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시대를 거슬러 스스로의 길을 보무도 당당히 개척해나간, 만고충신 성삼문의 딸 효옥의 이야기! 반드시 살아남아라. 살아 있어야 살게 할 수 있느니라. 반드시 꿈꾸거라. 꿈이 있어야 꿈을 꿀 수 있게 만드느니라.
난신亂臣 성삼문의 아내 차산과 딸 효옥은 운성부원군 박종우에게 노비로 주고…… ─『조선왕조실록』, 세조 2년 1456년 9월 7일
소설 『효옥』은 『조선왕조실록』 속 한 문장에서 비롯했다. 열두 살 어린 나이에 왕위에 오른 조카를 몰아내고 기어이 임금자리를 차지한 수양대군, 세조. 그가 불러온 계유정난이라는 파란 속에 어린 세손 단종을 부탁한다는 세종대왕의 고명을 받들고자 죽음마저 불사한 만고충신들이 있어, 그 기리는 이름을 사육신(死六臣)이라 하였다. 이 절신(節臣)의 하나 성삼문이 죽음 앞에 지고의 믿음으로 벼림으로 남긴 희원, 사위지 않는 불꽃이 있었으니 바로 그의 딸 효옥이다.
소설 속에서 효옥은 계유정난으로 시작해 예종 대에 이르기까지 피바람 부는 세월을 지난다. 충신이 난신이 되고 간신이 공신이 되는 난세를 탄식하며 시작된 이야기는 옳음과 바름으로 다시 세울 시대를 발원하며 나아간다. 저자가 조선시대를 관통하는 정신이라 일컬은바 “신의와 믿음을 위해 처참하게 죽은 사람들을 안타까워하고 같이 눈물 흘리는 마음”, 작고 미약하나 기어이 어두운 골짜기를 밝히는 “꺼지지 않는 촛불”이 곧 효옥의 삶이다.
욕된 자들의 계책으로 고문받고 멸문당한 충신들의 비통함, 그럼에도 한 점 붉은 피로 아로새긴 충절의 통렬함을 모두 소상히 담았다. 양반집 규수에서 한순간 노비가 된 효옥이 곡절 속에서도 맑은 눈으로 세상을 직시하고 나아갈 길을 열어내는 여정 또한 비감하나 아름답게 그려냈다. ‘조선의 충절을 만들었다’는 창녕 성씨, 효옥이라는 불씨를 꺼뜨리지 않으려 의인들이 믿음으로 보태고 희망으로 따르는 이야기이자 제힘 다해 피어올라 스스로 불이요, 빛이 된 효옥의 분투기이기도 하다.
빛이 비록 가냘픈 것일지라도 짙은 어둠 속에서라면 하늘의 별빛과 다를 수 없다. 붙잡을 수 없으나 외려 그러해서 길잡이 빛이 되는 것 말이다.
<저자소개> 저자 : 전군표 1954년 강원도 삼척에서 태어났다. 행정고시에 합격한 이후 오랜 시간 공무원으로 살았다. 어쩌면 뒤늦었다 할 나이 쉰이 훌쩍 넘어 역사와 문학의 재미에 빠져 글을 쓰기 시작했다. 『효옥』은 그의 첫 소설이다.
<작가의 말>
어릴 적 사육신 이야기를 들을 때는 가슴이 벅차고 떨렸다. 청령포와 단종 임금이 묻힌 장릉에서도 비슷한 경험을 하였다. 실록을 읽다가 노비가 된 성삼문의 딸 효옥을 만나던 날은 안타까움에 잠을 이루기 어려웠다. 조선 역사상 두 번 다시 없던 개혁 군주 예종이 재위 1년 만에 숨진 것도 가슴 아팠다.
이긴 자와 진 자, 죽은 자와 살아남은 자, 가문이 멸문당하고 처와 딸들이 노비가 된 자와 당대에 부귀와 영화를 누린 자의 운명이 극명하게 갈렸지만 신의와 믿음을 위해 처참하게 죽은 사람들을 안타까워하고 같이 눈물 흘리는 마음은 조선시대의 정신사를 관통하였다. 세조가 큰 업적을 남겼다면 역사의 정통성과 충절과 신의는 무시되어도 좋은가? 과연 세조는 그러한 업적을 남기는 치세를 하기는 하였는가? 예종의 놀랄 만한 개혁 정책은 왜 좌절되었는가? 그 의문도 화두가 되었다.
역사적 기록으로는 효옥의 나이를 알 수 없었다. 야사 『추강집』에는 ‘대여섯 살’이라는 대목이 있다. 예종의 실제 나이와 비슷하다. 소설에서는 노비가 되는 1456년에 열두 살쯤 되는 것으로 보았다. 예종의 나이도 실제 나이보다는 다섯 살 정도 많은 것으로 상상하였다.
