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느리와 시댁 가족의 호칭
며느리가 시부모를 부르거나 말할 때
며느리가 시부모를 직접 부를 때는 시(媤) 자를 붙이지 않고,시아버지는 '아버님',시어머니는 '어머님' 이라 한다.시댁 가족에게 시어른을 말할 때도 '아버님'어머님'이라 한다.
며느리가 친정 가족이나, 가족이 아닌 남에게 시부모를 말할 때는 '시아버지(시아버님),시어머니(시어머님), 하거나,바캍시어른,안시어른 이라 한다.아이의 이름을 붙여서 ㅇㅇ할아버지,ㅇㅇ할머니, 라 말하기도 한다.
시부모가 며느리를 부르거나 말할 때
시부모가 며느리를 직접 부를 때는 '아가', '새아가' 라 한고 아이를 낳으면 아이 이름을 붙여서 'ㅇㅇ어미(어멈),라 하기도 한다.'어미'라는 말은 며느리의 남편인 아들, 그 자녀인 손자와 손녀에게 며느리를 말할 때도 쓸 수 있다.
아들에게 그 아내인 며느리를 말할 때는 ' 네 댁',' 네 아내'라 한다.아들에게 그 아내를 가리켜 '네처(妻)'라고 하는 사람도 간혹 있지만 '네 처'는 교양인이 쓰는 지칭어라 하기 어렵다고 하는 사람도 있다.
남에게 그 며느리를 말 할 때는 '며느님',자부(子婦)님' 이라는 말을 쓴다.
며느리의 아랫 사람에게 며느리를 말 할 때는 그 아랫사람이 부르는 호칭으로 말한다.'네(너의)올케',' 네 형' ,네 형수''네 어미'등을 상대에 따라 쓰는 것이다 자신의 며느리를 남에게 말 할 때는 '며늘아기(며늘애)',나의 며느리',우리 며느리','내 자부',저의 자부' 등으로 말한다.
남편의 형제 자매와 그 배우자
남편의 형을 직접 부를 때는 '아주버님','아지벰'이라 한다.시댁 가족에게 말 할 때도 마찬가지이다.남에게 남편의 형을 말 할 때는 '시숙(媤叔)이라 한다.형이 여럿이면 '큰', 둘째,등을 붙여서 말한다.
남편의 아우를 부를 때는 미혼이면 도련님,되렴,기혼이면 '서방님',아지벰,이라 한다(남편의 형제자매와, 형수,제수,사이의 호칭은 서울, 경기와 충청도, 경상도,등 지방에 따라 현실적으로 차이가 있다.려증동 저,「가정언어」(문음사,2000)에서는 아주버님 과 아지벰 아주머님 과 아지메 를 구분하여 시아버지의 4촌 현제부터는 아주버님 을 쓰고, 시동생이 현수에게 아지메 를 쓰는 것으로 정리하였다)
남편의 아우를 말 할 때는 '시동생'이라 한다.남편의 자매(시누이)를 부를 때 남편의 누나는 '형님', 큰아씨' 등으로 부른다. 남편의 누이동생은 '작은아씨'라 하고 기혼인 경우는 그 남편의 성을 붙여 'ㄴ서방댁' 이라 부른다.
며느리끼리 부를 때, 손위 동서를 '형님'이라 부르고. 손아래 동서를 '동서',새댁'으로 부른다, 동서는 남편에 따라 서열이 정해지므로 윗동서의 나이가 적더라도 형님,으로 호친하고 존댓말을 쓰는 것이 옳다. 집안 어른에게는 윗동서를 '형' 아랫동서를 '동서' 라 한다.
시누이 남편은 ㅇ서방' 이라 부른다.시누이 남편을 남에게 말할 때는 시누이 남편,시매부(媤妹夫)라 한다.
손부(孫婦)가 시조부모를 직접 부를 때는 '할아버님',할머님'이고 시조부모가 손부를 부를 때는 '애기',손부'라 한다.
남편의 형제 자매와 그 배우자
남편의 백부모는 '큰아버님',큰어머님'이고.남편의 숙부모는 '작은아버님',작은어머님',ㅇ째아버님'ㅇ째어머님' 이다.조카의 아내는 '질부(姪婦) 라 부른다.
남편의 고모는 '아주머님',고모님'이고 남편의 이모는 '아주머님''이모님' 이다.고모나 이모가 조카의 아내를 부를 때는 '질부' 라 한다.
그 외의 시댁 가족 호칭은 남편이 쓰는 호칭어에 '님' 을 붙여서 쓰면 무난하다. ;님;을 붙일 수 없는 말일 때는 남편이 쓰는 호칭을 그대로 쓴다.(예컨대 남편이 '아주머니'라 부르는 겨웅는 '어주머님'이라 하면 되지만 남편이 어저씨 라고 하는 상대는 그대로 '아저씨' 라 부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