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장부호 쓰기
(1) 문장 부호는 한 글자로 취급하므로, 한 칸에 하나씩 표기한다.
(2) 온점과 반점을 찍은 다음에는 바로 이어서 글자를 쓴다.
우 |
리 |
|
내 |
년 |
에 |
|
만 |
날 |
|
수 |
|
있 |
겠 |
지 |
. |
그 |
렇 |
게 |
|
믿 |
고 |
, |
바 |
란 |
다 |
면 |
|
이 |
뤄 |
질 |
거 |
라 |
|
생 |
각 |
했 |
다 |
. |
|
(3) 물음표와 느낌표를 쓴 다음에는 한 칸을 띄우고 쓴다.
이 |
거 |
|
먹 |
어 |
도 |
|
되 |
나 |
? |
|
설 |
마 |
! |
|
독 |
이 |
|
든 |
|
건 |
|
아 |
니 |
겠 |
지 |
|
|
|
|
|
|
|
|
|
|
|
|
|
|
(4) 원고지 오른쪽 끝에서 <,>, <.>, <?>, <!>, <"">, <''> 유의점
~까? → 다음의 경우는 다음 줄 첫 칸에 쓴다.
|
착 |
한 |
|
동 |
수 |
가 |
|
어 |
쩌 |
다 |
|
저 |
렇 |
게 |
|
되 |
었 |
을 |
까 |
? |
|
|
|
|
|
|
|
|
|
|
|
|
|
|
|
|
|
|
|
~까?’ → 다음의 경우는 작은따옴표가 있기 때문에 첫 칸을 모두 비우고 쓴다.
(큰 따옴표도 마찬가지)
|
‘ |
우 |
리 |
|
동 |
수 |
|
어 |
쩌 |
다 |
|
저 |
렇 |
게 |
|
되 |
었 |
을 |
까 |
|
? |
’ |
|
|
|
|
|
|
|
|
|
|
|
|
|
|
|
|
|
|
“ |
우 |
리 |
들 |
은 |
|
언 |
제 |
|
수 |
학 |
|
여 |
행 |
을 |
|
갑 |
니 |
까 |
|
? |
” |
|
|
|
|
|
|
|
|
|
|
|
|
|
|
|
|
|
~네!→ 다음의 경우 큰 따옴표가 있으므로 첫 칸을 모두 비우고 씁니다.
|
“ |
그 |
것 |
을 |
|
벌 |
써 |
|
하 |
다 |
니 |
|
참 |
|
부 |
지 |
런 |
하 |
네 |
|
! |
” |
|
|
|
|
|
|
|
|
|
|
|
|
|
|
|
|
|
~봐! → 다음의 경우는 다음 줄 첫 칸에 쓴다.
|
꾸 |
러 |
기 |
|
요 |
|
놈 |
, |
이 |
마 |
에 |
|
땀 |
방 |
울 |
|
좀 |
|
봐 |
! |
|
|
|
|
|
|
|
|
|
|
|
|
|
|
|
|
|
|
|
~다. → 다음의 경우 ‘다.’ 는 한 칸에 쓴다.
|
어 |
서 |
|
세 |
수 |
하 |
고 |
|
밥 |
|
먹 |
자 |
|
학 |
교 |
|
늦 |
겠 |
다. |
~ 고, → 마찬가지로 한 칸에 씁니다.
|
그 |
러 |
자 |
|
동 |
수 |
의 |
|
두 |
|
눈 |
을 |
|
부 |
시 |
게 |
|
하 |
고, |
참 |
새 |
들 |
은 |
|
노 |
래 |
를 |
|
불 |
렀 |
습 |
니 |
다 |
. |
|
|
|
|
|
2) 더 알아보기
(1) 큰따옴표(“ ”), 작은따옴표 → 글이 온점(.)으로 끝날 때는 온점(.)과 따옴표를 한 칸에 쓴다.
|
“ |
자 |
, |
이 |
제 |
|
그 |
만 |
하 |
고 |
|
집 |
으 |
로 |
|
가 |
자 |
.” |
|
|
‘ |
하 |
늘 |
이 |
|
무 |
너 |
져 |
도 |
|
솟 |
아 |
날 |
|
구 |
멍 |
이 |
|
있 |
|
다 |
. ’ |
|
|
|
|
|
|
|
|
|
|
|
|
|
|
|
|
|
(2) 큰 따옴표 : 대화 글에서만 사용하고,
작은따옴표 : 마음속으로 한 말이나 생각할 때,
따온 말 가운데 다시 따온 말과
문장 속에 제목을 따다 넣을 때 쓴다.
(3) 줄임표(……) : 점을 6개 찍고, 한 칸에 3개씩 두 칸에 찍으며 줄임표 끝에
끝났음을 알리는 온점을 반드시 찍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