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유덕楊維德 경우육임신정경景祐六壬神定經의 형
본문: 전傳에 이르기를, “형이란 형륙刑戮을 말하는 것이다.”라고 하니, 첫째 쇠락衰落의 형을 말하고,(원주. 이른바 금목수화토金木水火土의 정형正刑이다.) 둘째 제어制禦의 형을 말하며,(원주. 이른바 십간十干의 형이다.) 셋째 불손不遜의 형을 말한다.(원주. 이른바 십이지의 형이다.) 익봉전翼奉傳에 이르기를,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방위에 있으며,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고, 수는 흘러가서 지말支末로 달아난다.”라고 한다.(傳曰 刑者 刑戮之謂也 一曰衰謝之刑(謂金木水火土正刑) 二曰制禦之刑(謂十干之刑也) 三曰不遜之刑(謂十二克刑) 翼奉傳曰 金剛火強 各在其方 木落歸本 水流趨末)
나의 견해: 둘째 제어制禦의 형은 지형천간支刑干干과 동일하고, 셋째 불손不遜의 형은 역학인이 익히 알고 있는 삼형이며, 첫째 쇠락衰落의 형은 낯설다. 각각 형이 어떻게 형이 되는가? 그 인유를 익봉전을 인용하여 바로 밝혔다. 그 공통점이 바로 쇠락이다.
1. 쇠락衰落의 형
본문: 사유축 금위金位는 형이 서방에 있다. 금은 그 강건剛健을 믿음에 어떤 사람도 상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양기는 8월 유방酉方을 좇아서 들어가고, 이로 인하여 꺾이어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금형金刑은 서방에 있다.(巳酉丑 金之位在西方 言金恃其剛 物莫與對 陽氣八月從酉而入 因而挫之 故金刑在西方)
나의 견해: 양기의 생성소멸을 여러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첫째 자오子午의 축軸이 있고, 둘째 간곤艮坤의 축이 있으며, 셋째 묘유卯酉의 축이 있고, 넷째 손건巽乾의 축이 있다. 이 가운데 태양이 뜨고 지는 묘유의 축이 대표한다. 태양은 양기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양기는 8월 유방酉方을 좇아서 들어가고, 이로 인하여 꺾이어지는 것이다.”라고 한 것이 이러하다. 손건의 축은 태극음양에서 쓴다.
“이 때문에 금형金刑은 서방에 있다.” 이는 무슨 뜻인가? 목화금수 사행四行 사계절의 장생으로 보면 모두 동일하지만, 오행의 장생으로 보면 경신금만 유독 생지生地가 아니고 사지死地인 사화巳火에 장생한다. 경신금庚申金은 비록 장생지이지만, 화기火氣를 이기지 못하고 억눌린 채 인고의 세월을 보내며, 유월에 이르러 화기가 내려가고, 그 기세가 꺾이어지자마자 곧바로 금기는 용수철처럼 뛰어오른다. 그 강건의 속성으로 인하여 자기 자신을 형벌하는 것이다.
본문: 인오술 화위火位는 형이 남방에 있다. 염화炎火는 그 강포强暴를 믿음에 어떤 사람도 상대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양기는 5월 오방에서 생기고, 이로 인하여 꺾이어지는 것이다. 이 때문에 화형火刑은 남방에 있다.(寅午戌 火之位在南方 言炎恃其強 物莫與對 陽氣五月生於午 因而挫之 故火刑在於南方)
나의 견해: “양기는 5월 오방에서 생긴다.”(陽氣五月生於午) 이는 의문의 여지가 없지 않다. 이론상 양기는 사방巳方에서 치성하고, 오방에서 음기가 시생始生한다고 한다. 그러나 우리가 피부로 느끼는 것은 사월巳月보다 오월이 더 덥고, 오월보다 미월이 더 뜨겁다. 삼복더위가 대부분 미월에 있다. 오월에 음기가 시생한다는 설로 대체한다. “이로 인하여 양기가 꺾이어지는 것이다.” 비록 양기가 꺾이어지기 시작하지만, 여전히 치성한 점은 불변이다. 이 때문에 자기 자신을 형벌하는 것이다.
본문: 해묘미 목위木位는 어떠한가?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니, 잎이 떨어지면 뿌리로 돌아감을 알 수 있고, 해묘미 목의 근원이라 형은 북방에 있다. 해묘미 목은 그 영관榮觀을 믿기 때문에 해자축 음기는 이를 형벌하여 조락凋落하게 함을 알 수 있다.(亥卯未 木之位 木落歸本 言葉落復根 亥卯未木之根 刑在北方 言木恃其榮觀 故陰氣刑之 使凋傷也)
나의 견해: 목락귀본木落歸本을 엽락복근葉落復根으로 해석했다. 이는 엽락귀근葉落歸根과 같다. 엽락귀근葉落歸根이여, 래시무구來時無口로다.
“해묘미 목위木位는 그 영관榮觀을 믿는다.” 목이 믿고 으스대는 것은 무엇인가? “이화도화李花桃花 만발滿發하여 만화방창萬花方暢 아닐런가.” 해자축 음기는 해묘미 목의 기고만장氣高萬丈을 형벌하여 모두 떨어지게 한다. 이를 의거하면, 묘형자卯刑子 미형축未刑丑이 아니고, 자형묘子刑卯 축형미丑刑未 또는 묘형재자卯刑在子 미형재축未刑在丑이 된다. 만일 해묘미 목이 인묘진 목이라면 그 뜻이 더욱 명백할 것이다.
