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희 화풍
안견을 이해하기 위해서 중국의 산수화가 곽희를 알아보자.
중국 회화사에서 산수화가 나타나는 초기에 이성과 곽희가 그린 그림이 하나의 유파를 만들었다. 이를 이곽화파, 또는 곽희파라고 한다.
중국 회화사에서 당나라까지는 인물화가 중심이었다. 그러나 위진남북조 시대에 세상이 혼란에 휩싸이자 사대부들이 산촌에 은거하여 청담을 일삼고, 산수시를 지으면서 보냈다.(도연명의 귀거래사도 이때 나온다.) 다시 당을 지나고, 당-송 교체기를(907-960) 오대 시대라 하여 16국이 일어났다 물거품처럼 사라지고 하였다.
다시 문인 사대부들은 혼란한 세상을 피하여 은거 생활을 하였다. 은거한 산촌의 산수를 그림으로 옮기면서 산수화가 나타난다. 자신의ㅣ 주변 산수를 그리다 보니, 북방 지역의 산은 높고, 바위산이 많으면 산세가 거칠고 웅장하다. 그들이 그린 산수화에는 이런 산수가 그대로 그려졌다. 중국 회화사에서는 북방 지역에 사는 화가들이 그린 북방의 산야라 하여, 이를 ‘북방 산수화’라 하였다.
북방 산수화의 문을 연 화가는 형호-관동이고, 이성도 그 중의 한 사람이다. 이후 범관, 연문귀와 북송의 화원의 대조를 한 곽희가 잇는다. 곽희가 그린 대표 그림이 조춘도이다. 거친 산수의 표현은 북방 산수화의 계보이다.
특히 곽희를 많이 말하고, 그의 대표작이라는 조춘도를 말하는 이유는, 그가 삼원법이라는 양식을 처음으로 가져와서 그린 작품이 조춘도이다.
삼원법(삼원법 三遠法)은 산수를 3시점에ㅓ 바라보고, 세 시점의 그림을 한 화면에 나타낸다
동양화, 특히 중국 산수화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알아야 한다.
高遠--밑에서 위로 올려다 본 모습으로, 주로 산봉우리 등이며, 용머리처럼 모양이 이상하고,
무척 거칠게 보인다
深遠--눈 높이에서 멀리 바라보고 그린 풍경, 서양화의 원근법이 적용된 듯하다.
平遠--바로 눈 앞에 펼쳐진 모습이며, 형상이 또렷하고, 세세하다
화면의 아래 부분을 평원으로 표현핟다.
(*곽희의 조춘도를 이 각도에서(삼원법) 감상하십시오. 조춘도는 대만의 고궁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으며 고궁 박물관에서 최고의 가치를 지닌 소장품으로 꼽고 있다.)
삼원법을 도입하여 그린 그림으로 대표적인 작품이 곽희(중국 송의 화가)의 ‘조춘도’이다
이런 유파의 그림을 곽희파라 하고 또는 이성과 함께 이곽파라고도 한다
이런 양식의 그림이 조선 초의 화가들에게 큰 영향을 준다; 안견이 몽유도원도를 곽희화파의 양식으로 그렸으며, 그의 대표작이다. 이후, 조선 초기의 많은 화가들이 안견을 본 받아서 그렸다. 이를 안견화파라고
한다.
첫댓글 동양의 산수화와, 전반적인 동양의 그림 이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곽희의 조춘도가 아주 중요한데 ---
들어오셔서 읽는 분이 적으네요. 오늘은 다음 글을 올리지 않고, 더 많은 분이 조춘도를 읽어보시도록 기다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