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상방법(출처 : 보건복지부 e하늘장사정보)
1. 문상절차
(1) 상가(빈소)에 도착하면 문 밖에서 외투나 모자 등을 미리 벗어둔다
(2) 상주에게 가볍게 목례를 하고 영정 앞에 무릎을 꿇고 앉는다
(3) 분향 및 헌화 방법은 오른손으로 집고 이 때 왼손으로 오른 손목을 받친다
- 선향(線稥, 막대 향)일 경우
하나 또는 둘을 집어 촛불에 붙을 붙인 다음 손가락으로 가만히 잡아서 끄든지 왼손으로 가볍게 흔들어 끄고
절대 입으로 불면 안 된다.
다음으로 두 손으로 공손히 향로에 꽂는데 선향은 하나로 충분하나 여러 개일 경우 반드시 하나씩 꽂아야 한다
- 헌화를 할 때는
오른손으로 꽃줄기 하단을 가볍게 잡고 왼손 바닥으로 오른손을 받쳐 들어 두 손으로 공손히 꽃 봉우리가 영정
쪽으로 향하게 하여 재단위에 헌화 한 뒤 잠깐 묵념 및 기도를 한다
영좌 앞에 일어서서 잠깐 묵념 또는 두번 절한다
(4) 영좌에서 물러나 상주와 맞절을 한다. 종교에 따라 절을 하지 않는 경우는 정중히 고개를 숙여 예를 표해도 된다
(5) 평소 안면이 있는 경우라면 상주에게 문상 인사말을 건네는데 이때는 낮은 목소리로 짧게 위로의 말을 하되
고인과 관련된 질문을 많이 하는 것이 좋지 않다
(6) 문상이 끝나고 물러나올 때에는 두세 걸음 뒤로 물러난 뒤,몸을 돌려 나오는 것이 예의이다.
2. 문상시기
(1) 가까운 친척 친지 가운데서 상을 당했다는 연락이오면
- 상가에 가면 우선 상제들을 위호하고 장의 절차, 예산 관계 등을 의논한다.
- 할 일을 서로 분담하여 책임 있게 수행해 줘야 한다.
- 내용을 잘 모르면서 여러 가지로 참견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못하다.
-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복장을 바르게 하고 영위에 문상 한다.
- 상주에게 정중한 태도로 예절을 잊지 않도록 해야 한다.
- 상을 당한 직후에는 문상객을 맞을 준비가 안 되어 있기 때문에 즉시 달려가서 도와주어야 하는 경우가
아닌 사람은 상가에서 성복이 끝나기를 기다린다.
- 스스럼없는 사이라면 엽습이나 입관을 마친 뒤에도 괜찮다.
- 현대에는 별로 괘념치 않고 돌아가닌 직수 문상 하여도 무방하다.
(2) 지인 또는 친구, 동료 가운데서 상을 당했다는 연락이오면
- 현대에는 3일장이 대부분이므로 상가(빈소)가 차려진 이후부터 발인전 적정한 시기에 문상한다.
- 사정의 여의치 않아 직접 문상하지 못하는 경우 근조환을 보내는 것으로 대신하는 경우도 있다
3. 문상예절
(1) 문상객의 옷차림
- 예전에 우리 조상들은 평상복이 한복이었던 관계로 흰옷을 입고 가는 것이 예의였으나. 현대에 이르러서는
양복을 입는 관계로 문상객의 복장도 변모하게 되었다.
- 기본적으로 화려한 색상의 의복이나 장식은 피하며, 가능한 무채색(검정색) 계통의 단정한 옷차림이 무난하다.
(2) 절하는 법
1) 절의 의미
- 절이란 몸을 굽혀 공경(恭敬)을 표시하는 인사방법으로 인간이 살아가는데 있어서 지켜야할 많은 예절
가운데서도 상대편에 대한 공경과 반가움을 나타내는 가장 기본적인 행동예절이다
- 절은 윗 사람을 공경하고 아랫사람을 공경하는 예로써 행하여 지며, 공경해야 할 대상을 상징하는 표상이나
의식행사에서도 한다.
2) 공수법(供手)
- 두 손을 모아 앞으로 잡는 것을 공수라 하는데 이는 공손한 자세를 나타내며, 모든 행동의 시작이다.
- 공손한 자세는 어른에게는 공손한 인상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하고, 공손한 자세를 취하는 사람에게도 편안한
자세가 되어야 한다.