본문: 신자진 수위水位는 어떠한가? 수는 흘러가서 지말支末로 달아난다. 수의 성향은 동방으로 흘러가고, 한번 가면 되돌아오지 않는 것이니, 바로 이를 지말이라 일컫는다. 이 때문에 수형水刑은 동방에 있고, 신자진 수는 음덕陰德을 믿음을 알 수 있다. 이 때문에 인묘진 춘양春陽이 형벌하여 이들로 하여금 돌아오지 못하게 한다.(申子辰 水之位 水流趨末 水性東流 逝而不返 其謂之末也 故水刑在東方 言水恃陰德 故陽刑使之不歸也)
나의 견해: “신자진 수는 음덕陰德을 믿는다.” 음덕은 수의 성향을 말하고, 동방으로 흘러가서 인묘진 목으로 하여금 만화방창하게 한다. “적선지가積善之家는 필유여경必有餘慶이요, 적악지가積惡之家는 필유여앙必有餘殃이라.” 그렇지만 이 세간은 군자는 적고 소인이 득세하고 보면, 그 음덕이 앙화로 돌아오기도 한다. 인묘진 춘양春陽이 그러하다. 이를 의거하면, 신형인申刑寅 자형묘子刑卯가 아니고, 인형신寅刑申 묘형자卯刑子 또는 신형재인申刑在寅 자형재묘子刑在卯가 된다.
본문: 토위土位는 중앙에 있고, 왕기旺氣를 사계四季에 내맡긴다. 미토를 장생長生으로 삼고, 축토를 관대冠帶로 보며, 묘고墓庫는 진토에 있고, 천형天刑은 술토에 있다. 이 술토는 토의 역량 중에 가장 큼을 알 수 있고, 천제가 이 술토를 형벌하니, 이 때문에 천형은 술토에 있다.(土位在中央 寄旺四季 以未爲長生 丑爲冠帶 墓在辰 天刑在戌 此言土力最大 天能刑之 故天刑在戌)
나의 견해: 명리에서 진술축미 사계토四季土는 통상 그 사시휴왕四時休王을 본계절本季節과 함께한다. 대육임비결大六壬秘訣 시세형恃勢刑에 이르기를, “상위上位는 술에 있고, 왕기는 사계절에 의탁하며, 정왕正旺은 미에 있다. 미토는 정왕을 믿고 축토의 관대를 형벌하고, 축토는 관대를 믿고 술토를 형벌하며, 술토는 천형天刑을 믿고 미토의 정왕을 형벌한다.”(上位在戌 寄旺四季 正旺在未 未恃旺而刑丑之冠帶 丑恃冠帶而刑戌 戌恃天刑而刑未之正旺)라고 한다. 육임은 미토를 장생으로 보기도 하고, 정왕으로 보기도 하는 듯하다. 오행대의는 후자를 취한다.
오행대의의 논생사소論生死所는 다음과 같다. “만일 왕상王相과 생사生死의 처소를 정위定位하여 논하면, 모두 늦여름 6월을 토왕土王의 시기로 삼는다. 예기禮記에 이르기를, ‘중앙토中央土는 늦여름 이후에 있다.’라고 한다. 이는 곧 1년의 절반이고, 사시四時의 중앙에 머물러 있다. 천사天社와 지신地神 인귀人鬼도 또한 모두 미에 있고, 곤괘坤卦도 또한 미에 있으며, 곤괘는 토를 주관한다. 이 때문에 이르기를, ‘토는 미에서 포덕布德하고, 축에서 종명終命한다.’라고 한다. 역경의 곤괘 괘사卦辭에 이르기를, ‘서남西南에서 벗을 얻고, 동북東北에서 벗을 잃는다.’라고 하니, 이는 바로 토왕은 미토로 결정되어 있고, 묘는 진토로 결정되어 있음이 명백하다.”(若論定位王相 及生死之處 皆以季夏六月爲土王之時 禮記云 中央土在季夏之後 此則歲之半 處四時之中央 天社地神人鬼 又並在未 坤亦在未 卦主於土 故云 土德於未 終於丑 易曰 西南得朋 東北喪朋 此則明土王定在於未 墓定在辰也) 이 쇠락衰落의 형은 삼형의 총상總相이다.
2. 제어制禦의 형
본문: 둘째 제어制禦의 형이란 십간十干을 말한다. 시진時辰이 와서 일간日干을 극하면 역란逆亂이 되며, 이 때문에 가형加刑하여 이 역란을 제어하는 것이다. 무릇 간형干刑을 받으면, 전쟁은 그 천간 아래에서 나오지 않는다. 갑형甲刑은 신금에 있고, 을형乙刑은 유금에 있으며, 병형은 자수에 있고, 정형은 해수에 있으며, 무형은 인목에 있고, 기형은 묘목에 있으며, 경형은 오화에 있고, 신형은 사화에 있으며, 임형은 술토에 있고, 계형은 미토에 있다.(制禦之刑者 謂十干也 辰來克日爲逆亂 故加刑以制禦之 凡干刑所加 戰爭不出其下 甲刑在申 乙刑在酉 丙刑在子 丁刑在亥 戊刑在寅 己刑在卯 庚刑在午 辛刑在巳 壬刑在戌 癸刑在未)
나의 견해: 이 제어制禦의 형은 지형천간支刑干干과 동일하다. 이에 해설을 생략한다. 다만 명리에 천동지정설天動地靜說이 제어의 형에는 적용되지 않는 듯하다. 가령 갑형甲刑은 신금에 있다면, 지지 신금이 천간의 갑목을 제어하여 작용하지 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불손不遜의 형
본문: 셋째 불손不遜의 형이란 십이지를 말한다. 그 대의는 3개 단락이 있다.(원주. 병형丙刑은 자수子水와 임수壬水에 있고, 정형丁刑은 해수亥水와 계수癸水에 있으며, 경형庚刑은 오화午火와 병화丙火에 있고, 신형辛刑은 사화巳火와 정화丁火에 있다.)[不遜之刑者 謂十二支也 義有三段(丙刑在子壬 丁刑在亥癸 庚刑在午丙 辛刑在巳丁)]
나의 견해: 불손不遜의 형의 3개 단락은 인사신과 축술미 그리고 자묘형을 말한다. 그리고 원주는 해자수亥子水와 사오화巳午火의 음양을 임자와 계해 그리고 병오와 정사 등 천간과 지지를 동일하게 규정하고 있다. 육임이나 기문 육효 등은 지지 수화水火의 음양이 명리와 다르다.
