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란? |
목은 7개의 뼈로 이루어져 있는데 그 뼈 사이에는 추간판(디스크)이 있습니다. 이 디스크는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고 무게와 충격을 견디어 낼 수 있는 수분을 함유한 충격을 흡수 할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추간판(디스크)이 노화에 따라 수분이 손실되고 추간판(디스크)을 싸고 있는 막이 손상되고 섬유가 찢어져서 안에 들어 있는 내용물인 수핵이 빠져 나온 상태를 목 디스크(경추 추간판 탈출증)라 합니다.
목 디스크의 원인은 ? | 디스크가 생기는 가장 큰 원인은 잘못된 생활 습관에 의한 목뼈의 변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공부할 때나 책상 앞에서 근무를 할 때의 잘못된 자세, 고개를 앞으로 숙이는 걷는 동작, 높이가 맞지 않는 베개를 베고 자는 습관 등이 직접 목의 손상을 줄 수 있는 큰 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고개를 앞으로만 숙이고 생활하는 잘못된 자세는 목, 어깨 근육을 긴장시켜 목, 어깨의 통증, 만성피로, 두통 등을 유발하고 목뼈의 정상 만곡이 변형되어 앞 쪽으로 꺾이게 되고, 고개 숙이기가 계속되면 언젠가는 디스크 증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특히 경미한 교통사고에도 쉽게 나타나며 장시간 고개를 앞으로 숙여야 하는 학생과 직장인들 뿐 아니라 올바르지 못한 자세로 생활하는 사람들 에게서 목 디스크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목 디스크의 증상은? | 목 디스크의 초기 증상으로는 목을 움직일 때마다 통증을 느끼고 뻣뻣해지고 양쪽 어깨가 무겁고 쑤시는 듯한 통증이 생깁니다. 보통 C4-5 부위에서는 어깨와 삼각근의 통증이, C5-6 부위에서는 상지와 엄지, 검지 손가락의 통증과 감각 이상, 이두박근의 운동 약화가 나타나며, C6-7 부위에서는 검지와 중지의 감각 이상과, 삼두박근의 운동약화가 나타납니다.

목 디스크 의 진단은 어떻게 할 수 있나요 ? | 진단은 앞에서 말한 증상으로도 어느 정도 가능하며 방사선학적 검사로 확진이 가능합니다. 과거에는 일반 X-ray 만으로 진단을 했기 때문에 정확하게 진단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CT 검사로 더욱 정확하고 쉽게 목 디스크의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CT는 종, 횡으로 잘라서 볼 수 있고 신경과 디스크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디스크에 의해서 신경이 누른 모습을 직접 볼 수가 있고 조영제 를 주입하여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MRI는 뼈와 신경, 디스크를 완전히 구분하여 보여 주기 목 디스크의 진단을 더욱 세밀하고 쉽게 할 수 있습니다..

목디스크 환자의 경추 단면
|
 |
 |
정상인과 목디스크 환자의 MRI 비교 |
목 디스크 환자의 CT 사진 |
목 디스크 의 치료 방법은? | 진단은 앞에서 말한 증상으로도 어느 정도 가능하며 방사선학적 검사로 확진이 가능합니다. 과거에는 일반 X-ray 만으로 진단을 했기 때문에 정확하게 진단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CT 검사로 더욱 정확하고 쉽게 목 디스크의 진단을 할 수 있습니다. CT는 종, 횡으로 잘라서 볼 수 있고 신경과 디스크가 서로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디스크에 의해서 신경이 누른 모습을 직접 볼 수가 있고 조영제 를 주입하여 더욱 선명하게 볼 수 있습니다. MRI는 뼈와 신경, 디스크를 완전히 구분하여 보여 주기 목 디스크의 진단을 더욱 세밀하고 쉽게 할 수 있습니다..
1. 보존적 치료 방법 보존적 요법으로는 증세가 가벼운 경우에는 신체활동을 제한하거나 목에 보조기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좋은 효과를 볼 수가 있습니다. 물리치료 방법으로 경추 견인 장치를 이용하여 일정량의 무게로 경추 견인을 실시하는데 이는 척추간공 의 확대와 신경압박을 감압시키기 위함입니다. 그 외에 방법으로는 전류를 이용한 경피적 전기 자극법(TENS), 간섭전류치료(ICT), 초음파 치료 등을 이용하기도 합니다. 물리치료와 병행하여 약물치료로는 근 이완제와 진통소염제를 사용하여 척추주위의 근육의 경련을 치료 함으로써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과 TNF-α 차단제 투여를 통한 디스크 주사치료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물리치료 및 약물치료를 최소 2-3주간 정도 시행하여도 전혀 증상의 호전이 없거나 신경학적 마비 증상 등이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2. 수술적 치료방법 지금까지의 목 디스크 수술은 척추가 튼튼하게 안정되고 신경이 눌리지 않는 것에만 치중하였고 그렇게 하는 것이 최상의 방법이라고 여겨져 왔습니다. 그러나 목 디스크도 분명히 목 운동에 관여하는 관절이므로 관절을 고정시킴으로 인해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였습니다. 근래에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경추 관절을 보존 하기 위한 노력이 세계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습니다.
과거에는 육안이나 확대경으로 보면서 목의 앞쪽에서 접근하여 디스크를 전부 제거하고 뼈를 이식하여 목뼈를 붙이는 수술법이 시행되었습니다. 뼈 이식을 하면 뼈가 붙을 때까지 고정장치를(내부 또는 외부에) 3개월 정도 착용하여야 합니다. 수술이 비교적 쉽고 짧게 걸리지만 수술부위 목관절이 기능을 잃어 목 운동이 제한되고 위아래 인접디스크에 무리를 줄 수 도 있습니다.

최근에는 현미경과 미세수술기구가 발전하면서 전방경유 미세 현미경을 사용한 목 인공디스크 치환술이 개발되어 좀더 안전하고 정교하게 수술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목 인공디스크 치환술은 환자가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목의 앞쪽으로 들어가 통증의 원인이 되는 튀어나온 목 디스크를 제거하고 그 자리에 인공적으로 만든 새로운 디스크를 삽입하는 최첨단의 목디스크병 수술법 입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