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령 해석상의 문제로 첨부파일을 검토하고 있습니다. 검토가 끝나는 대로 수정된 파일을 다시 올리겠습니다.
이미 다운받은 파일은 삭제해 주시기 바랍니다. 4/8
수정완료하였습니다. 아래 첨부파일을 내려받아 사용하면 됩니다. 4.09. 12:15
* 연동배분 의석수를 계산할 때, 비례후보를 내지 않은 민주당과 미통당은 “의석할당 정당”에 포함되는가를 검토하였습니다. 참여연대 계산기는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산출하였는데 그것은 매우 불합리할 뿐 아니라, 법령에는 지역구 5석 이상이면 의석할당 정당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본 의석수 계산하기에서는 민주당과 미통당도 의석할당 정당에 포함시켜 계산하였습니다. (선관위의 결정은 아님을 밝힙니다.) - 서울참동 정책실
정당별 예상 득표율과 지역구의석수를 입력하면 연동형과 병립형 비례의석수가 자동계산되어
전체 의석수를 알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첨부된 파일 1개를 내려받아 사용하면 됩니다.
“21대 총선 의석수 계산하기 1.1판” 엑셀 프로그램을 3월 23일 개발을 마치고 배포합니다.
참여연대에서 만든 의석수 계산기가 놓친 환산득표율 부분을 포함하여 계산하였고,
따로 칸을 만들어 볼 수 있게 하였습니다.
환산율(득표율환산)은 득표율이 3% 이상이거나 지역구 5석 이상인 정당[의석 할당 정당]들만 득표비율을 따로 모아서 만드는 득표율입니다.
이 비율로 47석의 비례의석을 “의석 할당 정당”끼리만 나눕니다. (공직선거법 189조 1항)
따라서 정확한 의석수를 구하려면
정당득표율을 다시 “의석 할당 정당”의 득표비율로 환산하여 계산해주어야 합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 득표율을 100% 입력하지 않아도 무소속 칸에 득표율의 나머지가 자동입력됩니다.
지역구의석수는 253석을 모두 입력하지 않아도 무소속 칸에 나머지가 자동으로 입력됩니다.
그러나 100%와 253석이 넘으면 무소속에 음수(-)로 표시되니까 넘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 실제 상황에서는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득표율이 같으면 법령에서는 추첨으로 결정한다고 돼 있는데,
이 프로그램에선 위쪽에 있는 정당에게 우선권을 주도록 설정하였습니다.
같은 값을 입력했는데도 위쪽의 정당에 더 많은 의석수가 나오는 경우는 이에 해당합니다.
* 무소속 왼쪽 위쪽에 날짜를 입력하게 하였습니다.
* 왼쪽 sheet에 4.15총선에 나오는 35개 정당의 총선결과를 모두 기록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선관위와 같은 공식기관에서 필요하면 사용할 수 있겠습니다만 웬만하면 15정당으로 충분합니다.
* 4월1일 이후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발표된 전국단위 여론조사를 입력해 놓았습니다.
판 변경
3월27일 1.2판 - 크기를 줄이고, 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한 함수로 수정함.
4월 1일 1.3판 - 입력이 불필요한 칸은 색칠을하였고, 같은 정당은 같은 색깔로 쉽게 구별할 수 있게 함.
4월 5일 1.4판 - 1.3판에서는 지역구 의석수를 빈칸으로 두지 않고 0을 입력해야 하는데, 1.4판에서는 빈칸으로 두거나 Delete로 지워도 원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수를 변경함. 따라서 필요한 곳에만 숫자를 입력함으로써 알아보기 쉬움.
최근 선거관련 여론조사결과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에 있습니다.
https://www.nesdc.go.kr/portal/main.do
첫댓글 버전1.2로 프로그램을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http://cafe.daum.net/seochamdong/SyMf/66
21대 총선 의석수 계산하기 1.3 으로 업그레이드 하였습니다.
http://cafe.daum.net/seochamdong/SyMf/67
이걸 사용하시기 바랍니다.
1.4판으로 올렸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