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흐의 자화상
〈파이프를 물고 있는 자화상〉, 캔버스에 유채, 1886, 46×38cm,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반 고흐 미술관
사는 게 너무 힘들다고 느껴질 때면 고흐의 자화상을 보라는 말이 있다. 실제로 고흐는 서른일곱의 나이로 권총 자살을 하기 전에 "고통은 영원하다"(La tristesse durera toujours)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기도 했다. 그는 짧은 생애동안 40여 점의 자화상을 그렸는데 이들 중 대부분이 죽기 얼마 전인 1885~1889년 사이에 그린 것이다. 파리에 도착한 고흐는 조급한 성격과 직설적인 언사로 늘 사람들과 떨어져서 외톨이로 지냈다. 〈파이프를 물고 있는 자화상〉은 1886년 봄에 그린 것이다. 이 그림은 그의 초기 작품으로 조형에 비교적 짜임새가 있다. 화가는 두상을 화면 왼쪽에 치우쳐서 배치했고 삐딱하게 문 파이프는 화면 오른쪽의 공백과 힘의 균형을 이룬다. 이 그림은 고흐가 그린 자화상 가운데 가장 나이 들어 보이는 자화상이기도 하다. 이 그림을 그릴 당시 고흐는 불과 서른세 살 밖에 되지 않았지만 그림 속 남자는 중년을 훌쩍 넘겨 보인다. 파이프와 덥수룩한 수염이 그를 훨씬 나이 들어 보이게 한다.
〈밀짚모자를 쓴 자화상〉, 캔버스에 유채, 1887, 34×26.7cm, 미국 디트로이트 예술연구소
〈밀짚모자를 쓴 자화상〉은 강렬한 색채 대비와 거칠고 역동적인 붓놀림을 통해 고흐의 혼란스런 내면세계를 보여준다. 왼쪽 눈 부위가 붉게 충혈 돼 있고, 귀도 피가 맺힌 것처럼 벌겋게 달아올라 있다. 밀짚모자는 1888년에 그린 〈씨 뿌리는 사람〉의 하늘 배경에서처럼 노란색으로 짙게 덧칠했다. 고흐는 노란색을 매우 강하게 사용한 화가로도 유명하다. 〈해바라기〉나 〈까마귀가 나는 밀밭〉 같은 작품에서 노란색의 미학을 한껏 느낄 수 있다.
1888년 그는 아를에 예술가 마을을 만들 생각으로 친구 고갱을 초대했다. 그해 10월 고갱이 찾아왔지만 두 사람 사이에 심한 말다툼이 오갔다. 그때 정신발작 증상이 나타난 고흐는 면도칼로 고갱을 위협하더니 결국 자신의 오른쪽 귀를 잘랐다.
〈귀를 자른 후의 자화상〉, 캔버스에 유채, 1888, 60×49cm, 영국 런던 코톨드 인스티튜트 갤러리
그림에서 보듯 오른쪽 귀를 잃은 고흐는 붕대로 얼굴을 감싸고 있다.
고흐가 자살하기 직전인 1889년에 그린 〈자화상〉은 그의 피폐하고 암울한 내면을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특히 아래 첫번째 〈자화상〉의 배경은 붓으로 물결무늬를 빽빽하게 만들었고 화가의 적갈색 머리는 그림의 주조를 이루는 파란색과 강렬한 대비를 이룬다. 화가의 얼굴에는 강한 집착과 병적인 불안함이 엿보인다.
수많은 그림들 가운데 유독 고갱의 마음을 사로잡았던 작품이 바로 〈해바라기〉였다. 아를의 강렬한 태양과 가장 잘 어울리는 식물이기도 한 해바라기를 그린 고흐는 고갱에게 이 작품을 헌사 했다. 마치 노란색이 캔버스 밖으로 폭발해 버릴 것처럼 눈부신 〈해바라기〉를 보면서 고갱은 전율하지 않을 수 없었다.
〈해바라기〉, 캔버스에 유채, 1888, 91×72cm, 독일 뮌헨 노이에 피나코텍 미술관
고흐는 파리를 돌며 화가로서 견문을 넓혀나갔지만 어딜 가든 그는 늘 가난에 찌든 보헤미안 예술가였다. 그는 늘 중심에 서지 못하고 주변만 기웃거리는 아웃사이더에 지나지 않았다. 젊은 화가 고흐는 서서히 지쳐갔고, 이제 그에게 남은 거라곤 술과 매춘뿐이었다. 그는 항상 성병을 달고 살았다. 1888년에 파리를 떠나 아를로 간 고흐는 정신분열 증세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고흐는 그 뒤로 발작을 일으킬 때마다 병원을 들락거리는 정신병자 신세로 전락하고 만다. 1890년 어느 날, 그의 손에는 붓 대신 권총이 들려 있었다. 그렇게 고흐는 자신의 그림 속에서 슬픈 눈을 깜박이며 빛나는 별이 되었다.
나는 지금 아를의 강가에 앉아 하늘을 밝히는 별을 새고 있다네.
