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개구리 문고 17]
난 바보 아니야
지은이 김은희 / 그린이 이지연
판형 신국판(153*225) / 쪽수 166쪽 / 값 9,800원
출간일 2014년 9월 15일 / ISBN 978-89-97335-37-4 (73810) / 대상 초등학교 중학년 (3학년 이상)
평범한 아이들이 펼쳐 보이는 진솔한 이야기
김은희 동화작가는 전주교육대학원을 졸업하고 학교에서 오랜 기간 아이들과 함께 엎치락뒤치락하며 지냈다. 평생 아이들만 바라보고 살아온 셈이다. 어려움 속에서 크는 아이들도 가까이에서 지켜보아야만 했고, 혼자만의 성장통을 이겨내야 하는 아이 옆에서도 묵묵히 등을 토닥여주어야 했다. 모두가 김은희 작가에게는 소중한 아이들이었다. 아이들에 대한 마음이 깊어질수록 작품이 한 편 한 편 쌓여갔고, 그것들을 모아 『난 바보 아냐』(1995년)를 펴냈다.
이번에 청개구리 출판사는 기존의 작품을 요즘 아이들의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난 바보 아니야』로 새롭게 재출간하게 되었다. 무려 10년도 더 지난 작품을 다듬어 다시 출간하는 이유는 분명하다. 지금 이 시점에서 아이들에게 가장 필요한 작품들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고(故) 김녹촌 선생은 이 작품들에 대해 이렇게 평한 바 있다.
“놀라운 것은 그늘진 곳의 어린이들을 다루면서도, 아이들이 좌절함 없이 별을 보며 내일의 희망을 찾아, 바르고 굳건하게 살아가는 모습으로 그려냈다는 점이다. 특히 어머니 없는 아이들의 생활 모습을 실감나게 그리면서도, 여성 작가답게 장면마다 따뜻한 모성애가 흐르고 있어 흐뭇했다.” (「동화집을 권하면서」)
어른들은 아이들이 살아갈 사회에 그늘을 드리우고, 아이들을 지켜주어야 할 책무를 다하지 못한 자신들의 잘못은 인지하지 못하고, 비뚤어지는 아이들을 책망하기 바쁘다. 그러니 아이들도 어른들을 온전히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가 없다. 이런 악순환은 어른과 아이, 부모와 자녀, 선생과 학생의 관계의 골을 깊게 만든다. 그러나 김은희 동화작가의 작품에서는 서로가 서로를 믿어주고 이해하며 기다려준다. 작품에서 갈등이 전혀 없다는 말이 아니다. 하지만 갈등의 끝에 아이들은 어른을 믿어주고, 어른들은 아이의 기대를 저 버리지 않는다. 아이들은 다시 별을 보며 꿈꾸어야 할 권리를 충분히 누릴 수 있게 된다.
놀라운 것은 그 과정이 전혀 작위적이거나 어색하지 않게 다가온다는 점이다. 그것은 작가가 날카로우면서도 따뜻한 시선으로 오랜 시간 동안 아이들이 처한 현실을 바라본 데서 획득한 리얼리티 덕분이다. 작품에 나오는 인물들의 말 한마디 한마디가 살아 있고, 이러한 점 덕분에 생동감 있고 현실적인 인물이 탄생한다. 「돌아온 누렁이」에서 자신들을 불편하게 만드는 누렁이를 주인인 복코 할아버지 몰래 팔아 버리는 아이들의 솔직하고 즉흥적인 태도는 우리 주변에서 본 아이들과 거리감이 전혀 없다. 아빠는 사랑하지만 남의 머리카락을 잘라주고 등허리를 털어 주는 이발사 아빠는 싫다고 하는 진호(「아빠와 풍선」), 아빠가 죽은 줄도 모르고 집을 제대로 못 찾아올까봐 대문 색을 바꾸지 못하게 하는 선이(「색칠 못 한 대문」), 늦은 밤 혼자서 집을 지키면서 일찍 오지 않는 아빠를 원망하다가도 막상 아빠가 돌아오니 누구보다 반가워하는 아이(「늦은 밤, 아이 혼자서」) 역시 마찬가지다.
김병규 동화작가는 추천의 말에서 “이 동화는 한마디로 보통 아이들의 이야기다. 송희야, 영기야 하고 부르면 어느 골목에서나 뛰어나올 그런 아이들이 주인공으로 나온다. 좀 못살거나, 가끔 말썽을 부리거나, 정에 굶주린 아이들이지만 한결같이 심지가 올곧고, 서로 인정의 끈을 마주 잡고 살아가는 진솔한 삶을 보여주고 있다.”고 말했다. 그 어떤 고난이 닥쳐와 넘어뜨려도 잠시 아파하다가 툭툭 털고 다시 일어나는 아이가 바로 김은희 동화작가의 주된 주인공인 셈이다.