상상 속에서나마 효옥이 아픔을 딛고 스스로의 길을 당당하게 개척해나가는 젊은 여성이길 간구하였다. 소설의 전개와는 달리 『조선왕조실록』은 효옥과 그 어머니 차산이 성종 임금 때에야 박종우의 노비에서 면천되었다고 기록하였다(『조선왕조실록』, 성종 6년, 1475년 5월 7일). 노비가 된 지 20년 만이다.
낮고 어두운 곳에서, 억눌러두었던 말들이 아름다운 글로 승화되기를 간절히 기도하였다. 실록을 읽고 많은 자료를 뒤적였지만 모자람은 채워지지 않았다. 연필로 쓰고 지우고 수없이 고친 천여 쪽이 넘는 무초蕪草 더미를 보면서 천학비재함을 수십 번 탄식하였지만, 그래도 이 부박하고 믿음 없는 시대에 감히 화두라도 내어본다고, 먼지가 가득 덮인 와사등을 닦는 심정으로 겨우 종이를 메워갈 수 있었다. 글은 졸拙함으로써 나아가고 도道는 졸함으로써 이루어진다文以拙進 道以拙成라는 옛 어른의 말씀을 믿고 감히 예까지 올 수 있었다.
2021년 봄 대관령 우거에서 전군표
---------------
<목차>
1장 피바람 부는 세월
먼저 치지 않으면 죽을 수밖에 없습니다ㆍ013 내게 오는 사람은 이제부터 다 내 편이다ㆍ021 성씨들은 절의가 대단해 잘 꺾이지 않는다 합디다ㆍ029 소녀가 효옥인 걸 어찌 아십니까ㆍ039 어린 임금이 피눈물을 흘렸다ㆍ047 검은 팔이 아니라 호흡과 발로 하는 것이다ㆍ057 우리가 내일을 택하지 않으면 우리에게 어찌 내일이 있겠습니까ㆍ069 네 처와 딸도 노비가 될 것이다ㆍ075 이것이 충신의 피요, 한 점 붉은 내 마음도 이와 같소ㆍ085 백설이 만건곤할 제 독야청청하리라ㆍ099
2장 노비가 되다
우리 효옥이를 잘 부탁하네ㆍ107 첨벙, 꽃이 피었다가 지는 순간에ㆍ113 아이이나 아이만은 아닌 아이일세ㆍ121 세월이 역적도 낳았고 공신도 낳았습니다ㆍ129 노비도 분명 사람입니다ㆍ141 오늘 난 놀라운 사내를 봤소ㆍ149 내가 누구인지 알고 이 길을 나선 것이냐ㆍ159 그 사람들은 대신 영원한 삶을 산다ㆍ169
3장 울타리를 넘어서
저를 왜 이렇게 죽이려 하십니까ㆍ177 네가 앞서 피해야 한다ㆍ185 활을 쏜 것은 복수요, 과녁을 비낀 것은 마음이었을까ㆍ191 이 아이가 세자를 보할 것입니다ㆍ199 이제 정말 떠나야 할 때가 왔나봅니다ㆍ205 아무도 못 가본 새 길을 우리가 가고 있는 거요ㆍ211 봉위수기逢危須棄라……ㆍ219 지금 내리고 있는 이 비를 는개라고 부르네ㆍ227 바꾸어야 하지 않겠는가ㆍ235 무서운 검이여, 알 수 없는 칼날이여ㆍ241 호형호제를 약속한 우리들이 아닙니까ㆍ247
4장 새 이름으로 나아가다
부디 저를 그 일에 써주십시오ㆍ257 효옥이 의신이 되었다고 사람이야 달라지겠느냐ㆍ265 아니 보았다면 좋았을 것을……ㆍ271 군신 간의 분의分義부터 바로잡으리라ㆍ277 조선의 충절은 창녕 성씨가 만들었다ㆍ287 아직은 때가 아니니ㆍ295 사람이 사람을 위하여 우는 게 어찌 사랑 때문만이겠습니까ㆍ301 이 칼이 하늘을 대신해 너를 처단한다ㆍ307 귀신을 속일 수 있으면 됩니다ㆍ317 주상의 유명이요, 어명이옵니다ㆍ327 그렇게 또 봄은 지척에 와 있었다ㆍ335
-------------
<출판사 서평>
사람이 사람을 위하여 우는 게 어찌 사랑 때문만이겠습니까
효옥은 훈민정음 창제에 공헌한 집현전 학사 성삼문의 딸이면서 당대 으뜸의 무장 성승의 손녀이기도 했다. 여식으로 태어나 칼과 활에 어린 눈을 반짝이고 바둑으로 수를 겨룰 줄 알며 날카로운 눈과 날랜 손으로 은공예를 다루는가 하면 예의 명민함으로 장사와 사교에까지 능한 인물이다. 문무(文武)에 사농공상(士農工商)을 두루 거치고 양반의 삶부터 노비의 삶까지 겪어내었으니 효옥은 일생으로 조선의 만민, 백성을 대표하고 아우른다 하겠다.
