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립할 수 있나요? |
예 |
(㉠) | ||
아니요 |
실질적 의미를 가지나요? |
예 |
(㉡) | |
아니요 |
(㉢) |
|
㉠ |
㉡ |
㉢ |
① |
눈, 아이 |
이, 맑- |
-은 |
② |
눈, 아이 |
맑- |
이, -은 |
③ |
눈 |
맑-, 아이 |
이, -은 |
④ |
눈 |
이, 맑- |
-은, 아이 |
⑤ |
이, 맑- |
눈, 아이 |
-은 |
05 <보기>를 이해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보기>
단어는 그것을 이루는 구성 요소에 따라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뉜다. 단일어는 하나의 어근으로만 이루어진 단어이다. 복합어는 구성 요소의 수가 복수인데 구성 요소가 무엇이냐에 따라 합성어와 파생어로 구분된다. 단어를 둘로 쪼개었을 때 둘 다 어근이면 합성어이고, 둘 중 하나가 파생 접사이면 파생어이다. 가령 ‘물놀이’는 ‘물’과 ‘놀이’로 쪼개어지며, 이 둘은 모두 어근의 자격을 가지므로 합성어이다. 반면 ‘집집이’는 ‘집집’과 ‘-이’로 쪼개어지는데 ‘-이’가 파생 접사이기 때문에 파생어가 된다. 한편 어떤 단어가 단일어나, 합성어, 파생어 중 어디에 속하는지를 구분할 때 조사나 어미는 고려하지 않는다. 조사나 어미가 몇 개 결합하든 단일어나 복합어의 자격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① ‘집에서’는 조사 ‘에서’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합성어에 속하겠구나.
② ‘돌아가다’에는 어미 ‘-아’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단일어에 속하겠구나.
③ ‘어른스럽다’는 어근이 ‘어른’ 하나밖에 없으므로 단일어에 속하겠구나.
④ ‘손바느질’은 ‘손바늘’에 파생 접사 ‘-질’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파생어에 속하겠구나.
⑤ ‘들어앉히다’는 ‘들어앉-’에 파생 접사 ‘-히-’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파생어에 속하겠구나.
06 <보기>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보기>
•여닫-이[여∶다지] 「명사」
문틀에 고정되어 있는 경첩이나 돌쩌귀 따위를 축으로 하여 열고 닫고 하는 방식. 또는 그런 방식의 문이나 창을 통틀어 이르는 말.
¶한옥 집은 대문이 대부분 여닫이로 되어 있다.
① ‘여닫이’의 어근은 소리 나는 대로 적었군.
② ‘여닫이’는 어근과 접미사를 분리하여 적었군.
③ ‘여닫이’는 어근에 접미사가 결합하면서 품사가 바뀌었군.
④ ‘여닫이’의 어근은 두 개의 형태소가 결합하여 이루어졌군.
⑤ ‘여닫이’와 동일한 접사를 가진 복합어로 ‘젊은이’를 들 수 있겠군.
도움자료
[2015 EBS 수능특강 A]
수능 연습 ❶ 음운과 단어
01 ⑤ 02 ③ 03 ④ 04 ② 05 ⑤ 06 ⑤
01 음운 변동의 성격 파악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⑤ 실마리 닮아 가는 동화
㉡과 ㉢은 각각 탈락과 첨가에 속하는 예들로서, 인접한 음운의 성격을 닮아 가는 동화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실마리 축약되었다
㉠은 ‘ㅎ’과 예사소리가 합쳐져서 거센소리로 축약되는 예이므로 적절하다.
② 실마리 ‘울+니 → [우ː니]’
㉡은 ‘ㄴ’ 앞에서 용언 어간의 말음 ‘ㄹ’이 탈락하는 현상이므로 ‘울+니 → [우ː니]’도 동일한 음운 변동에 속한다.
③ 실마리 첨가되었다
㉢은 ‘ㄴ’이 합성어의 뒷말 초성에 첨가되는 음운 변동의 예이므로 적절하다.
④ 실마리 자음의 수가 줄었다
㉠은 두 개의 자음이 하나의 자음으로 축약되었고 ㉡은 ‘ㄹ’이 탈락했으므로 모두 자음의 수가 줄어드는 음운 변동을 겪었다.
02 연음의 예외 찾기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③ 실마리 ‘디귿이’를 ‘[디그시]’로
‘디귿이’는 연음에 따르면 ‘[디그디]’로 발음해야 하지만 ‘[디그시]’ 로 발음하므로 연음의 예외에 속한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실마리 ‘옮으니’를 ‘[올므니]’로
‘옮으니’는 연음에 따라 겹받침 중 하나인 ‘ㅁ’이 뒤 음절 초성에서 발음되고 있다.
② 실마리 ‘입히다’를 ‘[이피다]’로
‘입히다’에서 ‘입-’ 뒤에 오는 ‘-히-’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문법 형태소이므로 연음이 일어나는 환경과 무관하다. 또한 ‘ㅂ’과 ‘ㅎ’이 결합하여 축약되었으므로 연음이 일어나지도 않았다.