1) 무은형無恩刑 인사신寅巳申 삼형
본문: 첫째 인형사寅刑巳와 사형신巳刑申 신형인申刑寅은 무은無恩의 형이다. 인목 중에 잡화雜火는 사화 중에 잡금雜金을 돌보지 않기 때문에 인목이 사화를 형벌함을 알 수 있다. 사화에 경금이 장생하지만, 또 폐습을 본받아 사화 안에 잡토雜土는 신금 중에 잡수雜水를 돌보지 않기 때문에 다시 나아가 신금을 형벌한다. 신금은 사화를 앞세우고 생지 사화 안에 무토가 인중갑목寅中甲木에 형별 받는 것을 보고, 이 때문에 또다시 나아가 인목을 형벌한다. 이는 무은의 형이 되기 때문이다.(第一 寅刑巳 巳刑申 申刑寅 爲無恩之刑 言寅中有雜火 不恤巳中雜金 故寅刑巳 巳生庚金 又效尤巳裏之雜土 不恤申中之雜水 故水往刑申 申立下巳 見所生巳裏之土被寅刑 故又往刑寅 此爲無恩之刑也)
나의 견해: 인신사해寅申巳亥의 지장간은 순잡純雜으로 표기한다. 가령 인목의 경우 지장간에 무병갑戊丙甲이 있는데, 본기本氣 갑목을 순목純木이라 일컫고, 중기中氣 병화를 잡화雜火라 일컫는다. 사화 중에 잡금雜金은 경금이고, 사화 안에 잡토雜土는 무토이며, 신금 중에 잡수雜水는 임수이다. 이하동문이다.
육임은 삼형을 논하면서 그 지장간 중에 잡간雜干을 취한다. 그러나 명리서는 순간純干과 잡간을 모두 취하지만, 순간을 먼저 취하여 정형正刑으로 삼고, 잡간을 다음 취하여 부형副刑으로 삼는다. 인사신 삼형의 순간은 아래와 같다.
요중寥中의 오행정기五行精紀 제25권 중에 논삼형論三刑을 인용한다. “둘째는 무은형無恩刑이라 말한다. 인목은 사화를 형벌하고, 사화는 신금을 형벌하며, 신금은 인목을 형벌하는 것이 이것이다. 대개 인목 중에 있는 갑목은 사화 중의 무토를 형벌한다. 무토는 적취積聚한 토로 계수와 상합相合하여 지어미를 삼는다. 그러나 계수로 말하면 갑목의 모친이고, 무토도 이미 계수의 지아비가 되면, 바로 갑목의 부친이다. 그 부친을 내가 형벌한다면, 은혜를 곧 잊어버린 것이니, 이 때문에 무은형이라 말한다. 사화 중에 병화는 신금 중에 경금을 형벌하고, 신금 중에 경금은 인목 중에 갑목을 형벌한다. 이를 의거하라. 뜻은 동일하다.”(二曰無恩刑 寅刑巳 巳刑申 申刑寅 是也 蓋寅中有甲木 刑巳中之戊土 戊土土聚 以癸水相合爲妻 則癸水者 甲木之母也 戊土既爲癸水之夫 乃甲之父也 彼父而我刑之 恩斯忘矣 故曰 無恩刑 巳中之丙 刑申中之庚 申中之庚 刑寅中之甲 准此同義)
옥소보감玉霄寶鑒에 이르기를, “인목은 장생長生 병화가 있는데 사화 중에 장생 경금을 형벌하고, 사화 중에 기생寄生하는 무토가 있는데 신금 중에 임수를 형벌하며, 신금 중에 장생 임수는 인목 중에 장생 병화를 형벌한다. 장생 처소를 돌보지 않고 서로 번갈아가며 극제하며, 이 때문에 무은형이라 말한다.”(玉霄寶鑒云 寅有生火 刑巳上生金 巳上有寄生之土 刑申之水 申中生水 刑寅中生火 不恤所生 遙相克制 故曰無恩刑)
인사신 삼형 중에 인형사寅刑만 자세히 설명하고, 사형신巳刑申과 신형인申刑寅은 미루어 짐작하라고 했다. 경금은 을목을 지어미로 삼고, 을목은 병화의 모친이고 보면, 경금은 병화의 부친이다. 사중병화는 자기 부친 신중경금을 형벌하는 것이다. 또한 갑목은 기토를 지어미로 삼고, 기토는 경금의 모친이고 보면, 갑목은 경금의 부친이다. 신중경금은 자기 부친 인중갑목을 형벌하는 것이다. 이 때문에 배은망덕背恩忘德한 무은형이라 한다.
