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5월 30일- 연중 제8주간 화요일
제1독서
▥ 집회서의 말씀입니다.
35,1-15
1 율법을 지키는 것이 제물을 많이 바치는 것이고
2 계명에 충실한 것이 구원의 제사를 바치는 것이다.
3 은혜를 갚는 것이 고운 곡식 제물을 바치는 것이고
4 자선을 베푸는 것이 찬미의 제사를 바치는 것이다.
5 악을 멀리하는 것이 주님을 기쁘게 해 드리는 것이고
불의를 멀리하는 것이 속죄하는 것이다.
6 주님 앞에 빈손으로 나타나지 마라.
7 사실 이 모든 것은 계명에 따른 것이다.
8 의로운 이의 제물은 제단을 기름지게 하고
그 향기가 지극히 높으신 분께 올라간다.
9 의로운 사람의 제사는 받아들여지고 그 기억은 잊히지 않으리라.
10 기꺼운 마음으로 주님께 영광을 드리고
네 손의 첫 열매를 바치는 데에 인색하지 마라.
11 제물을 바칠 때는 언제나 즐거운 얼굴을 하고
십일조를 기쁘게 봉헌하여라.
12 지극히 높으신 분께서 네게 주신 대로 바치고
기꺼운 마음으로 능력껏 바쳐라.
13 주님께서는 갚아 주시는 분이시기에 일곱 배로 너에게 갚아 주시리라.
14 그분에게 뇌물을 바치지 마라. 받아 주지 않으신다.
15 불의한 제사에 기대를 갖지 마라.
주님께서는 심판자이시고 차별 대우를 하지 않으신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하느님, 감사합니다.
복음 
✠ 마르코가 전한 거룩한 복음입니다.
10,28-31
28 그때에 베드로가 나서서 예수님께 말하였다.
“보시다시피 저희는 모든 것을 버리고 스승님을 따랐습니다.”
29 예수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말한다.
누구든지 나 때문에, 또 복음 때문에 집이나 형제나 자매,
어머니나 아버지, 자녀나 토지를 버린 사람은
30 현세에서 박해도 받겠지만
집과 형제와 자매와 어머니와 자녀와 토지를 백 배나 받을 것이고,
내세에서는 영원한 생명을 받을 것이다.
31 그런데 첫째가 꼴찌 되고 꼴찌가 첫째 되는 이들이 많을 것이다.”
주님의 말씀입니다.
◎ 그리스도님, 찬미합니다.
오늘의 묵상
부자 청년이 재산을 포기하지 못하여 주님을 떠나가자, 베드로가 주님께 말합니다. “저희는 모든 것을 버리고 스승님을 따랐습니다.” 주님께서는 제자들에게 보상을 약속하시며, 현세에서는 그들이 버린 집과 가족과 토지의 “백 배”를, 내세에서는 “영원한 생명”을 주시겠다고 하십니다.
사실 “백 배”라는 수치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루카 복음서의 병행 구절은 “여러 곱절”(루카 18,30)을, 오늘 제1독서는 “일곱 배”의 보상을 말합니다. 백 배(완전 수 10의 제곱수)든 일곱 배(완전 수 7)든 주님의 보상은 선하고 완전합니다. 신약 성경에서 “백 배”라는 표현은, 좋은 땅에 떨어진 씨앗이 맺는 “백 배”의 열매(마태 13,8.23; 마르 4,8.20; 루카 8,8 참조)와, 주님을 위하여 가족과 재산을 포기한 이에게 주시는 “백 배”의 보상(마태 19,29; 마르 10,30 참조)을 말할 때만 쓰입니다. “백 배”는 하느님 나라와 관련된 종말론적 개념으로, 현세의 모든 것을 넘어서는 기쁨, 곧 이 세상에 살면서도 이미 하느님 나라의 생명과 축복을 누리는 충만함을 나타냅니다. 주님께서 말씀하신 보상 목록에서 “아버지”가 빠진 것은, 주님을 따르고자 세상 것을 희생하는 사람은 이미 “아버지”의 충만한 은총 속에서 살기 때문입니다.
제1독서에는 “제물”, “제사”, “바치다” 같은 낱말이 두드러지게 많이 나옵니다. 주님과 복음을 위하여 무엇을 ‘버린다’는 것은 하느님께 ‘봉헌한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끊어 버림으로써 그치지 않고, 부모 형제와 재화를 하느님께 기쁘게 봉헌하며 따르는 주님의 제자가 됩시다.
(강수원 베드로 신부)
- 출처, 매일 미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