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근조(謹弔)와 (謹吊) ☆
사회생활을 하다보면 동료나 친척들에 조문을 가시게 되는데
' 근조"라는 단어를 자주 접하시게 되실 것입니다.
여러분도 아시겠지만
근조는 "사람의 죽음에 대해 삼가 슬픔 마음을 나타냄 "
즉 추모의 의미가 담긴 한자 단어입니다.
하지만 謹弔 와 謹吊 는 따로 사용이 되었는데
그 유래는 선비 집안에서 조등을 내걸어
마을 사람에게 알렸습니다
죽은 사람이 남자라면 활과 몽둥이를 의미하는 한자 弓(활궁)
+丨(뚫을 곤)를 합친弔(조)를 내 걸었고
여자가 죽으면 口(입구)+ 巾(수건건)의 합친 吊(조)를
대문에 걸었습니다
이렇게 근원은 사내아이가 태어나면 나무로 만든 왼쪽에 걸었고
여자아이가 태어나면 수건을 오른쪽에 걸었습니다.
그리고 태어난 후 3개월째 월말중
사내아이는왼쪽으로 머리를 땋고
여자이이는 오른쪽으로 머리를 땋아 묶었는데
이를 남좌여우(男左女右)라고 말을 합니다.
현대 장례에 와서는 유래와 의미가 생략되고 편의를 위해
弔와 吊 를 혼용하여 사용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전통식 장례문화에서
현대식 장례에 와서는
유족과 조문객의 편의를 위해 많은 부분이 바뀌고 있습니다.
실용적인 장례문화로 바뀌는 점도 좋지만
이런 유래와 의미는 알아 두어야 할 것 같아 적게 되었습니다.
이제 이런 의미를 알고 남고 동창회 근조기는
謹弔로 쓰는것이 맞으시겠죠
♣ 광주 무빈소 장례비용 : ₩ 150 만원 【 리무진 발인 】
♣ 알려 드립니다 ♣
나에 인생길 든든한 버티목이 되었던 사랑했던 가족을
멀리 보낼 수 밖에 없는 슬픔에 젖어 있다 장례를 당하다 보면 당황들을 하셔서
무엇부터 해야 할지를 모르는 분들을 위해 무료상담을 해 드립니다.
① 가족들에 맞는 장례식장을 선택. 최대할인과 최대 서비스로 진행을 해 드립니다.
② 가족장례 또한 저렴한 비용으로 치르도록 도와 드리겠습니다
③ 무빈소 발인은 최소금액으로 리무진 발인으로 마지막을 지켜 드리겠습니다.
※ 무료상담 ( 광주광역시 장례식장. 무빈소장례 .자연장. 추모관. 묘이장 )
☎ 정 해영 ( 010 7540 8140)
https://blog.naver.com/ngan071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