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조각품의 숭고미 ‘반가사유상’
'반가사유상'은 왼쪽 다리 무릎 위에 오른쪽 다리를 올린 이른바 반가(半跏)한 자세에 오른 뺨에 오른쪽 손가락을 살짝 대어 마치 사유하는 듯한 자세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형식의 불상은 인간의 생로병사를 고민하여 명상에 잠긴 싯다르타 태자의 모습에서 비롯된 것으로 인도의 간다라나 중국 남북조 시대의 불전(佛傳) 부조 중에서 종종 등장한다.
중국에서 반가사유상은 5~6세기에 주로 만들어졌으며, ‘태자상(太子像)’ ‘사유상(思惟像)’ ‘용수상(龍樹像)’ 등의 명칭으로 기록되어 있다. 우리나라에는 6~7세기에 크게 유행하였으며, 일반적으로 미륵보살(미래의 부처)이라는 설이 대중적이다. 우리나라의 반가사유상은 이후 일본의 아스카, 하쿠호시대 반가사유상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 반가사유상을 미륵보살로 보는 인식은 신라에서 특히 성행하였는데, 당시 신라에 미륵신앙이 유행하면서 반가사유상이 미륵보살로 만들어졌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으면서 이와 같이 불려지게 된 것이다. 그러나 반가사유상을 미륵보살로 단정 지어 부르는 것은 문헌적 근거가 많이 약하여 그대로 ‘반가사유상’으로 칭하는 것이 보다 무난하다.
우리나라 국보로 지정된 반가사유상은 3점이다.
○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 :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소장, 삼국 시대(6세기 초반), 국보 78호
○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 : 국립중앙박물관 ‘사유의 방’ 소장, 삼국 시대(7세기 초반), 국보 83호
○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 : 삼성 리움미술관(서울 한남동) 소장, 삼국시대 (6세기 후반), 국보 118호
국보 83호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은 크기가 93.5cm로 금동으로 만든 반가사유상 중에서 가장 클 뿐만 아니라, 최상의 아름다움을 뽐낸다. 이 반가사유상은 우리나라 고대 불교조각사 연구의 출발점이자 6, 7세기 동아시아의 가장 대표적인 불교조각품 가운데 하나로 잘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 국보와 보물로 지정된 ‘반가사유상’들은 단순하지만 균형 잡힌 신체, 자연스러우면서도 입체적으로 처리된 옷 주름, 분명하게 표현된 이목구비, 정교하고 완벽한 주조기술, 여기에 더해 얼굴의 잔잔한 미소는 종교의 예배 대상이 주는 숭고미를 더해준다.
<참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출처] 불교조각품의 숭고미 ‘반가사유상’|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