2) 시세형恃勢刑 축술미丑戌未 삼형
본문: 둘째는 시세恃勢의 형이란 것이니, 미토가 장생長生을 믿고 축토의 관대冠帶를 업신여기며, 이 때문에 미토는 축토를 형벌한다. 축토는 관대를 믿고 술토가 먼저 형벌 받음을 업신여기며, 이 때문에 축토는 나아가 술토를 형벌한다. 술토는 다시 그 분노를 옮겨 화풀이해야 하는데, 스스로 순수旬首 갑술임을 믿고 나아가 순말旬末 계미를 형벌한다. 이는 시세의 형이 된다.(第二恃勢之刑者 言未土恃長生 而欺丑之始冠帶 故未刑丑 丑恃冠帶 而欺戌土之先被刑 故丑往刑戌 戌再遷其怒 自恃旬首甲戌 而往刑旬末癸未 此爲恃勢之刑)
나의 견해: 사계토의 생사는 위에서 설명했다. 갑술순은 갑술 을해 병자 정축 무인 기묘 경진 신사 임오 계미이다. 갑술이 순장旬將이고 계미는 말단이다.
오행정기를 인용한다. “셋째는 시세형恃勢刑이라 말한다. 축토는 술토를 형벌하고, 술토는 미토를 형벌하며, 미토는 축토를 형벌한다. 대개 축토 중에 왕수旺水가 있으니, 축토는 바로 수중지토水中之土이기 때문이다. 술토는 묘화墓火가 있다. 축토는 왕수를 믿고 술토 중에 묘화를 형벌한다. 술토는 육갑六甲의 지존이고, 미토는 육계六癸의 비천자卑賤者이다. 술토는 육갑의 지존을 믿고 미토 육계의 비천卑賤을 형벌한다. 미토는 왕토旺土가 있다. 다시 왕토의 기세를 믿고 축토 중에 수를 형벌한다. 제각기 믿는 곳이 있어서 서로 형벌하며, 이 때문에 시세형이라 한다.”(三曰 恃勢刑 丑刑戌 戌刑未 未刑丑 蓋丑中有旺水 丑乃水中之土也 戌有墓火 丑恃旺水刑戌中之墓火 戌爲六甲之尊 未爲六癸之卑 戌恃六甲之尊而刑未六癸之卑 未有旺土 復恃旺土之氣 刑丑中之水 各有所恃而相刑 故曰恃勢)
옥소보감玉霄寶鑒에 이르기를, “미토는 정화丁火의 세력을 믿고 축토 중에 금을 형벌하고, 축토는 왕수旺水의 세력을 믿고 술토 중에 화를 형벌하며, 술토는 신금辛金의 세력을 믿고 미토 중에 목을 형벌한다. 이 때문에 시세형이라 말한다.”(玉霄玉鑒云 未恃丁火之勢 以刑丑中之金 丑恃旺水之勢 以刑戌中之火 戌恃辛金之勢 以刑未中之木 故曰恃勢刑)라고 한다.
“미토는 축토를 형벌한다.”(未刑丑) 시세恃勢를 떠나서 미토와 축토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미토는 정을기丁乙己가 있고, 축토는 계신기癸辛己가 있다. 여기서 본기 기토는 제외하고, 여기와 중기만 서로 비교해보고자 한다. 계형정癸刑丁하고 신형을辛刑乙하고 보면, 미형축未刑丑이 아니고, 축형미丑刑未가 된다.
3) 무례형無禮刑 자묘子卯의 형
본문: 셋째는 무례無禮의 형이란 것이니, 양정陽精은 태양에서 자생自生함을 알 수 있다. 양기陽氣는 자방子方에 있고, 묘방卯方은 일문日門이 되며, 자수子水는 묘부卯父가 된다. 정립鼎立하여 비공卑恭의 예가 없으며, 그래서 묘자卯子를 무례의 형이라 한다. 익봉전翼奉傳에 이르기를, “자는 탐랑貪狼이고, 묘는 음적陰賊이다.”라고 한다. 왕자王者는 실령失令한 시진을 꺼린다. 진토와 오화 유금 해수는 자형自刑한다. 그 뜻은 위에서 드러냈다.(第三無禮之刑者 言陽精自生日 陽氣在子 而卯爲日門 子爲卯父 鼎立無卑恭之禮 是以卯子爲無禮之刑也 翼奉傳曰 子爲貪狼 卯爲陰賊 王者爲忌失之辰 辰午酉亥自刑 義見上矣)
나의 견해: 자방 자수의 양기와 묘부 그리고 묘방의 일문 셋을 정립으로 보았다. 나는 아는 것만 해설하고, 모르는 것은 그냥 그대로 놓아둔다.
다시 오행정기를 인용한다. “형은 네 종류가 있다. 첫째는 무례형無禮刑이라 말한다. 자수는 묘목을 형벌하고, 묘목은 다시 자수를 형벌한다. 대개 자방은 양정陽晶을 시생始生하고, 묘방은 일문日門이다. 양이란 군왕이고, 지아비이다. 세력이 양립兩立하지 못한다. 또 자는 수水이고, 묘는 목木이다. 자모子母의 도리가 있으련만, 두 양陽이 경쟁함으로 인하여 돌보지 않는다. 이로 인하여 상생相生이 서로 번갈아가며 형해刑害한다. 이 때문에 무례형이라 말한다.”(刑有四種 一曰無禮刑 子刑卯 卯復刑子 蓋子爲生陽晶 卯爲日門 陽者 君也 夫也 勢不兩立 又子者 水也 卯者 木也 有子母之道 因兩陽之競不恤 所以相生遞相刑害 故曰 無禮刑)
옥소보감玉霄寶鑒에 이르기를, “묘는 일문이고, 자는 양기가 시생하는 곳이며, 해는 묘방에서 뜨고, 자子와 묘卯는 각립대좌角立對坐하니, 흠비欽卑하는 도가 없으며, 이 때문에 무례형이라 말한다.”라고 한다.(玉霄寶鑒云 卯爲日門 子爲陽之所生 日出於卯 子卯角立 無欽卑之道 故曰無禮刑)
흠비欽卑의 흠欽은 공경하다 삼가다 굽다 굽히다 등의 뜻이 있다. 곧 흠비는 상대방을 공경하며 자기 몸을 낮춘다는 뜻이다. 흠비지도欽卑之道는 위에서 말한 비공지례卑恭之禮와 같고, 겸비지도謙卑之道와 그 뜻이 같다.
