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가위장기 <<<< 가둬먹기 장기 하실분은 클릭하시면 됩니다
(가위는 , 동사 「사이에 둔다(끼운다)」의 연용형이 명사화한 말이다)
2) 각 나라별 가위용어 정리
일본어 >> はさみ (하사미)
미국어 >> scissors (시져스) <shears(쉐어)>>큰 가위 혹은 일반가위들의 총칭한다. 등등>
중국어 >> 剪刀 jiǎndāo(젠다오)
불어(프랑스..) >> ciseaux (시-쥬-)
이탈리아어 >> forbice (훠르비체)
미용젋은이의 시간은 소중합니다 ~
전세계의 가위 용어를 더 조사해서 올려불게요 ^^(주인장 올림)
회원 한 분 이라도 외국에 가시게 된다면 도움이 될거라 믿고~! 더 찾아보는 겁니다
한국 미용인의 경쟁력을 위해 !!!!
3) 가위의 한국지방 용어
kasig , kasige, kasigje, kas g , kasEgi, kasikke, kasik'e, k'asig , k'asige k'akk , k'akk'e
『전남 방언 사전』, 이기갑 외, 1978
가세, 가시개, 가시게, 가세기, 가세끼
『방언 사전』, 김병제, 1980
가외, 가왜, 가웨, 가아, 가우, 가이, 가애, 가에
까새, 가새, 가세, 가쇠, 까새
강애, 강에, 강위, 강아, 강우
가시개, 가시게
『평북 방언 사전』, 김이협, 1981
강애, 강에,
가우
가새 가세
『제주도 방언 연구- 자료편』, 현평효, 1985
k s , k se
『한국방언자료집』, 정신문화연구원, 1987
경기> 가위, 가우, 가새
강원> 가위, 가새, 까새, 깍개, 가우
충북> 가위, 가우, 가새, 가웨, 가이
충남> 가위, 가새
전북> 가위, 가우, 가새, 까새
전남> 가위, 가새, 가시개
경북> 가위, 까위, 가이, 가새, 가왜, 가이개, 가시개, 까시개
경남> 가위, 가이, 가새, 가시개
제주> 까새, 까세
『평안방언연구(자료편)』, 김영배, 1997
가외, 가위, 가왜, 가웨, 가아, 가우, 가이, 가애, 가에
까새, 가새, 가세, 가쇠
강애, 강에, 강위, 강아, 강우
이 방언 자료들을 보면 '割子蓋'가 반영하고 있는 어형에 대한 여러 가지 단서를 얻을 수 있다.
그 중에 가장 눈에 띄는 것이 '-개' 음절을 가진 어형들이다.
이 어형들은 문헌 자료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割子蓋'의 '-蓋[kai]' 음을 설명할 수 있는 단서를
'가위'의 어원을 추정할 수 있는 어휘 자료는『계림유사』에 실려 있는 '剪刀曰割子蓋'이다.
가장 오래된 표기 어형이기도 하려니와 이 어형으로부터 여러 방언 어형으로의 변화를 설명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면 '割子蓋'가 반영하고 있는 12세기 한국어이면서, '가위'의 어원으로 볼 수 있는 어형은 무엇일까?
이 어형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12세기 송나라 시대의 한자음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그러나 그 시대의 한자음을 정확히 안다고 하더라도 이 한자음대로 읽음으로서
이를 그대로 12세기 한국어 '가위'의 어형이라고 단정할 수가 없다.
왜냐하면 당시의 중국어 음운 체계와 한국어 음운 체계에 상당한 괴리가 있기
2) 가위 어원의 변화
이 낱말은 '刀'라는 글자와 대응하고 있지만, 앞 뒤 문맥과 후대의 문헌어들을 고려해 볼 때,
'가위'라는 뜻으로 쓰인 낱말임에 틀림이 없다.
『두시언해』 이후 여러 문헌에서도 '가위'의 다양한 어형들이 나타나 있는데,
지금 표준어로 채택해 쓰고 있는 '가위'라는 어형이 문헌에 맨 처음 나타난 것은 1880년이다.
그러면 논지를 전개하기 전에 문헌에 나타나 있는 '가위'의 어형들을 모두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2) 문헌 자료에 있는 '가위'의 표기 어형
12세기의 표기 어형
割子蓋 : 剪刀曰割子蓋 계림유사(1103)>
15세기 이후 문헌 자료의 표기 어형
까애 : 치운 젯 오싶 곧마다 까애와 자콰로 지힝밑 뵈아다니(寒衣處處催刀尺) 두언 10:39>
까힝 : 까힝 젼(剪) 자회 중:14>, 세젯 형은 까힝오(三哥是剪子) 박통사 상:39>
까애 : 왜구의 난의 까애링 칭고 동국 열7:47>, 까애 일빛 짜링(剪子一百把) 노걸대 하:62>,
치운 젯 오싶 곳마다 까애와 자콰로 지오밑 뵈아다니(寒衣處處催刀尺) 두언 중 10:39>, 까애링 버리혀 계축 216>,
셋재 형은 이 까애오(三哥是剪子) 박통사 중 상:36>, 까애(剪刀) 物譜 蠶績>
가잎 : 가잎(剪子) 역어 하:15>, 가잎(剪子, hasha) 동문 하:17> 가잎(剪子, hasaha) 한청 10:36>
가위 : 가위(剪刀) 한불짜뎐:111> 한영짜뎐:43>, 가위 전(剪) 자전석요 상:11>
15세기 이래의 문헌에 나타나 있는 어형들만으로 그 변화 과정을 추정해 보면 다음과 같다.
k zaj>k aj>kaaj>ka >kaw /kawi. 이 변화 과정은 15세기 이래의 문헌 어형들의 변화는 잘 설명할 수 있으나,
『계림유사』에 수록되어 있는 '割子蓋'의 어형 추정과 다양한 방언 어형들에 이어지는 변화 과정을 설명하기에는 미흡하다. 따라서 '割子蓋'가 반영하고 있는 어형과 그 변화 과정을 추정하기 위해서는 '가위'의 다른 어형들을 고려해 보지 않을 수 없다. '가위'의 다른 어형이란 곧 '가위'의 방언 어형들을 말한다. '가위'의 방언 어형에 대한 조사는 일제 강점 시대부터 이루어졌다. 1945년에 일본인 고노[河野六郞]에 의해 정밀한 조사가 이루어진 이래로 여러 학자들에 의해 전국적으로 또는 지역별로 이루어졌다. 가장 최근의 전국적인 조사 자료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지역별로 조사한 것이 있다.
하니발
첫댓글 저보다 더 전세계 가위용어 아시는분은 아래로 올려주세요~ 아셨죠 ~!! ^^ 저두 더 찾고 공부해서 올려볼게요
회원님들 카페 보시고 좋으시면 주위분들에게 소개해 주세요 ~ ^^
가새는....항상듣고 자랐음...큭.....
오우....가위 하나에 이렇게나 많은 애칭이? ^^ 미처 몰랐었는데! 멋진데요~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