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attractive lady recommended me that I should see this movie.
How could I refuse since her appraisal for the movie was so high?!
What kind of movie is it?
A mixed genre of Thriller, Mystery, and Romance,
which is understandable to maximize the audience numbers.
It is a tragic story disguised of the murder mystery,
which in turn ignites into a heart-crunching tragic love story.
It’s the director’s genius in making a murder mystery
and then reveal for an extra-ordinary love story the whole time.
A Labyrinth of Desire was fashioned with romantic fatalism!
While watching the movie,
several classic tragic love stories came to my mind.
The first one is the Puccini’s Opera La Bohème,
A young poor Poet Rodolpho meets a poor seamstress, Mimi.
They are instantly attracted to each other.
However, Mimi ailing with tuberculosis leaves him for a wealthy count.
In the end, Mimi comes back to die in the arms of her true love.
And then the movie Doctor Zhivago comes in my mind.
No need to mention about this movie!
Finally, at the end of the movie, I see a similar match
with the famous movie of Hitchcocks' Vertigo.
Have you seen the movie Vertigo?
L’amour fou (Mad Love) about a detective
who falls in love with a woman, Femme Fatale (Lady fatal),
he thinks he’s lost only to find and lose her again.
The detective Haejoon spends a great deal of time
looking the woman obsessively, infatuated with his hidden emotion.
There are deeper wells of feeling that
blowing minds and shattering hearts.
Artfully unspooling the story of a femme fatale.
A mysterious, beautiful, and seductive woman
whose charms ensnare her lovers,
often leading them into compromising, deadly traps.
She is an archetype of literature and art.
Empathetic detective whose fascination for one another
grows into uncommunicable emotion of something profound.
Such potent, simmering chemistry between them are
beyond enthralling and heart aching…
Because of a large portion of the story is a psychological thriller,
to build the intimacy between a Man (Hae-joon) and a woman (Seo-rae)
requires implicit methods in long scenes
where they just talk and gently reveal
their complex layers to one another.
The peculiar oriental expression of “less is more” style,
with which most of the westerners can’t easily grasp,
is seen explicitly to the very last scene of waling ocean wave
where all the human emotional complexity came from…
About the English title as ‘Decision to leave’,
I don’t like it to be honest.
After watching the movie, I’d love to change the title as
“Departing Minds” or at least “Decisions to depart”.
Or, like ‘El Tiempo para salir’ in Spanish to ‘Time to leave’,
Applying for both of the lovers standpoints…
A good movie without a good theme music is unthinkable.
There it is a duet song of Jung Hoonhe and Song Changsik.
That is Director’s shrewd inception of a Cannot-fail-Movie.
A Misty song of 'In the Mist’...
P.S.
안녕하세요?
세해는 잘 맞이하셨나요?
헤어질 결심이란 영화가 주는 여운이 마치 주제곡 안개처럼
깊고 아련한 감을 주는군요.
영화라는 속성 자체가 우리 자신을 주인공 연인들 사이로
투사(Projection)케 해서 공명과 공감을 주기 때문에
대리 만족(Substitute Satisfaction)감도 또한 큰 모양입니다.
사랑은 흔히들 속말로 손해보는 장사라고들 하지요?
내가 상대보다 더 많은 사랑을 하고 있다는 감정?
해서 연인들은 충족되지 못하고 잃어버린
사랑에 더 연연하는 가 봅니다.
이루어지지 못한 사랑이기에 무한한 추측과 아쉬움으로
희뿌연 안개속을 헤매게 하는 가 봅니다.
이제 안개처럼 허뿌연 흰머리가 내려 앉는 이 나이에
영화속의 선남선녀 주인공들의 애처로운 사랑 이야기가
그렇게 아쉬운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여전히 가슴이 에이는 여운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요…?
마침 오늘 아침엔 안개가 너무 자욱해서
집 근처의 안개 자욱한 아라비아 산을 오릅니다.
짙은 안개에 산 언저리에 차를 세우고
잠시 산을 오를까 포기를 할까 망연자실하게
차창에 비쳐지는 연무 깊어진 산기슭을 바라 봅니다.
펼쳐진 손가락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더 진해지는 안개속에서 한참을 망설이다가
이 고민이 저 고민을 낳기에 그냥
아무 생각없이 호기를 부려 정상을 향합니다.
올려다 보는 가는길도 뒤돌아 보는 올라온 길도
희미하기는 매 마찬가지여서
마치 과거와 미래가 지금 현재의 이순간과
아무런 구별이 없는 같은 순간의 연속같은 착각이 듭니다.
한발짝 걸으면 미래의 길이 열리고
순간 고개를 돌려 뒤돌아보면 지나온 길이 어느새 사라지는
순간과 찰라가 미래와 과거 사이를
아무런 장애없이 오고 갈 수있게 하는 것은
바로 이 안개 때문 아닐까요...?
집안에서의 일상이 주는 안주 속에서
알 수 없는 어떤 부름과 외침을 따라 뛰쳐 나와
한걸음 한걸음, 낮고 낮게, 깊고 깊게,
자신의 내면과 진솔한 대화가 필요한 건 아닐까요…?