4) 진오유해辰午酉亥 자형自刑
진오유해 자형에 대하여 하나의 장으로 해설한 사례는 드문 것 같다. 오행정기는 이를 넷째 형으로 정리하고 있다. 아래와 같다.
“넷째는 자형自刑이라 말한다. 진토와 오화 유금 해수가 그러하다. 진토는 수의 묘고墓庫라 넘칠 정도로 가득차고, 오화는 화의 왕지旺地라 극성한 채 소멸하며, 유금은 금의 왕지라 강강剛强하여 이지러지고, 해수는 목의 장생지長生地라 너무 많아서 뿌리가 썩는다. 각각의 곳집이 이미 태과太過한 기氣가 극심하여 스스로 앙화를 초치招致하며, 이 때문에 자형이라 말한다.”(四曰自刑 辰午酉亥 是也 辰者 水之墓也 滔則盈 午者 火之旺也 盛則滅 酉者 金之旺也 剛則闕 亥者 木之生也 旺則朽 各稟已甚太過之氣 而自致禍也 故曰自刑)
나의 견해: 신자진 수국이 인묘진 방국을 형벌하여 진진 자형이 발생한다고 한다. 묘고墓庫는 묘와 고로 나누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오행대의는 묘墓와 같은 개념으로 고庫는 쓰이지 않는다. 그러나 오행정기는 논고묘論庫墓라는 장이 있고, 삼명통회도 논잡기論雜氣의 장을 마련하여 묘고를 함께 쓰고 있다.
오행대의의 묘는 분묘의 개념뿐이다. 이 분묘의 진진 자형에서는 “진토는 수의 묘고墓庫라 넘칠 정도로 가득 찬다.”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이다. 확장된 고장庫藏의 개념이 필요하다. 아마도 수당송隨唐宋 삼대 왕조를 거치는 사이에 묘墓가 고庫로 확장되지 않았을까 추론한다.
4. 자형自刑과 사언절구四言絶句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가고, 수는 흘러가서 지말支末로 달아난다.”(木落歸本 水流趨末) 그리고 “금은 강건剛健하고 화는 강포强暴하여 각자 그 본향本鄕에 귀환歸還한다.”(金剛火強 各還其鄉) 이 16자를 나는 사언절구四言絶句라 명명한다.
자형도 또한 이 사언절구의 산물産物이다. 불가분不可分의 관계가 있다. 옥소보감을 인용한다. “해묘미 목위는 그 형이 모두 북방에 있으며, ‘목은 떨어져 근원에 돌아간다.’라고 말한 것은 근원에 돌아가는 방위이다. 해방亥方은 목의 근원이며, 이 때문에 해수는 해수를 자형하고, 묘목은 자수를 형벌하며, 미토는 축토를 형벌하니, 모두 북방이 형위刑位이기 때문이다.”(亥卯未木之位 其刑皆在北方 言木落歸本者 歸根之位也 亥者木之根 故亥自刑亥 卯刑子 未刑丑 皆北方之位故也)라고 하고, 신자진 수위는 그 형이 모두 동방에 있으며, ‘수는 흘러가서 지말로 달아난다.’라고 말한 것은 반드시 동방으로 떠돌아 흘러가고, 한번 가면 다시는 돌아오지 않는다. 이 때문에 신금은 인목을 형벌하고, 자수는 묘목을 형벌하며, 진토는 진토를 자형하니, 모두 동방이 형위이기 때문이다.“(申子辰水之位 其刑皆在東方 言水流趨末者 必東流遊逝而不返 故申刑寅 子刑卯 辰自刑辰 皆東方之位故也)라고 한다.
사언절구는 인사신 삼형과 축술미 삼형 그리고 자묘 상형을 유발하는 기본인자이지만, 자형에 그 속성이 고스란히 드러난다.
금서명결金書命訣에 자형과 관련하여 제시한 명조가 있다. 아래와 같다.
丁 丙 乙 甲 癸 - 丙 癸 壬 丙
酉 申 未 午 巳 - 辰 亥 辰 午(병신 또는 정유 대운 무자년 43세 종명, 현재라면, 1966. 5. 4. 양력, 0.7대운)
“진오유해는 각각 자형한다. 만일 연월일시에 진오유해 네 자가 모두 보이는 팔자라면 명주에 흉하다. 예컨대 연월은 양에 속하고, 일시는 음에 속하며, 다시 양인을 대동하는 것이라면, 귀천貴賤을 막론하고 틀림없이 선종善終하지 못한다. 가령 병오 양인년 임진월 계해 겁살일 병진시와 같다면, 관직은 전각殿閣에 거처했지만, 43세 무자년 법첩法帖을 모사模寫하다 종명했다.”(辰午酉亥各自刑 若年月日時見四字足者 主凶 如年月屬陽 日時屬陰 更帶羊刃 不論貴賤 須不善終 如丙午羊刃年 壬辰月 癸亥劫殺日 丙辰時 官居殿閣 四十三歲臨法而終)
금서명결金書命訣은 송대에 출간된 오행정기에서 인용한 명서命書이다. “송대 대학사는 모두 전각함殿閣銜을 지니고 다녔고, 그 자질과 인망을 숭상했다. 예를 들면 집현전集賢殿이나 우문전右文殿 등류이다. 송대 이후 대학사는 전각함을 매달았고, 이 때문에 전각이라 호칭하게 되었다.”(宋代大學士皆帶殿閣銜 以崇其資望 如集賢殿 右文殿之類 宋代以後大學士系殿閣銜 故稱爲殿閣) 이를 의거하면 전각殿閣은 문인의 직함이며, 병오생은 대학사인 듯하다.
