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여행 인터넷 언론 ・ 15시간 전
URL 복사 통계
본문 기타 기능
김상소 작가: 서사를 활용하는 매체의 문법 이세준 작가: 화면에 담아내는 경험하지 못한 세계...캔버스에 담은 욕망 정성진 작가: 확장될 기능과 형태의 모색 |
[미술여행=윤경옥 기자] 서울문화재단의 2024 예술창작활동지원사업으로 선정된 기획전: '픽션+미토콘드리아+시스템' 전시가 선유도에 위치한 전시공간 홀원Hall 1(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22마길 8, 1층)에서 6월 29일(토)부터 7월 12일(금)까지 개최된다.
'픽션+미토콘드리아+시스템' 展은 윤지희 독립 큐레이터가 기획한 전시로 김상소, 이세준, 정성진 작가가 참여한다.
서울문화재단의 2024 예술창작활동지원사업으로 선정된 기획전: '픽션+미토콘드리아+시스템' 전시(사진: 전시알림 포스터)
'픽션+미토콘드리아+시스템' 전시는 회화, 조각의 이미지 서사와 시간성, 그리고 이미지에 수반한 무시간성의 서사를 타파할 모듈의 가능성을 실험한다. 전시 주제는 ①픽션, ② 미토콘드리아, ③시스템 등 세 단어가 들어가 있다.
전시는 전시 제목이 말해주듯 모듈의 형태로 작품의 시스템을 대입해 이미지 형성의 대안적인 미래를 내다보고, 유기체처럼 자생하는 작업 세계관을 살펴보기 위해 기획되었다. 전시에 참여한 작가들(김상소, 이세준, 정성진 작가)은 각자의 세계관 내에서 복제되는 이미지와 서사 그리고 감각하기의 방식을 펼치고 있다.
사진: 전시전경
① 김상소 작가: 서사를 활용하는 매체의 문법
김상소는 전통적으로 서사를 활용하는 매체의 문법과 형식을 회화의 재료로 사용한다. 이번 전시에서 그는 우연적인 이미지 병치에서 연상되는 개연성의 감각을 실험하고자 한다. <Short Talks>는 어떠한 형식의 문학적 방법으로 읽어낼 수 없는 직관과 감각에 의존하여 이미지를 생성한다. 따라서 작가의 작업에는 시제와 줄거리가 부재하지만 이미지를 통해 이야기를 읽어내려는 관람자의 역할을 중요시 한다.
사진: 김상소, _Short Talks_, 2019-2024, 린넨, 캔버스에 아크릴릭, 유채, 스프레이, 레드파인, 가변크기
김상소 작가는 홍익대학교에서 회화과를 졸업하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석사과정을 수료했다. 전통적으로 서사를 활용하는 매체의 문법과 형식을 회화의 재료로 사용하며, 우연적인 이미지 병치에서 연상되는 개연성의 감각을 실험한다.
개인전 ▲XXXX_XXX_XXXX_XX(G gallery, 2022) 와 ▲-NESS(라휜 갤러리, 2023), ▲세 개의 전날 저녁(페리지 갤러리, 2023), ▲제 3의 과제전(PS 사루비아, 2021) 등 주요전시에도 참여했다.
②이세준 작가: 화면에 담아내는 경험하지 못한 세계...화면에 담은 욕망
사진: 이세준, _가능세계의 그림들_, 2024, 린넨에 아크릴릭, 291.3×291.3cm(9pcs)
이세준은 평소에 자신이 보고 듣고 경험한 또는 미처 경험하지 못한 모든 세계를 화면에 담고자 욕망한다. 작가는 그간 회화 형식에 대한 여러 실험을 바탕으로 추상성과 구상성에 대한 탐구를 진행해 왔다. 이번 전시에서는 과거 작품 사이에 이미지를 덧붙여 서로 다른 시제에 대한 회화 작품을 선보인다. 특히 9점의 대형 캔버스 작업 <가능 세계의 그림들>은 캔버스가 상하좌우 이동하며 각기 다른 화면의 이미지를 읽을 수 있다.
사진: 이세준, _써클 1_, 2021-2024, 린넨, 캔버스에 아크릴릭, 유채, 형광안료, R 304cm(13pcs)
이세준은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했으며, 회화 형식에 대한 여러 실험으로 회화 매체의 추상성과 구상성에 대한 탐구를 진행한다. 과거 작업에서 파생한 새로운 차원의 이미지를 작품에 병치하여 덧붙이는 형식으로 유기적 회화를 실험해 오고 있다.
주요 개인전으로 ▲마침내 너와 내가 만나면(스페이스 윌링앤딜링, 2023), ▲스페이스 오페라(KSD 갤러리, 2020), ▲포락지(케이크 갤러리, 2016)등이 있다. 단체전으로는 ▲제23회 송은미술대상전(송은, 2023), ▲서울 바벨(서울시립미술관, 2016)전시에 참여했다.
사진: 이세준, _시공간초월의 가능성 연구를 위한 회화_, 2020-2022, 캔버스에 유채, 아크릴릭, 형광안료, 391×521.3cm(6pcs)
③ 정성진 작가: 확장될 기능과 형태의 모색
정성진은 미디어 환경에서 소비되는 이미지가 조각으로 재구축 될 때 확장될 기능과 형태를 모색한다. 이번 전시에서는 조각가 류인의 <동방의 공기>를 참조하여 형상 조각의 계승과 갱신의 태도를 담으려고 노력했다.
사진: 정성진, _횡단열차 - 세대전쟁_, 2022-2024, pla, 에폭시 퍼티, 레진, 철, 자석, 폴리스티렌, 디지털 프린트, 스타코, 225(h)×140×340cm
정성진 작가는 홍익대학교에서 조소과 석사 과정을 졸업했다. 미디어 환경에서 소비되는 이미지가 조각으로 재구축 될 때 확장될 기능과 형태를 모색한다.
개인전 ▲dock(공간 형, 2022)과 ▲비산(飛散/山)(황금향, 2024), ▲조각 모음(문래 예술 공장, 2023), ▲고독한 플레이어 (대안공간 루프, 2021) 등 다수의 단체전에 참여했다.
한편 서울문화재단 2024 예술창작활동지원 선정 기획전: 픽션+미토콘드리아+시스템 전시는 모듈의 형태로 유기체의 시스템을 비유하는 세 명의 작가가 선사하는 창작의 세계관을 면밀히 살펴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특히 김상소, 이세준, 정성진 3명의 시각예술가는 ‘모듈 시스템’으로 다양한 시공간의 이미지를 소환하는 가능성을 제기한다. 그리고 참여작가들은 전시 주제에 맞게 각자가 신작으로 응답한다.
● 서울문화재단 2024 예술창작활동지원 선정 기획전: 픽션+미토콘드리아+시스템 展 전시안내
참여작가: 김상소, 이세준, 정성진
기 획 : 윤지희
전시기간: 2024년 6월 29일(토)부터 7월 12일(금) 까지
개관시간: 평일 12:00 - 19:00 (휴관일 없음)까지
전시장소: 선유도에 위치한 전시공간 홀원Hall 1(서울특별시 영등포구 양평로22마길 8, 1층)
후 원 :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단, 2024년 예술창작활동지원사업 선정 프로젝트
연계행사: 오프닝 6월 29일 17시 ~ 19시
관람요금: 무료
문의: 홀원Hall:
태그#전시#서울문화재단#눈에들어온전시#2024예술창작활동지원선정기획전#픽션미토콘드리아시스템展#김상소작가#이세준작가#정성진작가#홀원Hall#선유도#전시공간#미술여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