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화순운주사 대웅전앞다층석탑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80호
▲운주사를 도착해서 들어가는 길에 저녁 햇살을 받은 석불..
▲이른 아침 공양을 마치고 나와보니 늦 가을 단풍과 햇살이 참 아름답다.
▲오른쪽- 화순운주사광배석불좌상 전라남도 유형문화재 제274호
▲화순 운주사구층석탑 보물 제796호
운주사로 들어가는 남쪽 골짜기의 첫 입구에 세워져 있는 탑으로 네 모서리마다
기둥모양을 새긴 후 다시 면 가운데에 기둥모양을 굵게 새겨 면을 둘로 나누었다.
고려시대의 일반적인 탑들과 같이 탑의 면이 사각형 모양으로 지붕돌 밑면에 받침을
생략한 모습이나 각 면에 새긴 장식이 일반형에서 벗어난 모습들은 보기드물다.
이는 지방적인 색채가 뚜렷했던 고려시대의 특징을 잘 나타낸 것이다.
또한 운주사의 여러 탑 가운데 화순 운주사 구층석탑은 높이가 가장 높은 탑이다.
▲화순운주사칠층석탑 전남유형문화재 제276호
▲화순운주사쌍교차문칠층석탑 전남유형문화재 제277호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보물 제 797호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옆모습
가운데를 중심으로 좌우로 각기 부처님이 모셔져 있다.
불감이란 불상을 모시기 위해 만든 집이나 방을 뜻하는 것으로 일반적인 건축물보다는 크기가 작다.
운주사 석조불감은 건물 밖에 만들어진 감실의 대표적 예로서 감실은
직사각형 모양으로 양쪽 벽을 판돌로 하였고 앞뒤를 통하게 하였다.
그 위는 목조 건축의 모양을 본떠 옆에서 보아 팔작 지붕처럼 다듬은 돌을 얹어놓았다.
감실 안에는 2구의 불상이 모셔져 있는데 등이 서로 맞붙은 모습으로 흔히 볼 수 없는 예이다.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처럼 거대한 석조불감을 만든 유례를 우리나라에서는
찾아볼 수 없고 등을 서로 맞댄 감실 안의 두 불상 역시 특이한 형태이다.
▲운주사원형다층석탑 보물 제798호
화순 운주사 석조불감 앞에 자리잡은 원형다층석탑은 탑의 구성이나
전체적인 형태에서 일반적인 석탑의 형태를 따르지 않은 특이한 모양의 석탑으로
고려 석탑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다.
▲커피 한잔 마시며 이야기를 나누던 친절하신 아주머니^^
운주사에서 큰길로 나오면 버스 정류장이 있는데
218번 버스는 50분~1시간 간격으로 화순과 능주를 경유하여
광주광천터미널로 오가는 버스가 19대 운행하며,
318번 도곡온천을 경유하여 오가는 버스는 하루에 5대로 3시간 간격으로
드물게 있으니 광주에서 대중교통을 이용할때는 왕복 시간대를 확인 하고 출발하는 것이 좋다.
광주역062.514.7788, 528.9466 화순역061.374.7788
광주고속버스터미널062.360.8114
입장료 개인 : 대인 3,000원, 초.중.고 2,000원, 어린이(6,7세)1,000원
단체(30명 이상) : 대인 2,500원, 초.중.고 1,500원 어린이(6,7세) 800원
주차료 없음
운주사 관리사무소 : 061.374.0548
화순 운주사 : 전남 화순군 도암면 대초리 20
첫댓글 천불천탑의 운주사
참으로 멋진곳입니다.
우와 1박2일 여정이었군요^^
화순의 운주사...첨 들어보는데...참 멋지네요...
아름다운 보물의 모습도 잘 보았습니다.
운주사... 참으로 멋진 곳입니다.~ 둘러 보려면 한참 걸리겠는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