5. 인사신寅巳申 삼형三刑의 윤회輪廻
삼형 중에 인사신과 축술미는 윤회하며 형살한다. 곧 인→사→신→인의 차례로 형살하고, 축→술→미→축도 또한 그러하다. 아래에서는 인사신 삼형만 논한다. 인사신 삼형과 동일하게 축술미 삼형도 또한 윤회하는 것은 불변이다. 통상 인사신 삼형이 동시 작동할 때에는 신금이 가장 큰 치명상을 입는다고 말한다. 과연 그러한가? 여기에도 또한 착안着眼할 필요가 있다.
오행정기 옥문관집玉門關集에 선박잡先駁雜과 후순수後純粹란 항목이 있다. “예컨대 신유목辛酉木이 계묘금癸卯金을 얻거나 계사수癸巳水가 을해화乙亥火를 얻으면 본래 자체는 무기無氣하지만, 바꾸면 생왕지生旺地에 이른다. 또 예를 들면 금명인金命人이 자년子年 인월寅月 일日에 태어나면 바로 금金이 이미 사절지死絕地이지만, 만일 기유시己酉時를 얻으면 곧 금이 다시 유시酉時에 왕旺하고, 인목은 기토의 천관귀天官貴가 되며, 자수는 기토의 천을귀인天乙貴人이 된다. 또 예를 들면 계사수인癸巳水人이 무인토일戊寅土日을 얻으면 장류수長流水가 성두토城頭土에 제극되지만, 경신목시庚申木時를 얻게 되면 성두토가 오히려 석류목石榴木에 형극刑克되며, 장류수는 도리어 신금申金에 장생한다. 이러한 등류는 모두 이를 본받으라. 이 때문에 먼저는 박잡駁雜하지만 나중에 순수純粹해지면 오행이 더욱 귀격이 된다. 먼저는 순수하지만 나중에 박잡해지는 일은 극력 피해야 한다.”(如辛酉得癸卯 癸巳得乙亥 以本自無氣 而遞至生旺 又如金命人生於子寅月日 則金已死絕 若得己酉時 則金復旺於酉 而寅爲己之天官貴 子爲己之天乙貴人 又如癸巳人得戊寅日 則水爲土所克 及得庚申時 土反爲木所刑克 而水却生於申 此類皆是 故先駁雜而後純粹 爲五行之奇貴 切忌先純粹 而後駁雜)
나의 견해: 선박잡先駁雜과 후순수後純粹는 간지 조합의 묘리妙理이다. 박잡駁雜 또는 잡박雜駁은 자주 쓰이는 말은 아니다. 얼룩말 박駁자이다. 여러 가지가 섞여서 순수하지 않는 것을 박잡이라 한다. 연월을 먼저라 하고, 일시를 나중이라 한다. 또는 연월일을 먼저로 보고, 시진을 나중으로 볼 수도 있다. 하단의 결론은 시진을 중시했다.
먼저 선박잡先駁雜의 사례를 든다. “예컨대 신유석류목辛酉石榴木이 계묘금박금癸卯金箔金을 얻거나 계사장류수癸巳長流水가 을해산두화乙亥山頭火를 얻으면 본래 자체는 무기無氣하다.” 그렇지만 “이를 바꾸면 생왕지生旺地에 이른다.” 신유석류목이 을해산두화를 얻고, 계사장류수가 계묘금박금을 얻는 것이다. 이는 후순수後純粹이다.
己 ○ 丙 甲
酉 ○ 寅 子
다시 선박잡의 사례를 든다. “연주의 납음이 금명인金命人 가령 갑자년 태생胎生이 병인월丙寅月 모일某日에 태어나면 바로 해중금이 사절지死絕地에 있게 된다.” “만일 기유시己酉時를 얻으면 곧 금이 다시 유시酉時에 왕旺하다.” 이는 후순수이다.
거듭 선박잡의 사례를 든다. “계사수인癸巳水人이 무인토일戊寅土日을 얻으면 장류수長流水가 성두토城頭土에 제극된다.” “경신목시庚申木時를 얻게 되면 성두토가 오히려 석류목石榴木에 형극刑克되며, 장류수는 도리어 신금申金에 장생한다.” 이는 후순수이다. 내가 오행정기를 인용하고자 하는 본론이 바로 여기에 있다.
庚 戊 ○ 癸 -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申 寅 ○ 巳 - 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연월일만 놓고 보자. 연지 사화를 월지 인목이 형살하고, 일간 무토도 또한 연간 계수를 극제한다. 이는 고법의 명리로 보면 치명상이 되겠지만, 금법今法의 명리로 보아도 결코 좋지는 않다. 선박잡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천행으로 시주에 신금이 있다. 이 신금이 인목을 형살하여 인목으로 하여금 사화를 형살하지 못하게 한다. 이 때문에 사화는 속박에서 벗어나 해탈한다. 이를 인사신 삼형으로 보고, 신금이 인목과 사화에 형살된다고 보아서는 안 된다.
