있다.
연장 1,330m, 폭 40m. 한강대교와 반포대교 사이에 있다. 도로橋 와 지하철 4호선 電鐵橋의 복합 교량으로, 그 폭이 한강다리 가운데서 가장 넓으며, 차선은 6차선, 차도 23.6m에 양쪽 인도 5m씩이고, 전철교는 복선 11.4m이다. 서울시 가 한강대교와 반포대교의 과밀교통량 분산효과를 기대하고 1978년 10월에 착공하여 1984년 11월에 총공사비 550억 원을 들여 준공하였다. 난간이 알루미늄으로 꾸며졌으며, 조명효과 를 위하여 메탈할라이드 램프등으로 가로등을 달았다.
15. 반포대교(盤浦大橋)[1490m]
Rainbow fountain Seoul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동과 서초구 반포동을 연결하는 다리 이다. 1980년 1월 착공해 1982년 6월 25일 준공되었다. 대한민국 최초의 2층 교량이고, 약 1.2킬로미터이다. 반포대교의 아래에는 잠수교 가 있다. 이 다리에 설치된 분수대는 2008년 12월 14일 세계 기네스 협회에서 세계 최장 교량 분수로 공식 인증했다. 반포대교와 잠수교, 그리고 달빛무지개 분수 는 한강 르네상스 프로 젝트로 인해 반포한강공원 의 일부가 되었다.
16. 잠수교(潛水架橋)[潛 水 橋, submerged bridge - 795m]
잠수교의 아름다운 밤 불빛
아래 부분이 잠수교(배가 지날 수 있게 아취형이다.) 홍수 때에는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낮게 가설한 교량으로 물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떠내려오는 물건이 걸리지 않도록 난간을 설치하지 않는다.
하천관리의 측면에서는 장애물이 되며, 바람직하지 않으나 가설공사비가 절감되기 때문에 시골의 작은 하천에는 비교적 많으며 서울 한강의 잠수교는 좋은 예로, 지금은 그 위에 다시 교량을 가설하여 2층 교량으로 되어 있다.
홍수 때는 교통이 차단되며, 수위가 낮아지면 다시 사용할 수 있다. 관광유원지에서의 가교[橋] 는 경관을 해치지 않는 의미에서, 영구구조의 잠수교를 생각할 수도 있다. 보통 주요 도로에는 잠수교를 사용하지 않는다.
17. 한남대교(漢南大橋)[ - 917m]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漢南洞] 과 강남구 신사동[新沙洞] 사이를 잇는 다리로 한강에서는 네번째로 건설된 교량이다. 서울과 부산을 연결하는 경부고속도로의 진입 관문 역할을 한다.
1966년 1월 19일 착공하여 1969년 12월 25일 에 준공되었다. 교통량 증가와 다리의 노후로 1996년 12월 기존 다리 서쪽에 새 다리를 착공, 2001년 3월 개통하였다. 以後 기존 다리는 보수공사를 진행하여 2004년 8월 9일 재개통, 현재의 12차로로 구성된 다리가 완성되었다. 양재 나들목과 한남대교를 잇는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이 다리를 건널 수 있다.
원래 이름은 '제 3 한강교'였으나 1985년 현재의 이름으로 바뀌었다. 915m의 비교적 짧은 다리이다. 과거 경부고속도로의 종점이었다. 아시아 고속도로 AH 1의 일부이며, 이 다리를 통과한 후 한남로, 퇴계로, 국도 1호선을 거쳐 경부고속도로로 향하게 된다.
17. 동호대교(東湖大橋 )[-1095m : 가운데에 지하철3호선지나감]
서울특별시 성동구 옥수동과 강남구 압구정동을 연결하는 다리이다. 1980년 6월 착공하여 1985년 2월 2일 준공되었다. 한강에서 15번째로 만들어진 다리이다. 약 1.2km이다. 서울 지하철 3호선 의 옥수역과 압구정역을 연결해주는 철교 역할도 하고 있다. 다만, 강변북로에서 어느 방향이라도 동호대교를 타거나 이 대교에서 강변북로 도로로 갈아탈 수는 없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