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값이 이상해 / 양선례
태풍이 지나자 가을이 성큼 다가왔다. 역대급 태풍이라는 힌남노의 거친 바람을 저 연약한 벼들이 어찌 이겨냈는지 들녘은 풍년을 예고하듯 온통 노란 물결이다.
지난 추석에 차례상에 올리려고 햅쌀을 샀다. 영수증을 확인하고는 깜짝 놀랐다. 철보다 이른 시기이건만 5kg의 쌀 한 봉지가 12,000원이었다. 자장면은 두 그릇, 내가 즐겨먹는 파스타 한 그릇 값도 안 되는 가격이다. 차례를 지내면서 어른 열 명이 먹고도 남을 양의 밥을 했는데도 쌀은 오분의 사 가량이 남았다.
쌀 산업이 벼랑 끝이다. 2021년 산 벼가 창고마다 가득 쌓여 있는데 올해도 풍년이 예상되어 남은 쌀을 어떻게 할 것인지 걱정하는 뉴스를 보았다. 급기야 농민들은 거리로 나왔다. 일부 지역에서는 수확을 1개월여 앞두고 볏논을 농기계로 갈아엎었다. 삭발을 강행하고, 농기계를 앞세우고 시위를 이어간다. 그도 그럴 것이 물가는 폭등하는데 쌀값은 어찌된 일인지 전년보다 무려 24%가 내렸다. 인건비, 기름값, 비료와 농약 값까지 농자재값은 천정부지로 올랐다. 밥상 물가도 뛰었다. 나 역시 마트에 가서 물건을 들었다 놓은 적이 있다. 천 원 남짓이면 살 수 있던 애호박 하나가 3천원이 되었다. 배추 한 포기가 만 원으로 금배추가 되었다. 그러나 쌀값은 45년 만에 최대치로 폭락했다.
나는 농촌에 살지만 농민의 자식은 아니다. 우리 집도 한때는 땅이 있었다. 할머니, 할아버지와 함께 살았던 초등학교 4학년 이전에는 농사를 지었다. 할아버지가 돌아가시자 물을 대기 쉬웠던 위쪽은 큰아버지가, 천수답이라 수확이 넉넉잖던 아래쪽 논은 아버지가 물려받았다. 그런데 어느 해 태풍에 집 한쪽이 무너져서 집을 새로 지어야 했고, 유일한 재산인 논을 팔 수밖에 없었다. 그때부터 농촌에 살지만 땅 한 뙈기 없는 빈민이 되었다.
늦가을이면 옆집 조샌집 처마에는 80kg 벼 가마가 쌓여 천장까지 닿았다. 앞집 백 선생집도 그랬다. 엄마는 새벽부터 밤늦게까지 몸이 부서져라 일했지만 우리 형제 넷을 배불리 먹이지 못했다. 엄마 월급의 반 이상이 쌀값으로 나갔다. 엄마는 정당한 노동의 대가인데도 주인에게 늘 아쉬운 소리를 해야 했다. 한 번도 월급 전부를 받아 본 적이 없었다. 수시로 가불을 했기에 때로는 삼분의 이, 어떤 달에는 반만 받은 적도 있다고 했다. 쌀값은 너무 비쌌고, 별다른 군것질거리가 없어 삼시 세끼에 먹는 밥이 전부였던 우리는 항상 배고팠다.
엄마는 돌아가시기 전까지도 일 년치 쌀을 한꺼번에 들였다. 벌레 생긴다고, 좁은 방이 더 좁아진다고 우리는 질색을 했지만 그래야 행복하다는 엄마 말에 토를 달지 못했다. 아버지 대신 살림을 챙기느라 늘 고단했던 엄마. 쌀독에 남은 쌀을 가늠할 때마다 엄마 속은 얼마나 타 들어갔을까. 작은외삼촌은 가을걷이가 끝나면 경운기에 쌀 80kg을 싣고 왔다. 그 은혜를 우리 형제는 돌아가시기 전까지 기억하고 갚았다.
직원 중 한 명이 농사를 짓는다. 시아버지가 돌아가시자 남에게 임대해 주었다가 올해부터 본인들이 짓는 거다. 몇 년 동안 묵힌 땅이라서 새로 흙을 채우고, 농협에서 모판과 우렁이를 사서 친환경 인증을 받았다. 검사비 63만 원을 포함하여 지금까지 모두 2백만 원이 들었다. 수확기에 콤바인을 빌리려면 또 돈이 든단다. 과연 세 마지기에서 수익이 날까. 힘들게 일하고 오히려 빚만 지게 생긴 판에 어느 젊은이가 농사를 짓겠는가.