결론이다. “먼저는 박잡駁雜하지만 나중에 순수純粹해지는 것은 옳고, 먼저는 순수하지만 나중에 박잡해지면 절대 안 된다.”
오행정기에 연이어 다시 삼명통회를 인용한다. “경에 이르기를, ‘무릇 논명論命에 그 형살刑煞의 유무有無를 확정하고자 하면, 먼저 태세太歲를 논해야 한다.’라고 하니, 대개 인명人命에 삼형이 드러남을 꺼려함을 알 수 있다. 만일 월일시月日時에 형살을 대동하지만, 태세는 관여關與하지 않는 명이라면 형살을 논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먼저 태세를 논하라고 말한 것이다. 또 이르기를, ‘형살로 형살을 제지制止하면 대다수는 병형兵刑의 직임職任을 관장한다.’라고 하니, 대체로 태세가 형살을 받지만 또 다른 형살이 바로 태세를 형살하는 자를 제지함과 같음을 알 수 있다. 가령 계사생인癸巳生人이 무인일戊寅日을 얻으면 바로 경신시庚申를 얻는 것과 유사類似하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계사 장류수長流水는 무인 성두토城頭土에 제극되지만, 경신 성류목石榴木을 얻게 되면 오히려 무인 성두토를 극제한다. 본래 형살이 있지만 오히려 형살하지 않으며, 이 때문에 ‘형살로 형살을 제지한다.’라고 말한 것이다.”(經云 凡命定其無刑 先論太歲 蓋言人惡見三刑 若月日時帶煞而太歲不干預者不論 故曰先論太歲 又云 以煞止煞 多掌兵刑之任 蓋言太歲受刑而別刑若乃制刑太歲者 假令癸巳生人得戊寅日 卻得庚申時之類 蓋癸巳爲戊寅所制 得庚申木卻制戊寅之土 本有刑而卻無刑 故曰以煞制煞)
나의 견해: 태세太歲의 원의는 간지를 관장하는 천신天神을 말한다. 곧 태세신太歲神이다. 또 인월寅月을 태세라 말하기도 한다. 이아爾雅 석천釋天에 의하면, “태세가 갑에 있으면 알봉閼逢이라 말하고, 을에 있으면 전몽旃蒙이라 말하며, ... 계에 있으면 소양昭陽이라 말한다. 인에 있으면 섭제격攝提格이라 말하고, 묘에 있으면 단알單閼이라 말하며, ... 축에 있으면 적분약赤奮若이라 말한다.”(太歲在甲曰閼逢 在乙曰旃蒙 在丙曰柔兆 在丁曰強圉 在戊曰著雍 在己曰屠維 在庚曰上章 在辛曰重光 在壬曰玄黓 在癸曰昭陽 在寅曰攝提格 在卯曰單閼 在辰曰執徐 在巳曰大荒落 在午曰敦牂 在未曰協洽 在申曰涒灘 在酉曰作噩 在戌曰閹茂 在亥曰大淵獻 在子曰困敦 在丑曰赤奮若)라고 한다. 태초에는 60갑자를 쓰기 이전 22갑자를 썼다고 한다. 곧 22년 12월 22일 주기의 체계이다. 이를 총괄하는 신이 태세이다.
특히 섭제격攝提格을 태세로 보기도 한다. 회남자淮南子 천문훈天文訓에 이르기를, “천제天帝는 8방에 네 모서리(四維)를 확장하고, 이 12방을 두병소지斗柄所指로 하여금 운행하게 한다. 매월 1개 시진時辰을 옮겨가며, 다시 그 처소로 돌아오게 한다. 정월은 두병소지가 인방을 가리키고, 12월은 축방을 가리키며, 1년에 두루 한 바퀴를 돌면 끝마치고 다시 시작한다.”(帝張四維 運之以斗 月徙一辰 復返其所 正月指寅 十二月指丑 一歲而匝 終而復始)라고 한다. 이를 의거하여 “두병이 인방에 돌아오면 건원乾元이 운행을 개시開始한다.”(斗柄回寅 乾元啟運) 또는 “두병이 인방에 돌아오면 일원一元이 다시 시작한다.”(斗柄回寅 一元復始)라고 말하기도 한다. 태세를 섭제攝提라 일컫기도 하는 인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원래 사유四維는 4개 정방正方의 간방間方을 말하며, 4개 정방과 4개 간방을 합하면 8방이 된다. 그러나 나는 위에서 간방의 중심을 사유로 해석하여 12방을 완성했다.
이 태세신이 두병소지로 하여금 12년 주기로 해마다 일정한 방위를 가리키게 하였다고 믿었고, 그 방위의 60갑자를 태세라 말하기도 한다. 금년이 임인년이면 임인이 바로 태세이다. 그러나 사주 원국만 한정하고 보면 연주를 태세라 한다.
“대체로 태세가 형살을 받지만 또 다른 형살이 바로 태세를 형살하는 자를 제지함과 같음을 알 수 있다.” 마침 그 사례로 인용한 간지가 오행정기와 동일하다.
庚 戊 ○ 癸 - 甲乙丙丁戊己庚辛壬癸
申 寅 ○ 巳 - 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가령 계사생인癸巳生人이 무인일戊寅日을 얻으면 바로 경신시庚申를 얻는 것과 유사類似하다.” 오행정기와 동일한 사항을 거듭 삼명통회를 인용한 것은 그 변화과정을 살펴보기를 원했기 때문이다. 이살제살以煞制煞은 이독제독以毒制毒과 같다. 그 부작용은 감당해야 할 것이다.