삶이 주는 또다른 이끌림에 홀려서
또다시 길을 나서는 것은 아닐까요…?
풀잎처럼 연약하고 한순간에 말라 소멸하는 미약한 존재가
한없이 짧은 삶속에서 애써 이 한치 앞 길을
농무짙은 안개 길을 나서는 이유가
미래와 과거가 얽히고 역사와 시간이 설키는
거대하고 숨막히는 운명이란 순환의 쳇바퀴에서 뛰쳐나와
이 작은 삶의 불꽃이 아직도
내 안에서 환히 타오르고 있음을 실감하고
내 연약하고 초라한 존재가 아직도
어쩌면 무한한 가치가 있음을 알리려고
높은 산 정상에 올라 소리 없는 깃발을
미친듯이 져어대는 행위같은 것은 아닐까요…?
영화속의 서래같은 여인은 모든 삶의 근원이 파도치는 바다로
몸을 던져 또 다른 자신의 사랑을 찾아가는
자신이 살아가는 존재에 대한 애쳐로운 부르짖음 같은 것이 아닐까요…?
오늘 같이 바람불고 짙은 안개가 난무하는 겨울 민둥산 위에서
볼 수있는 것이란 철 지난 화려한 빛과 수천의 색상의 장관도 아닌
지금까지 허덕이며 살아온 내 삶이
힘들고 애처롭고 서럽고 외로워서가 아닌
그냥 앞으로 남아있는 삶도 지난 삶처럼 슬프기도 했지만
그래도 여전히 아름다울 것이라는
자신과의 약속을 하는 행위는 아닐까요…?
아직도 안정과 외로움을 기묘히 피해가는 이 노땅과는 달리
그 여인 서래는 홀로임이 더 이상 두렵지 않아
격량의 안개 깊은 대해로 용감히 몸을 내던진 것은 아닐까요…?
Life is So Strange...
헤르만 헤세의 안개를 소개합니다.
정윤희의 외로운 안개가 가버린 사랑에 대한 회상이라면
헤세의 안개는 홀로 된 사랑이 홀로 된 또 다른 사랑을
인정해 주는 농익은 외로움이란 존재 본연의 고독,
그 아름다움을 엿보게 해주는 것 같기도 해서
독일어 원문을 직역을 해 보았읍니다.
Im Nebel (안개속에서) - Hermann Hesse
Seltsam, im Nebel zu wandern! (이상하지, 안개속을 헤매다 보면!)
Einsam ist jeder Busch und Stein, (숲과 돌이 저마다 홀로이고)
Kein Baum sieht den andern, (나무도 서로가 보이질 않네,)
Jeder ist allein. (모두가 홀로이네)
Voll von Freunden war mir die Welt, (친구들로 가득찬 나의 세상이란,)
Als noch mein Leben licht war; (내 인생에 아직 빛이 있을 때였지;)
Nun, da der Nebel fällt, (이제, 안개가 내리면),
Ist keiner mehr sichtbar. (아무도 보이지 않네).
Wahrlich, keiner ist weise, (진정, 아무도 현명하지 못하네),
Der nicht das Dunkel kennt, ( 어둠을 모르는 사람들이여),
Das unentrinnbar und leise (피할 수 없고도 조용히)
Von allen ihn trennt. ( 모두가 홀로이지 않는가).
Seltsam, im Nebel zu wandern! ( 이상도 하지, 안개속에서 걷노라면!)
Leben ist Einsamsein. (삶은 농익은 외로움이다.)
Kein Mensch kennt den andern, ( 아무도 서로를 알지 못하네)
Jeder ist allein. (서로 홀로이네)
첫댓글 A movie mysteriously submerged in FOG.
Fog between Haejoon's suspicion on Seorae and Haejoon's attention on Seorae
Fog between the mountain where Seorae's husband died from a fall and the sea where two lovers take their own lives
Fog between green forest and blue sea
Fog between original language and translated language with Seorae's phone
Fog between murder and dignity
Fog between straight posture (꼿꼿함) and collapse (붕괴)....
I think there are plenty rooms that are to be fulfilled by each moviegoers.
For me, the articulation of Seorae's "마침내" "내가 그렇게 나쁩니까" resonate long.... ^-^;;
Thanks for the razor thin analysis between lovers' affairs.
The main difference between fog and mist.
When visibility is less than 1 kilometer (0.6 miles), the phenomenon is called fog.
When it is more than 1 kilometer, it is called mist.
In short, fog is much thicker than mist.
To me, fog is physical, and mist is rather psychological.
Finally!
Am I that bad?!
How could anyone understand completely the implication between lovers' secret language^^
Thanks for the nice comments!
Ummmmm ...
The picture attached at the bottom in your article reminds me of the background scene
covered at the beginning part of the music video “Imagine"sung by John Lennon.
https://youtu.be/ugrAo8wEPiI
PLAY
Imagine there's no heaven
It's easy if you try
No hell below us
Above us only sky
Imagine all the people
Living for today
I...
Imagine there's no countries
It isn't hard to do
Nothing to kill or die for
And no religion too
Imagine all the people
Living life in peace
You...
Don't you love the lyric?!
Thank you very mu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