- 공수는 두 손을 앞으로 모아서 잡는 것을 말한다
- 공수는 남자와 여자의 손위치가 다르다
- 공수는 평상시와 흉사시가 다르다
- 공수는 의식행사에 참석했을 때나 어른을 뵐 때 반드시 한다.
- 공수는 배례(拝禮, 절)의 기본동작(基本銅作)이다.
- 평상시는 공수시 남자는 왼손을 위로 하고 여자는 오론손을 위로하여 두 손을 가지런이 모아서 포갠다.
흉사때는 남녀 모두 평상시와 반대로 한다
(3) 문상 할 때의 인사말
- 문상 할 때에는 고인에게 재배하고 상주에게 절한 후 아무 말도 하지 않고 물러나오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통적인
예의이다.
- 상을 당한 사람을 가장 극진히 위로해야 할 자리이지만 그 어떤 말도 상을 당한 사람에게는 위로가 될 수 없다는
뜻이며, 오히려 아무 말도 하지 않는 것이 더 깊은 조의를 표하는 것이다.
- 마찬가지로 문상을 받은 상주 역시 말을 하지 않는 것을 모범으로 여기며, 더욱이 상주는 죄인이므로 말을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 전통적인 관습이다.
- 실제 문상의 말은 문상객과 상주의 나이, 평소의 친소 관계 등,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건네는 것이 합리적이다.
- 격식이나 형식을 차린 표현보다 따뜻하고 진지한 위로 한마디를 미리 문상 전에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상주도 ‘고맙습니다.’ 뭐라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등으로 문상에 대한 감사를 표한다
(4) 문상시 삼가야 할 일
- 유가족을 붙잡고 계속해서 말을 시키는 것은 실례가 된다.
- 상주, 상제에게 악수를 청하는 행동은 삼가야 한다.
- 상주가 어리다 하여 반말이나 예의 없는 행동을 해서는 안된다
-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큰 소리로 이름을 부르지 말아야 한다.
- 낮은 목소리로 조심스럽게 말하고 문상이 끝난 뒤 밖에서 따로 이야기 하도록 한다.
- 고인의 사망 원인, 경위 등을 유가족에게 상세하게 묻는 것 또한 실례가 된다.
- 집안 품습이나 종교가 다른 경우라도 상가의 가품에 따라 주는 것이 예의다
- 망인이 연만(年晩) 하여 돌아가셨을 때 호상이라 하여 웃고 떠드는 일이 있으나 이는 예의가 아니다.
- 과도한 음주, 도박 등으로 인한 소란한 행위나 고성방가는 삼가야 한다.
4. 문상접대예절
(1) 자택
- 상중에는 출입객이 많으므로 방이나 거실의 작은 세간을 치워, 되도록 넓은 공간을 사용 할 수 있도록 조치한다.
- 벽에 걸린 화려한 그림이나 장식들을 테어내다.
- 신발장 정리하여 조객들이 신발을 넣고 뺄 수 있도록 한다.
- 겨울에는 현관에 외투걸이를 준비한다.
(2) 상조회 또는 장례식장 이용
- 장례진행상담 과 상품 구성 절차에 따라, 지역별.종교별.가풍별 장례진행 방법 및 접대 음식의 종류 등
문상객 접대에 대해 상세히 안내 하므로 이에 따르면 된다.
(3) 장례 후 답례 인사
- 장례 후에 인사 치르는 것은 장례가 끝난 수일 내에 해야 한다.
- 도와준 사람들과 밤샘을 해준 친지들에게 감사의 자리를 마련하는 것도 좋다.
- 부의록에 기록된 문상객 들에게는 찾아가서나 빠짐없이 인사를 해야 하는데, 일일이 찾아가거나 전화를 할
형편이 아닐 때에는 감사 인사장을 보내거나 신문에 내는 것이 예의이다.
- 인사장의 양식은 따로 없지만 감사의 뜻이 담긴 정중한 표현으로 쓰고, 엽서크기의 종이에 인쇄하여 발송한다.
* 인사장 예시
삼가 아뢰옵니다.
지난번 아버님(또는 어머님 등)의 상을 당하였을 때 바쁘신 중에도 장례에 참석하여 따뜻한 위로의
말씀을 해주셔서 감사한 마음 금할 길이 없사옵니다. 황망한 가운데 우선 글로써 인사를 대신하려 합니다.
00년 00월 00일
000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