첫댓글 금서명결金書命訣에 자형과 관련하여 제시한 명조가 있다. 아래와 같다.
丁 丙 乙 甲 癸 - 丙 癸 壬 丙
酉 申 未 午 巳 - 辰 亥 辰 午(병신 또는 정유 대운 무자년 43세 종명, 현재라면, 1966. 5. 4. 양력, 0.7대운)
“진오유해는 각각 자형한다. 만일 연월일시에 진오유해 네 자가 모두 보이는 팔자라면 명주에 흉하다. 예컨대 연월은 양에 속하고, 일시는 음에 속하며, 다시 양인을 대동하는 것이라면, 귀천貴賤을 막론하고 틀림없이 선종善終하지 못한다. 가령 병오 양인년 임진월 계해 겁살일 병진시와 같다면, 관직은 전각殿閣에 거처했지만, 43세 무자년 법첩法帖을 모사模寫하다 종명했다.”
금서명결金書命訣은 송대에 출간된 오행정기에서 인용한 명서命書이다. “송대 대학사는 모두 전각함殿閣銜을 지니고 다녔고, 그 자질과 인망을 숭상했다. 예를 들면 집현전集賢殿이나 우문전右文殿 등류이다. 송대 이후 대학사는 전각함을 매달았고, 이 때문에 전각이라 호칭하게 되었다.” 이를 의거하면 전각殿閣은 문인의 직함이며, 병오생은 대학사인 듯하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임법臨法은 법첩을 임서한다는 뜻인데,
글씨를 쓰다가 저 세상으로 가는 것은 선비들에거 큰 복이라 말할 수도 있겠습니다.
도인 스님들이 좌탈입망한다고 하는 경계에 비할 수도 있겠습
감사합니다.니다.,
@老古山人
적지 않게 의문을 가졌던 명조입니다.
신묘 임진 계사 갑오 을미 병신 정유로 흘러사는데,
그 5~6년 사이에 수십억의 발재가 가능할까?
저는사실을 의심하는 것은 예의가 아니라 생각해서 그만두었습니다.
@老古山人 좋게 보아주셔서 감사합니다.
그런데 금수로 된 세계에서
인중갑목이 어떻게 기상을 발휘할 수 있을까
걱정이 되기는 합니다.
감사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老古山人
상세히 설명해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삭제된 댓글 입니다.
@老古山人 오늘 수고가 매우 많으셨습니다. 감사합니다.
5. 인사신寅巳申 삼형三刑의 윤회輪廻
삼형 중에 인사신과 축술미는 윤회하며 형살한다. 곧 인→사→신→인의 차례로 형살하고, 축→술→미→축도 또한 그러하다. 아래에서는 인사신 삼형만 논한다. 인사신 삼형과 동일하게 축술미 삼형도 또한 윤회하는 것은 불변이다. 통상 인사신 삼형이 동시 작동할 때에는 신금이 가장 큰 치명상을 입는다고 말한다. 과연 그러한가? 여기에도 또한 착안着眼할 필요가 있다.
오행정기 옥문관집玉門關集에 선박잡先駁雜과 후순수後純粹란 항목이 있다. “예컨대 신유목辛酉木이 계묘금癸卯金을 얻거나 계사수癸巳水가 을해화乙亥火를 얻으면 본래 자체는 무기無氣하지만, 바꾸면 생왕지生旺地에 이른다. 또 예를 들면 금명인金命人이 자년子年 인월寅月 일日에 태어나면 바로 금金이 이미 사절지死絕地이지만, 만일 기유시己酉時를 얻으면 곧 금이 다시 유시酉時에 왕旺하고, 인목은 기토의 천관귀天官貴가 되며, 자수는 기토의 천을귀인天乙貴人이 된다. 또 예를 들면 계사수인癸巳水人이 무인토일戊寅土日을 얻으면 장류수長流水가 성두토城頭土에 제극되지만, 경신목시庚申木時를 얻게 되면 성두토가 오히려 석류목石榴木에 형극刑克되며,
이상을 원문에 추가했습니다.
특히 섭제격攝提格을 태세로 보기도 한다. 회남자淮南子 천문훈天文訓에 이르기를, “천제天帝는 8방에 네 모서리(四維)를 확장하고, 이 12방을 두병소지斗柄所指로 하여금 운행하게 한다. 매월 1개 시진時辰을 옮겨가며, 다시 그 처소로 돌아오게 한다. 정월은 두병소지가 인방을 가리키고, 12월은 축방을 가리키며, 1년에 두루 한 바퀴를 돌면 끝마치고 다시 시작한다.”(帝張四維 運之以斗 月徙一辰 復返其所 正月指寅 十二月指丑 一歲而匝 終而復始)라고 한다. 이를 의거하여 “두병이 인방에 돌아오면 건원乾元이 운행을 개시開始한다.”(斗柄回寅 乾元啟運) 또는 “두병이 인방에 돌아오면 일원一元이 다시 시작한다.”(斗柄回寅 一元復始)라고 말하기도 한다. 태세를 섭제攝提라 일컫기도 하는 인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원래 사유四維는 4개 정방正方의 간방間方을 말하며, 4개 정방과 4개 간방을 합하면 8방이 된다. 그러나 나는 위에서 간방의 중심을 사유로 해석하여 12방을 완성했다.
이상은 수정한 부분입니다.
제와하고 를 제외하고 로 수정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