그 효옥의 한편에는 날 적부터 곁을 지켜온 노비 바우가, 또 한편에는 세조의 둘째 아들이자 예종이 된 해양군 황이 있다. 때로는 얽히고설키며 때로는 비껴 흐르는 세 인물의 이야기는 울음만 아니라 웃음으로 꽃피고, 설움뿐 아니라 설렘으로도 빛난다. 묵직한 듯 가뿐하게 이야기를 내달리니, 곡진한 이야기일수록 쉬이 읽히고 기꺼이 들려야 가닿을 수 있음을 알기 때문이다. 사람과 사랑의 생생함은 ‘살아 있어야 살게 할 수 있음을, 꿈꾸어야 꿈꾸게 할 수 있음을’ 말하고자 함일 터다.
이름대로 단단하고 강직한 바우를 통해 효옥의 곧음을 내보인다면, 정인도 원수도 될 수 없음에 세상을 바꿔보겠노라는 예종은 효옥의 진취를 비춘다. 1년 남짓 짧은 재위에 그쳐 역사에서 크게 조명받지 못하였으나 예종의 치세에는 앞서간 개혁 군주의 면모가 있었다. 즉위와 동시에 부패한 공신들이 권력을 전횡하던 분경과 대납을 금지하는 등 시대를 바꾸고 세태를 바로잡으려 가파르게 달려나간 예종이었다.
양반과 노비 사이에서 태어났으나 제 몫으로 제 품으로 한목숨을 오롯이 살아내는 바우, 양반이자 비자도 되어보았기에 선비 노비 없이 다 같은 사람임을 깨친 효옥, 왕족으로 태어났으나 모든 백성의 존귀함을 잊지 않겠노라 다짐하는 예종. 세 인물의 뒤얽히는 관계를 애정과 우정으로 가늠하다보면 만민 만인의 존엄을 새삼 다시 새기게도 된다. 결국 사랑을 빌려 사람을 이야기함이니, “사람이 사람을 위하여 우는 게 어찌 사랑 때문만이겠”는가.
아무도 못 가본 새 길을 우리가 가고 있는 거요
1453년 계유년 음력 10월 10일. 권력과 부귀를 놓고 패와 편이 나뉘었다. 생살부(生殺簿)라는 명단 하나로 삶과 죽음이, 이긴 자와 진 자가 쉬이 갈렸다. 신의를 지키는 자들이 스러졌고 변절한 이들이 권세를 틀어쥐었다. 충신의 기개를 꺾을 수 없어 베어버리니 형장 앞에 뿌려지는 피의 참혹함이 아프도록 생생하였다. 이 참담이 작금이라고 재현될 일 없을 것인가. 그것을 물으러 이야기가 비롯되었고 사라진 효옥과 가려진 예종을 되살리게 하였다.
『효옥』은 전군표의 첫 소설이다. ‘첫’이 무색하도록 진중한 익힘과 탄탄한 갖춤으로 풀어냈다. 실록과 사료를 톺으며 연필로 쓰고 지우기를 거듭한 천여 쪽의 원고가 책으로 엮이기까지 준비에만 여러 해가 걸렸다. 그 세월만큼 살펴 효옥의 일대기로 옮겨내었으니, 이 책은 옛 역사를 빌려 새 시대를 만들고자 하는 꿈이라 하겠다. 꿋꿋한 직시로 옮긴 무참한 역사에 상상력으로 보탠 마디마다 그의 바람이 실렸다. 지켜가고 나아가자는 효옥의 목소리는 곧 옛일, 과거에서 빌려온 금이자 옥이며, 앞날을 위한, 미래를 향한 비원이기도 할 것이다.
양반가에서 태어나 권세가들의 간악으로 아비를 잃고 노비가 된 효옥. 어린 나이에 풍파와 역경으로 내몰렸으나 끝끝내 스스로 일어서 길을 펴는 효옥. “아이이나 아이만은 아닌 아이” 효옥. 매화와 대나무의 기치로 굽힘을 몰랐던 매죽헌(梅竹軒) 성삼문이 남긴 순하고 정한 빛의 보배, 그러나 단단하여 변치 않을 귀한 이름, 효옥(孝玉).
잇속에만 목마른 그릇된 위정자들에게는 신랄함으로, 올바름을 지켜내고자 맞서는 이들에게는 지지와 연대로 가닿을 이야기. 효옥은 곧 풍파 앞에 꺼지지 않는 촛불이요, 는개에도 젖지 않는 송백이요, 혹독한 추위와 겹겹 눈 속에서도 푸른 새싹을 밀어올리는 ‘희망’의 다른 이름 아니려나. 효옥이 동개활로 쏘아올린 화살은 이제 다가올, 마땅히 와야 할 새롭고 옳은 시대를 부르는 효시일 것이다. 그렇게 또 새봄은 지척일 것이다.
낮고 어두운 곳에서, 억눌러두었던 말들이 아름다운 글로 승화되기를 간절히 기도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