④ 실마리 ‘여덟이’를 ‘[여덜비]’로
‘여덟이’는 연음에 따라 겹받침 중 하나인 ‘ㅂ’이 뒤 음절 초성에서 발음되고 있다.
⑤ 실마리 ‘앉히다’를 ‘[안치다]’로
‘앉히다’에서 ‘앉-’ 뒤에 오는 ‘-히-’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문법 형태소이므로 연음이 일어나는 환경과 무관하다. 또한 겹받침 중 ‘ㅈ’ 이 ‘ㅎ’과 결합하여 축약되었으므로 연음이 일어나지도 않았다.
03 된소리되기의 이해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④ 실마리 ‘보듬기’에는
‘ㅁ’으로 끝나는 용언 어간 ‘보듬-’ 뒤에 어미 ‘-기’가 결합하면 된 소리되기가 일어나야 한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실마리 ‘삶’ 뒤에 조사가 결합하면
‘ㅁ(ㄻ)’으로 끝나는 명사(체언) 뒤에서는 된소리되기가 일어나면 안 된다.
② 실마리 ‘감기기’에는
‘감기기’는 용언 어간 ‘감-’ 뒤에 사동 접미사 ‘-기-’가 결합했으므로 된소리되기가 일어나면 안 된다.
③ 실마리 ‘섬기다’에는
‘섬기다’는 어간이 ‘섬기-’이므로 ‘ㄴ, ㅁ(ㄻ)’으로 끝나는 용언 어 간에 해당하지 않는다. 따라서 된소리되기가 일어나면 안 된다.
⑤ 실마리 ‘담기다’에는
‘담기다’는 용언 어간 ‘담-’ 뒤에 피동 접미사 ‘-기-’가 결합했으므로 된소리되기가 일어나면 안 된다.
04 형태소의 분류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② 실마리 자립, 실질적 의미
‘눈, 아이’는 명사로서 자립할 수 있는 형태소이다. 나머지 형태소 들은 모두 자립할 수 없다. 또한 자립할 수 없는 형태소들 중 실질 적 의미를 가지는 것은 용언 어간 ‘맑-’이다. 조사 ‘이’와 어미 ‘-은’ 은 형식적 의미를 가지는 문법 형태소이다.
05 단어 구조와 구성 요소의 이해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⑤ 실마리 ‘들어앉-’에 파생 접사 ‘-히-’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들어앉히다’에서 어미 ‘-다’를 제외한 나머지는 ‘들어앉-’과 ‘-히-’의 두 부분으로 쪼개어진다. 이때 ‘-히-’가 접미사이므로 ‘들어앉히다’는 파생어이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실마리 조사 ‘에서’가 결합되어 있으므로
‘집에서’의 ‘에서’는 조사로서 단일어나 복합어의 구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 ‘집에서’에서 ‘에서’를 제외한 ‘집’은 하나의 어근이므로 ‘집에서’는 합성어가 아니라 단일어이다.
② 실마리 단일어에 속하겠구나
‘돌아가다’는 ‘돌아’와 ‘가다’의 두 부분으로 쪼갤 수 있으며 둘 다 어근의 성격을 가지므로 단일어가 아니라 합성어이다. 어미가 결합된 것은 단어의 자격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③ 실마리 어근이 ‘어른’ 하나밖에 없으므로
‘어른스럽다’는 어근인 ‘어른’에 접미사 ‘-스럽-’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단일어가 아니라 파생어이다.
④ 실마리 ‘손바늘’에 파생 접사 ‘-질’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손바느질’을 둘로 쪼개면 ‘손’과 ‘바느질’이 된다. 이 둘은 모두 어 근의 자격을 지니므로 ‘손바느질’은 파생어가 아니라 합성어이다.
06 파생어 ‘여닫이’에 대한 이해
[정답이 정답인 이유]
⑤ 실마리 동일한 접사를 가진 복합어
‘여닫이’는 어근 ‘여닫-’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파생어이다. 반면 ‘젊은이’는 ‘젊은’과 ‘이’(의존 명사)가 결합된 합성어이다. 따라서 ‘여닫이’와 ‘젊은이’는 동일한 접사를 가졌다고 할 수 없다. [오답이 오답인 이유]
① 실마리 어근은 소리 나는 대로
‘여닫이’의 어근 ‘여닫-’은 ‘열-’과 ‘닫-’이 결합된 말이다. 그런데 ‘열-’의 ‘ㄹ’을 적지 않은 것은 ‘ㄹ’이 탈락한 발음을 그대로 표기했기 때문이다.
② 실마리 어근과 접미사를 분리하여
‘여닫이’는 어근인 ‘여닫-’과 접미사인 ‘-이’를 분철하여 적은 것 이다.
③ 실마리 품사가 바뀌었군
‘여닫이’의 접미사 ‘-이’는 동사인 ‘여닫-’을 명사로 바꾸어 준다.
④ 실마리 두 개의 형태소가 결합하여
‘여닫이’의 어근 ‘여닫-’은 ‘열-’과 ‘닫-’이라는 두 개의 형태소가 결합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