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쏘아라! - 여상환
2017년은 6.25발발 67주년이다. 6.25때 우린 아무 준비가 없었다. 학교는 전부 휴교하고, 학생들은 농사를
지으라고 농촌으로 보내졌다. 그래서 개전 초기에 속수무책으로 밀리기 시작하여 낙동강까지 후퇴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낙동강 전투의 회복과 맥아더의 인천상륙으로 이 나라를 구했다고 알고 있는데, 실상은 조금 다르다.
낙동강 전선의 전투는 곧 영천, 포항, 다부동 전투이다.
유학산 정상의 유학정. 『조선지도』에는 "유악(流岳)"이라 표기되어 있으나
『해동지도』에는 학이 머문다는.. "유학산(留鶴山)"이라고 기재되어 있다.
현재 쓰고 있는 "유학산(遊鶴山)"이라는 이름은 『1872년지방지도』에 처음 기록되어 있는데...
학이 놀던 산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고 한다... 이러한 신선의 산에 동족상잔의 최대의 격전지였다니...
왜관국민학교 3학년때 한반에 있던 이정균(사대부고 9회, 안동대 교수) 동기 집이 아곡동에 있어서 같이
왜관동부국민학교를 거쳐 자기 집으로 가면서 인민군이 길 좌측편에 앉아 죽어 뼈가 되어 있는 것을 보았다.
아버지가 유학산에서 벌목을 하신다고 했는데, 새 기와집도 있고 길 가에도 집이 있어 아버지와 어머니를
뵈었고, 혼자 왜관읍으로 돌아 왔는데 상당히 멀었다. 아곡동에서 왜관국민학교까지는 왕복 30리는 될 것 같다.
조용희(사대부고 9회)도 한반으로 창마에 있었는데 같이 집에 가서 어머니를 뵙고 저녁을 먹고 왜관에 왔다.
창마까지는 왕복 20리는 될 것 같다. 조용희 동기는 고혈압으로 고인이 되었다.
경북 칠곡군 왜관읍에서 동북으로 좀 들어가면 학이 머무르는 산이라고 하는 해발 654m의 유학산(留鶴山)이 있다. 이 산정 근처에 마이클 레스 미 중령과 김재명 소령이 이끄는 대대병력이 주둔하고 있었는데, 이곳이 뚫리면
대구까지 뚫리는 개활지로서 부산까지 밀릴 수 있기 때문에 이 곳을 뺏기면 유엔군이 상륙한다 하더라도 용병을
할 수 없게 되어 나라의 생사가 걸린 전투 지역이었다.
이 전장에 투입된 1사단 병력 8천5백 명 중 4천명이 전사하고 4천1백명이 부상당하고, 무사한 사람은
4백 명 밖에 안 되었던 격전이 벌어졌던 곳이다. 또 이 곳에서 인민군 3개 사단과 우리 1개 사단이 궤멸되었다고
전사는 기록하고 있다.
치고 빠지기를 일곱 번이나 거듭했으며, 유학산 정상이 점령당하면 완전히 뚫려 버리는 6.25전 사상 최대의
격전지였다.
이때 미8군사령관이 다급하게 1사단장 백선엽을 찾아 이렇게 힐난했다.
“당신들은 당신 나라를 포기할 것이냐? 유학산이 뚫려 포위되면 우리 마이클 레스 중령 전차부대 다 죽인다.
우리는 이 상황에서 우리 부대를 뺄 수밖에 없다. 그리하면 당신 나라는 끝장이다. 우리도 버티고 있는데
당신들이 뚫릴 수 있는가?”
이 말을 들은 백선엽 장군은 잠시 시간을 달라고 말하고 현장으로 달려갔다. 현장에 가보니 김재명 소령이
맨몸으로 낙오병을 이끌고 내려오고 있었다. 내려와서는 백 장군에게 무릎 끓고 앉아서 ‘즉결처분 받겠다.’라고
말하며, 여기 지키느라 몇 번씩 탈환하고 밀리기를 반복해왔는데, 이틀간 물 한 모금 밥 한 끼 먹지 못했고 탄약도
없으니 이젠 별도리가 없다고 하는 것이었다.
백 장군은 ‘너희를 처벌하자는 것이 아니다. 물러서라’ 라고 말하며 학도병과 내려오는 군대 모두 합하여 6천명쯤
되는 이들에게 주먹밥을 나눠주며 이들 앞에서 마이크를 잡고 연단에 올라서서 외쳤다.
“장하다. 그간 고생이 많았다. 그러나 이곳이 뚫리면 그간의 우리의 전공도 모두 수포로 돌아가고, 우리나라는
끝장이다. 대한민국이 사라지는데 살아서 뭐하나. 난 여기서 죽겠다. 집안의 독자나 또는 돌볼 노부모가 계신
사람들은 돌아가라. 공격구호는 간단하다. ‘돌격 앞으로!’ 내가 제일 앞장서겠다. 만일 한 발짝이라도 뒤로
물러서면 나를 쏘아라! 그리고 내 시체를 밟고 넘어서 이곳만은 꼭 탈환해라. 구호는 ‘나를 쏘아라!’이다.”
백장군의 이 말에 순간 분위기가 바뀌면서 김재명 소령도 자신이 제일 먼저 죽겠다며 앞장섰다.