문단 소리 없이 빛나는 별들은 그 밝음 속에
문단 얼마나 아픈 절망과 고통을 감추고 있는 걸까.
문단 별들은 나를 향해 절망과 고통을 얘기한다네.
- 동생 테오에게 보낸 편지 중에서
〈아를의 별이 빛나는 밤〉, 캔버스에 유채, 1888~1889, 72.5×92cm, 프랑스 파리 오르세 미술관
고갱의 자화상은 어떠한가? 서머셋 모음이 쓴 <달과 6펜스>는 고갱을 주인공으로 쓴 소설이다. 고갱이 그림을 그리기위해 가정을 버리고 타이티섬으로 떠난 예술의 세계와 생활의 세계 속에서 허우적거림을 보여주고 있다. 문명과 세속의 삶을 버리고 예술세계에서 도덕과 관습으로 헤메이는 인간의 이상적 갈등, 그것이 고갱의 삶이다.
고갱도 친구인 고흐처럼 꾸준히 자화상을 그렸다. 모델을 사서 그림을 그릴 형편도 못 됐거니와 습작에 자화상만큼 좋은 소재도 없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고갱의 자화상은 다른 화가들의 자화상과는 분명 달랐다. 그는 다른 인물에 자신을 이입시켜 자화상을 즐겨 그렸다. 그의 자화상에 등장한 인물로는 예수 그리스도와 『레미제라블』의 주인공 장발장이 있다.
문명세계에 대한 혐오감과 늦은 화가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자괴감으로 현실과 갈등하는 고갱. 그에게는 어려울 때 함께 했던 친구가 있었다. 그러나 고흐는 무너지는 자존감과 자괴감으로 끝내 귀를 잘랐고, 고갱 역시 타이티섬으로 떠났다. 타이티섬에 간 고갱의 자화상을 보면, 날카로운 눈매는 매우 강하고 뚜렷하나 왠지 슬픔을 느끼게 한다. 굳게 다문 입은 강한 의지와 확실하고 야무진 신념으로 고집스러움 보여지며 무엇인지 불만족스러워 보인다.
고갱은 모델을 사서 그림을 그릴 형편도 못 됐거니와 습작에 자화상만큼 좋은 소재도 없었다. 자화상은 다른 인물에 자신을 이입시켜 자화상을 즐겨 그렸다. 그의 자화상에 등장한 인물로는 예수 그리스도와 『레미제라블』의 주인공 장발장이 있다.
〈노란 그리스도를 배경으로 한 자화상〉
〈자화상〉, 캔버스에 유채, 1894, 46×38cm, 프랑스 파리 오르세 미술관
고갱은 죽기 전에 반드시 위대한 작품을 그리겠다는 결심으로 밤낮을 가리지 않고 꼬박 한 달을 작업에만 매달렸다. 그는 어느 날 너무나 생생한 꿈을 꾸었다. 꿈에서 깨어난 뒤 캔버스를 마주하자 그의 눈앞에는 간밤의 꿈이 생생하게 펼쳐졌다. "우리는 어디서 왔을까? 우리는 누구인가? 우리는 어디를 향해 가는가?"라는 철학적인 명제가 이 그림의 제목이 되었다. 이 그림 제목은 나중에 파리에 간 김환기 화가의 작품 <어디서 무엇이 되어 다시 만나랴>는 작품명과의 연관성을 떠올리게 한다.
〈우리는 어디서 왔으며, 누구이며, 어디로 가는가?〉, 캔버스에 유채, 1897, 141×389cm, 미국 보스턴 미술관
화면 오른쪽에는 이제 막 태어난 갓난아이가 있고, 가운데에는 한 젊은이가 나무 열매를 따고 있다. 화면 왼쪽에는 인생의 말년을 맞이한 노파가 등장한다. 그림 속의 인물들은 인류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의 삶을 비유적으로 보여준다.
만년에 그가 낙원으로 생각하며 찾아간 타히티에서 그린 그림. 이 그림들은 만년의 천경자 화백 그림을 생각나게 한다.
예술가들의 자화상은 결국 뭘 의미할까? 종국적으로 보면 문인의 시나 소설이나 작곡가의 선율도 자기 내면의 무엇을 남긴 흔적일 것이다. 자화상 역시 마찬가지다. 나에겐 두 개의 초상화가 있다. 하나는 진주의 조구배 화백이 그린 것이고, 하나는 고인이 된 동기 하종보 화백이 죽기 전에 그려준 것이다. 그러나 그건 남이 그려준 초상화지 내 자화상이 아니다. 고흐나 고갱처럼 내가 나에게 부여한 의미, 표현코자 한 의미는 무엇일까. 이름 없는 작가로 30여년 글을 써온 사람이 요즘 혼자서 자화상을 그려보고 있는 중이다.
첫댓글 끝없이 노력하는 그대의 노고에 박수를 보냄니다.김거사는 큰 인물임 에는 틀림 없습니다.좋은 결과가 나오리라 확신 합니다.
동대문 사단장 항상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