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3월25일 마케팅뉴스클리핑
#0.오늘의 명언 영어 :
Most powerful is he who has himself in his own power.가장 강한 사람은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는 자이다.-세네카(케이모스트컴퍼니제공)
오늘의 유투브 :
🍀 KBS 생로병사의 비밀 300회 특집 뇌를 젊어지게 하는 놀라운 운동의 비밀...뇌가 젊어지면 나타나는 신기하고 놀라운 변화들! | '늙지 않는 뇌' 만드는 법! | 운동화 신은 뇌 | 책읽어주는여자 /소리내어읽다• 조회수 24만회· 2년 전 https://youtu.be/IW7gzJBtKfE?si=n5AkoB1MDNTelT75
#1. 네이버, AI 브리핑 도입…검색부터 쇼핑까지 한눈에
네이버가 27일 ‘AI 브리핑’을 출시한다. 별도 가입 없이 검색창에서 요약 답변을 제공하며, 쇼핑·플레이스·숏폼 등 서비스에 최적화된 형태로 적용된다. 창작자 연결, SME 노출 확대 효과도 기대된다. 올해 다양한 기능과 언어로 확장된다.
#2. 네이버, 카카오T에 광고…‘라이벌’의 이례적 동맹
네이버플러스 스토어가 카카오T 앱에 전면 광고를 게재하며 양대 플랫폼 간 이례적 협업이 이뤄졌다. 타깃층이 겹치는 만큼 광고 효과 극대화를 노린 전략이다. AI 쇼핑 앱인 네이버플러스 스토어는 출시 8일 만에 누적 100만 다운로드를 기록하며 빠르게 성장 중이다.
#3. 구글, AI 비서 '제미나이'에 실시간 화면 인식 기능 추가
구글이 AI 비서 ‘제미나이 라이브’에 실시간 스마트폰 화면 인식 기능을 도입했다. 사용자는 앱이나 이미지 등을 함께 보며 AI와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다. 이 기능은 유료 사용자부터 적용되며, 애플과 아마존 대비 AI 비서 경쟁에서 한발 앞섰다는 평가가 나온다.
#4. 알파세대, 브랜드보다 실용성…“다이소가 나이키보다 좋아요”
알파세대가 브랜드보다 개인 맞춤형 경험을 중시한다는 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KPR 디지털커뮤니케이션연구소에 따르면, 알파세대는 실용성과 개인화된 경험을 중시하며, 다이소와 편의점 같은 실생활 브랜드를 선호한다. 이들은 게임과 AI 기반 콘텐츠 소비에 적극 참여하는 경향을 보인다.
#5. 틱톡, 미국 회사로 전환되나…美 투자자 인수 검토
틱톡 모회사 바이트댄스가 미국 법인 분사를 추진 중이다. 미국 투자자들이 틱톡 미국 사업 지분을 확대하고, 중국 지분은 20% 이하로 축소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오라클은 데이터 보안 역할과 함께 소수 지분을 보유할 예정이다.
#6. 속속 접는 메타버스…AI 열풍에 밀려 퇴장 가속
NHN에듀가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원더버스’를 출시 1년 만에 접는 등 관련 기업들의 철수가 잇따르고 있다. SKT·KT·컴투스·지자체 등도 잇달아 서비스 종료를 발표했다. 수익성 부진이 원인이지만 일부 기업은 콘텐츠 확장 중심의 장기 투자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7. 문화상품권 환전 중단 확산…네이버·페이코 이어 예스24도 중단
문화상품권 환전 중단이 확산 중이다. 네이버페이와 페이코에 이어 예스24도 최근 환전을 중단했다. 문화상품권은 선불업 미등록 상태로, 법적 소비자 보호 장치가 없어 파산 시 환불 불가 위험이 제기되고 있다.
출처: Kmost company Ltd.
www.i-boss.co.kr
온라인마케팅 포털, 아이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