이를 두고 마이클 레스 중령은 세계 전사 상 후퇴하던 군대가 다시 ‘돌격 앞으로’ 하는 경우는 없었을 것이라며
대한민국 군대를 신병(神兵) 즉, 하늘이 낸 병사(god's soldier)라는 표현을 썼다. 백선엽 장군이 배수진을 치고
유학산을 점령했다. 그러면서 유엔군이 인천상륙하고 반격한 것이다.
견리사의(見利思義) 견위수명(見危授命). ‘이로운 것을 보거든 옳은 것인지 생각하고, 나라가 위태로우면 내
생명을 던져라.’고 했다. 지도자들은 사생관을 분명히 해서 결정적인 순간에 자기 생명을 내던질 각오를 해야
한다. 이것을 이어가고 지켜가는 것은 여러분의 소임이 아니겠는가? 그러자면 자기의 소임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다.
https://www.youtube.com/watch?v=UGoXf09yfL8
작은 여인의 몸이지만 한 역사를 일구었던 위대한 족적이 있어 소개한다. 내용은 ‘하늘이 내린 목소리’라고 하는
세계적인 성악가 조수미 이야기이다. 지난 2006년 4월 4일에 파리 샤틀레극장에서 프리마돈나로 성황리에
공연을 마치니까 모두 기립박수를 하면서 앙코르를 요청하자 조수미가 얘기한다.
“여러분 앵콜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만 한 가지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지금 이 시간에 서울에서는 내 아버지의
장례가 진행됩니다. 어머니로부터 ‘너는 세계적인 공인,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프리마돈나이다. 네 직분을 다하는
것이 아버지의 영을 위로하는 것이 될 것이다. 그것을 포기하고 집으로 오는 것은 작은 효도는 될지 모르지만
세계 공인의 자세는 아니다’라고 하셨습니다. 그러나 이 노래만은 아버지를 위해 바치고 싶습니다.”
그 말에 관객 모두가 감동해서 8분 40초를 일어서서 앙코르하고 격려했다. 그때 조수미가 불렀던 노해가
‘아베마리아’와 ‘그리운 금강산’이었다. 그 절절했던 조수미의 가슴을 헤아리면서 돌아간 아버지를 생각하면서
파리의 샤틀레극장에서 부르던 조수미의 모습을 함께 느끼기 바란다.
결국 역사의 변곡점에서는 항시 ‘여울목’을 지키는 위대한 인격체가 있었고 그의 사상의 핵심은 항시 「노블레스
오블리주」였었고, ‘나를 쏘아라’였고, 항시 의로움을 먼저 생각하는 견리사의(見利思義) 견위수명(見危授命)이
있었다.
각 분야에서 나라를 이끌어가고 있는 지도자 여러분, 결국 한나라의 명운이 갈리게 되는 전환점은 그때 역할
담당자의 사즉생 생즉사 하는 결단이 그 핵심이 된다.
그대는 과연 ‘나를 쏘아라’라는 각오가 되어 있나요?
https://www.youtube.com/watch?v=z4W3B0EUZ68
재경구구회 SJKang강석정 동문이 단톡방에 올린 글 편집
첫댓글 좋은 글을 잘 읽었습니다. 6.25 가 다가오니 그 때의 긴박했던 상황을 생각하면 아찔합니다. 다른 친구들의 자료를 편집하시느라 수고가 많으셨습니다.
외람된 말씀이지만 6.25 때 낙동강 방어전을 설명하면서 조수미의 이야기, 노래는 어울리지 않은 것 같습니다. 이것저것 너무 많은 것을 올리시면
보는 회원들이 지겹게 느낄 수도 있습니다. Link 를 잘 하여 타인의 자료를 잘 활용하는 것도 좋지만 날아다니는 이런 내용물에는
Virus 가 많이 묻어 다닐 수도 있습니다. 사이버 공간에 자료의 제한이 없는 것 같아 보이지만 이런 것들 즉 점, 색, 음 하나 까지 0과 1의 전자 신호로
처리, 저장하는데 경비가 들어가게 되어 있습니다. 그 경비는 광고 수입으로 충당하니, 사용자인 우리가 모두 부담합니다.
국내에서 저장 능력이 모자라면 Micro Soft 나 Google 등의 Cloud에 많은 경비를 지불하면서 저장하였다가 Stream 하여 다시 보게 되는 수도 있습니다.
이런 것들이 많으면 무역 적자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건강과 행운을 기원합니다.
홍집 박종봉 교수님
좋은 말씀 감사합니다.
위의 글도 두 번째 듣는 것 같습니다. 좋은 말도 자꾸 들으면 상대방의 기분도 좋지 않게 된다는 것을 알려 드립니다.
나를 쏘아라!라는 글은 여상환 씨가 원글을 썼고, 그 원글을 현대건설 고 정주영 회장 비서실에서 근무한 강석정 동문이 단톡방에 올린 글을 제가 옮겨와서 편집한 것입니다. 여상환 씨는 전쟁이나 예술 등 각 분야의 지도자에게 사즉생 생즉사 하는 결단이 필요하다는 것을 주장하고 있습니다. 전쟁과 같은 절박한 애국심도 느끼고 세계 최고의 콜로라튜라 조수미의 아름다운 노래를 듣고 감정을 순화시키는 면도 있습니다. 나도 다소 부조화한 면을 생각 했지만, 원작자의 의도를 소중히 생각하여 그대로 올렸습니다.
홍집님은 내가 임의로 백선엽 장군 얘기에 조수미 음악얘기를 올렸다고 오해하고 있습니다.
본 이야기는 원작자 여상환 씨에게 직접 요구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