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안녕하세요 여러분
건강의 청신호를 밝혀드리는
라이프 케어 기업 KKSMS 입니다!
오늘은 무산소운동과 유산소운동이
단순히 숨을 쉬면서 하는 운동이다.
숨이 필요하지 않은 운동이다. 정도의 차이가 아닌
세부적으로 개념 과정 효과 차이까지 알아보는 시간을 통해 여러분들이하는 운동에 더 재미를 붙일 수 있도록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어떤 운동이든지 운동을 시작한 후 오랜 시간(약 5분)이 되면 산소 요구량과 공급량이 거의 일치하게 되는데, 이 때 충분한 산소가 공급되면서 산소를 사용해 에너지원을 발생하는 운동을 유산소 운동이라고 합니다. (산소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운동)
유산소운동의 경우, 초기 몇 분간은 근육 내에 저장된소량의 ATP와 CRP, 또 글리코겐을 이용해 에너지를 얻고 그 후에는 혈중 글루코스를 이용하여 에너지를 많이 내게 되고, 지속적인 운동을 계속하게 되면 소비 열량에서 지방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높아져서 운동 시작 후 30분 정도가 지나면 사용하는 에너지원의 대부분은 지방이 되게 됩니다.
그래서 한번의 운동을 했을 때 30분 이상을 해야지
효과가 있다고 하는 이유가 이 이유 때문입니다.
자전거 운동을 한다고 했을 때는 허벅지를 사용한다고 해서하체에 축적된 지방만이 쓰이는 것이 아니라온몸의 지방 조직에서 유리지방산이 녹아 나와서혈액을 타고 운동하는 근육에 가서 에너지원으로 쓰이게 됩니다.
단백질은 우리가 생각과는 달리 극단적인 상황이 아니라면 거의 에너지원으로 사용 되지 않습니다
산소 소비량이 안전 상태에 도달하게 되면 (2~3분내) 운동에 필요한 모든 에너지가 충분히 공급되며
운동이 끝날 무렵에 피로는 혈액 내 젖산 함량에서
오는 것이 아니라 간의 클리코겐 저장량의 고갈로 인한 혈당량 감소와 수분과 전해질 손실로 인한 체온 상승 힘듦으로 인한 심적반응에서 나오게 되는 겁니다.
1. 산소운반능력 증가
- 심장의 좌심실 확장으로 인한 혈액 방출량 증가
- 혈액량과 헤모글로빈 증가
2. 비활동 근육으로 부터의 활동 근육으로의 혈액 재분배 능력
3. 일정한 운동 속도를 유지하는데 필요에너지 감소
4. 호르몬의 민감도 증가
운동 강도: 심박수 120~140회/분
(조금 숨이 찰 정도이며 옆 사람과 대화 가능한 수준)
휴식 시간: 운동 후 맥박수가 약 90회/분이 될 때 까지
운동 시간: 30~40분
운동 빈도: 건강 유지는 주 3회, 살을 빼기 위해서는 주 5~6회
운동 기간: 6개월 이상 지속
1) 무산소 운동의 개념
유산소 운동과는 반대로 근육에 저장되어 있는
글리코겐을 에너지로 사용하며 단시간에 큰 힘을 내는 운동을 말 합니다.
2) 무산소 운동의 과정
무산소 에너지가 관여되는 큰 운동에너지 대사의 특징은운동 지속시간과 운동 강도와 상반 되는 관계를 나타냅니다.즉, 운동시간이 짧으면 짧을 수록 무산소적 에너지의동원이 많아지고 무산소성 운동 작용의 촉진은급격한 젖산의 축적을 수반하게 됩니다.
이런 작용에 필요한 글루코스를 공급하기 위해서
글리코겐이 이용될 때, 근유과 혈액 내의 젖산 축적이 되고최고 수준에 이르게 됩니다.
젖산 함량이 높아지면 근 수축이 방해를 받게 되며,
글리코겐 저장량이 고갈된다는 것은 근수축에 필요한연료가 떨어졌음을 의미합니다.
3) 무산소 운동의 효과
1. 산소 운반 조직에 약간의 효과
- 심실의벽이 두꺼워짐
(혈압 상승 후 일어나는 부하 때문)
2 무산소 운동에 사용되는 손근섬유의 근 비대 효과 근원섬유의 수와 굵기가 증대
4) 무산소 운동의 원칙
운동 강도: 최대 운동능력의 백분율에 따라 정하는게 일반적
휴식 시간: Set 사이에 완전 휴식을 취해줍니다.
운동 시간: 시간이나 세트수로 운동량을 결정합니다.
운동 빈도: 건강 유지는 주 3회, 살을 빼기 위해서는 주 5~6회
운동 기간: 6개월 이상 지속
첫댓글 유산소 무산소 운동을 병행 해야 하는데 쉽지가 않네요 게을러서리~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