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 기업, 정부 등 다양한 경제주체가 자신의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 참고할 만한 가치가 있는 대상이나 사례를 정하고, 그와의 비교 분석을 통해 필요한 전략 또는 교훈을 찾아보려는 행위를 가리킨다.
토목공사에서 건축물의 높이를 측정하기 위해 세워 둔 쇠막대에서 유래한 용어
기술이 부족했던 과거에는 건축물을 세울 때 그 높이를 정확히 측정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동원된 방법이 건축물 주변에 수치가 매겨진 쇠막대를 세워 두고, 그때그때 높이를 표시해 두는 것이었다. 이렇게 함으로써 작업 진도를 용이하게 파악했고, 표시된 기준점(point of reference)으로부터 얼마나 더 작업을 진척시킬지 계획했다.

과거 토목공사에 사용하던 벤치마크
이때 쇠막대에 표시한 기준점을 지칭하는 용어가 ‘벤치마크(Bench Mark)’이다. 따라서 흔하게 통용되는 ‘벤치마킹(Benchmarking)’이라는 말은 용도가 무엇이든 참고의 대상이나 사례를 특정하는 행위라고 해석할 수 있다.
다양한 벤치마킹의 유형을 살펴보면...
1모범사례 분석(Best Practice Analysis)개별 기업이 특정 분야의 최우수 기업을 비교 대상으로 삼아 자신의 경영 프로세스 및 성과를 평가한 뒤 기업 발전을 위해 혁신이 요구되는 요인들을 찾고자 하는 벤치마킹 방법이다.
2동종기업 벤치마킹(Peer Benchmarking)
개별 기업이 동종 분야에서 사업을 수행하는 경쟁기업을 비교 대상으로 삼아 자신의 사업 경쟁력 이상 유무를 판단해 보고자 하는 벤치마킹 방법이다.
3스왓 분석(SWOT Analysis)
개별 기업이 현재 직면하고 있는 사업 환경 진단 차원에서 자신에게 강점(Strengths), 약점(Weakness), 기회(Opportunities), 위협(Threats)으로 작용할 수 있는 요인들을 도출하려는 벤치마킹 방법이다.
4공동 벤치마킹(Collaborative Benchmarking)
기업들은 대체로 자기가 소속된 업계 공동의 이해관계를 대변하기 위한 이익단체에 회원사 자격으로 가입한다. 협회, 연합회 등이 그것이다. 이러한 단체가 회원사들을 대신해 모범사례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각 회원사가 공유하도록 하는 벤치마킹 방법이다.
벤치마킹의 분야별 사례에는...
1기업경영
1982년 미국 제록스와 영국 랭크의 합작회사인 랭크제록스가 일본 경쟁 기업인 캐논을 특정하고, 품질관리, 원가관리, 디자인, 가격정책, 제조, 마케팅 등 모든 프로세스를 자사와 비교 평가했다. 이는 훗날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벤치마킹을 자사 발전전략 수립에 활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미국 뉴욕에 있는 제록스 타워 ⓒDanielPenfield
2IT산업
IT 분야에서는 그때그때 전자기기의 연산성능 시험 결과를 수치화하여 기록해 둠으로써 추후 성능개선의 기준점으로 삼는 방식으로 벤치마킹을 활용한다. 예컨대, CPU 속도, 그래픽 성능, 메모리(HDD, SDD, DRAM)의 액세스(access) 성능, 배터리 사용시간 등은 그러한 기준점의 사례이다.
3주식시장
주식시장에서는 펀드매니저의 자금운용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벤치마킹을 활용한다. 평가를 위한 기준점은 국내의 종합주가지수(KOSPI)와 코스닥(KOSDAQ) 지수, 미국의 다우존스 지수와 나스닥 지수 등의 변화율이다.

나스닥 로고
즉, 펀드 수익률의 좋고 나쁨을 주가지수 변화에 따라 상대적으로 평가한다는 것이다. 예컨대, 일정 기간 동안의 펀드 수익률이 10%라고 해도 종합주가지수 상승률이 15%라면 펀드 운용을 잘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