우리나라 식량 자급률은 30%에도 미치지 못한다. 유일하게 자급자족하는 것이 바로 쌀이다. 그런데도 농촌의 상황은 날로 어렵다.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보듯이 어느 한 쪽이 문제가 생기면 그 파급 효과는 지구촌 전체에 미친다. 식량이 무기화되는 것도 한순간이다. 저 어른들이 떠나면 이 농촌은 누가 지킬 것인가. 정부는 또 물가 관리의 희생양을 쌀로 삼을 모양이다. 창고마다 작년 쌀이 그득그득 쌓여 있다는데 또 수입한단다. 이래저래 농부의 한숨 소리만 늘어간다.
공기 밥 한 그릇의 원가가 220원이란다. 우리는 하루에 쌀에는 460원, 커피를 사 마시는 데는 600원을 쓴다. 지난 40년 동안 국립대 등록금은 19배, 서울 지하철 기본요금은 17배 올랐는데 비해 쌀은 겨우 세 배가 뛰었을 뿐이다. 식생활의 변화로 쌀 소비량이 예전 같지 않다지만 그래도 이상하다. 그처럼 귀했던 쌀이, 배부르게 먹어보는 게 소원이던 그때로부터 몇십 년이나 지났는데 여전히 그 가격인지 알 수가 없다.
첫댓글 농사는 노동력의 대가로 만들어진 생산품인데 지금은 씨앗, 거름, 농자재, 농기구 모두 남의 손을 빌려서 하다 보니 이익금은 모두 남의 몫이 되어버렸습니다. 그래서 남는 것도 없는 갈수록 퍽퍽한 환경이 되어가나 봅니다.
그런데도 노는 땅 놀릴 수 없어서 농사를 짓는 어른들이 불쌍합니다.
그분들을 위한 특별한 대책이 필요합니다.
농사짓는 것처럼 힘든 일이 없는데 말입니다.
그러게나 말입니다. 이렇게 쌀값을 방치했다간 우리나라도 벼농사짓는 사람이 없어 다국적기업의 먹이가 될 텐데 큰일입니다. 몇 년 전 있었던 요소수 부족사태와 같은 일이 벌어지는 날이 곧 오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러게나 말입니다. 지금과 같은 기후 위기 시대에는 곡식이 무기가 될 날이 멀지 않았는데 말입니다.
잘 모르는 제 눈에도 보이는 일을 왜 국가는 모른 체하는 걸까요?
비료 등 농자재 값은 엄청 올랐는데 쌀값은 많이 떨어지고 있어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그러게요. 선생님!
제가 도시에 살면 이런 데 눈 돌리지 않을 것입니다.
아침저녁으로 벼가 자라고, 농부가 일하는 모습을 옆에서 지켜보니 이런 생각이 들어서 쓴 글이랍니다.
직접 밭농사 지으시니 피부로 더 와 닿지요?
전에 제가 제사에 쓰이는 생선인 병어 한 마리 값이 4만원 일 때 20킬로짜리 쌀 한 포대는 3만 오 천원 이라고 썼던 기억이 납니다.
쌀을 농민의 문제라고 치부해 버린다면 우리의 생명산업은 무너질 겁니다. 선생님께서 상세히 짚어 주시니 되려 울컥해집니다 .
그러게요. 쌀 20킬로와 개 사료 20키로가 거의 같은 가격이랍니다.
이러니 어찌 살까요?
쓰면서 선생님 생각 했답니다.
오늘 오랜만에 뵈어서 반가웠습니다.
좋은 글 자주 올려 주세요. 선생님!
쌀값이 이렇게 싼 줄은 몰랐어요.
희준이가 쌀값도 아닌 쌀금이 떨어져서 걱정이라고 해서 쌀금이라는 말에 막 웃었는데, 울 일이었네요.
오늘도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희준이 이야기 감동이었네요.
이번 주에 출장이 잦아서 글벗님들의 공들여 쓴 글에 답글도 못 달았네요.
고맙습니다.
물가는 올라도 쌀값은 많이 안 오른 것 같아 먹으면서도 내심 안도감과 죄책감이 들었습니다.
대단하세요.
젊은이가 그런 생각하기 힘든데요.
진짜 물가가 너무 많이 올랐어요.
장 보기가 겁납니다.
아버지가 농부인데, 쌀값도 모르고 살았네요. 지금까지 공짜로 받아 먹어서 그런가봐요. 다들 다이어트 한다고 밥부터 줄이니, 쌀 소비는 더 줄어들고, 가격은 더 떨어지고, 자급률은 더 낮아지고 악순환이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