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교부 “외교質 낮추고 낙하산 줄이을것”
현재 외교부의 재외공관은 대사관 95개, 총영사관 30개, 대표부 4개 등 총 129개. 이 중 외부인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약 12%다. 윤성식(尹聖植)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은 “우리 외교력 향상을 위해 궁극적으로는 모든 재외공관장을 개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일단 30%의 재외공관장을 외부인사로 수혈해야 한다는 주장을 오래전부터 펴왔다. 이미 이 같은 방안은 지난달 노 대통령에게 보고된 상태다.
윤 위원장은 그동안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영국 같은 곳에는 금융전문가를 대사로 보내는 경우도 있는 만큼 외부인사들의 전문성을 살려 재외공관장을 임명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해왔다. 또 지난 8월 외교부 혁신 워크숍에서 “다른 부처 공무원들이 외교부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여론 조사를 해 보라”고 권유할 정도로 외교부 조직에 대해 부정적이다. 윤 위원장은 열린우리당이 외교통상부 정원 500명 증원이 필요하다는 보고서를 발표한 데 대해서도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반기문(潘基文) 외교부 장관은 이 혁신안이 오히려 외교의 질을 낮추는 것은 물론, 외교관들의 사기에 악영향을 끼친다며 이를 저지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외교부 고위 관계자는 “사실상 미국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나라들은 직업외교관들이 대사를 맡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외교의 질적인 향상을 위해 외부인사 영입은 언제든지 환영하지만, 일률적으로 대사직 30% 개방 법제화에 찬성할 수 없다”고 말했다. 외교부의 다른 당국자는 “윤 위원장이 외교부 조직을 전혀 이해하지 못한 상태에서 외교부 조직을 망치는 안을 내놓았다”고 말하기도 한다. 외교부에서는 재외공관장의 30%를 외부인사에게 할당할 경우, 경제부처 산하의 공기업처럼 낙하산 인사가 대거 대사직에 발탁될 수 있다는 논리를 내세우고 있다.
그러나 혁신위는 30% 재외공관장 개방이 외교부 개혁은 물론, 정부 개혁의 상징으로 보고 물러설 수 없다는 입장을 갖고 있으며 노 대통령도 여기에 손을 들어주는 듯한 인상이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노 대통령은 외교부의 업무 특성상 차관, 차관보를 여러 명으로 하자는 외교부 입장을 받아들이되, 어느 정도는 대사직을 개방, 경쟁을 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해,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