요즘 아이들은 이렇게 바르고 인내심이 있을 리 없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작가가 섬세한 눈으로 바라본 아이들의 세계는 어른들이 생각하는 것만큼 어리석거나, 이기적이지 않다. 도리어 어두운 현실에서 밝게 빛나는 별을 올려다볼 줄 안다. 「혼자서 자라는 것은 아니야」의 광수가 바로 그런 인물이다. 광수는 엄마는 집을 나가 돌아오지 않고, 텅 빈 집을 혼자 쓸쓸히 지켜야 한다. 공부를 잘하지 못하지만 선생님은 좋아하는 광수는 캄캄한 저녁이면 학교 운동장에 가서 하늘을 올려다본다. “선생님이 하늘에는 사람마다 자기의 별이 있어 슬퍼하면 그 별도 함께 슬퍼하고, 기쁘면 별도 따라 기뻐한다고 이야기해 주었습니다. 그러니 늘 아름다운 생각을 하고 바르게 행동하여 자기의 별을 예쁘게 가꾸라고 했습니다.”라는 문장처럼, 광수는 힘든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별을 찾고, 그 별이 빛을 잃지 않도록 씩씩하게 하루하루 살아간다. 누가 이 아이를 얕볼 수 있을까? 광수 같은 아이들이 별을 올려다보며 꾸는 꿈들로 인해, 세상이 더욱 희망차고 밝아질 거라는 걸 우리는 『난 바보 아니야』를 통해 느낄 수 있다. 별을 보며 꾼 꿈은, 별을 꼭 닮았기 때문이다.
차례
돌아온 누렁이
난 바보 아니야
떠나 버린 할아버지
아빠와 풍선
이젠 안 넘어질 거야
우리 동네 이장님
아기부처와 천사
너희들은 천사란다
색칠 못 한 대문
겨울 밤, 아이 혼자서
소에게도 생각이 있단다
혼자서 자라는 것은 아니야
본문 중에서
언젠가 선생님이 하늘에는 사람마다 별이 있어, 내가 아플 때는 그 별도 빛을 잃어 흐려지고 기분이 좋을 때는 내 별도 기분이 좋아 더욱 반짝인다고 했습니다.
내 별이 어느 것인지 찾아보고 싶었습니다.
정글짐 꼭대기에 올라가면 더 쉽게 찾을 수 있을 것 같았습니다. 겨우겨우 올라서니 정말 기분이 좋았습니다.
‘내 별은 어느 것일까? 내 별은 어느 한쪽이 짧을 거야.’
그래서 내 다리 한쪽이 짧은 것이라 여겨졌습니다.
‘여울이 별은 어느 것일까?’
여울이는 천사처럼 착하니까, 여울이 별은 세상에서 제일 예쁠 것입니다.
--「이젠 안 넘어질 거야」에서
쉬는 시간에 밖으로 나가 보니 석이가 보이지 않았습니다. 운동장, 화장실, 여기저기를 샅샅이 찾아보아도 없었습니다. (…)
마음이 조마조마했습니다. 쉬지 않고 집으로 달려와 대문을 열고 들어서니 녀석이 마루 위에 엎드려 잠이 들어 있었습니다.
한 대 때려 주고 싶었지만 집을 찾아온 것이 참 다행이었습니다. 늘 엄마와 떨어져 혼자 놀며, 오후에는 대문 앞 골목길에 나와서 나를 기다려 주는 석이가 안쓰러웠습니다.
‘앞으로 잘 데리고 놀아야지.’
머리를 쓰다듬어 주는데 석이가 동그란 눈을 살며시 떴습니다.
“형아! 내일은 학교 안 따라갈게. 끝나면 빨랑 와서 같이 총쌈 놀이 하자.”
“그래.”
‘나도 석이를 돌보아 줄 수 있는 형이구나.’
엄마가 많이 보고 싶지만, 꾸욱 참기로 했습니다.
--「혼자서 자라는 것은 아니야」에서
작가의 말
동화는 어린이만 읽는 것이 아니라 봅니다. 나이 든 어른들도 될 수 있으면 동화나 동시를 많이 읽어서 깨끗하고 밝은 마음과 소박한 꿈을 잃지 않고 살아가며, 어린이들처럼 순수했으면 하는 생각입니다. 다시 엮는 이 이야기들이 한 번 읽고 던져 버리는 이야기가 아닌, 가끔씩 꺼내 보고 그때마다 가슴이 따뜻해지는 이야기였으면 좋겠습니다.
--김은희
작가 소개
지은이_김은희
김은희 선생님은 강원도 원주에서 출생하였으며, 전주교대와 한국방송통신대를 졸업했습니다. 『아동문예』에 동화가 추천되어 등단했으며, 40여 년 동안 초등교사, 교감, 장학사를 거쳐 지금은 풍천초등학교 교장으로 아이들의 꿈을 키워 주고 있습니다.
1993년 창작 단편동화 「난 바보 아냐」가 대교출판 선정 ‘우수창작동화20’에 뽑혔고, 같은 이름의 창작동화집이 1995년 지식산업사에서 초판 발행되었습니다. 『난 바보 아냐』는 1996년에 한국아동문학인협회 선정 ‘10대 우수창작동화집’, 한국 출판협회선정 초등학교 중학년 필독도서와 경기도립도서관 문화학교 독서치료교재로 선정되었습니다.
그린이_이지연
성신여자대학교와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시각디자인을 공부했습니다. 어른과 어린이를 위한 그림을 그리고 있으며 그린 책으로는 『꿈꾸는 바이올린』 『흰 건반 위 우정』 『검은 건반 위 행복』 『라푼첼』 『꿈을 나르는 가방』 『우정의 조건』 『입 안이 근질근질』 『넌 내 짝이야』 『오줌 싸서 미안해요, 할머니』 등이 있습니다.
첫댓글 출간 축하드립니다~.
선생님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출간을 축하드립니다. 널리 여러 현장에 강추하도록 할께요.
발간을 축하드립니다!
김은희 선생님, 출간을 축하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