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구름 : 대기 중의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긴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가 모여 상공에 떠 있는 것을 구름 이라고 한다.
|
(2) |
구름이 생기기 위해서는 공기의 상승 운동이 필요하다.
|
(3) |
구름의 생성 과정 |
① |
공기의 상승 : 공기는 가열되어 스스로 상승하기도 하고 바람에 의해 상승하기도 한다. |
㉠ |
공기는 저기압이 있을 때 상승한다.
|
㉡ |
공기는 바람이 산을 타고 올라갈 때 상승한다.

|
㉢ |
공기는 지표면이 불균일하게 가열될 때 상승한다.

|
㉣ |
공기는 따뜻한 공기와 찬 공기가 만날 때 상승한다.

|
② |
공기의 팽창 : 공기가 상승하면 대기압은 위로 올라갈수록 낮아지므로 공기는 팽창한다. |
③ |
공기의 냉각 : 상승하는 공기는 팽창할 때 주위에 있는 공기를 밀어 내면서 에너지(열)를 소모하므로 냉각된다. |
(4) |
수증기의 응결 : 상승하는 공기는 높이 올라감에 따라 더욱 냉각되어 마침내 포화 상태가 되고 수증기가 응결하기 시작한다.
|
(5) |
구름의 생성 : 이와 같이 만들어진 작은 물방울이나 물방울이 얼어서 생긴 얼음 알갱이가 모여 구름이 된다.

|
(1) |
구름의 모양과 높이에 따라 10종류로 구분한다.
|
(2) |
위로 솟은 구름을 적운형 구름, 옆으로 퍼진 구름을 층운형 구름이라고 한다.
|
(3) |
공기의 상승 운동이 강하면 적운형 구름이, 공기의 상승 운동이 약하면 층운형 구름이 만들어진다. |
(1) |
이슬 : 공기 중의 수증기가 차가운 물체나 풀잎 등의 표면에 닿아 응결하여 물방울로 맺혀 있는 것이다.
|
(2) |
서리 : 기온이 0℃ 이하일 때,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체의 표면에 닿아 직접 얼어붙어 생긴 것이다.
|
(3) |
안개 : 수증기를 많이 포함한 지표면 부근의 공기가 포화되면서 응결한 작은 물방울이다.
|
(4) |
안개와 구름 |
① |
공통점 :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로 되어 있다. |
② |
차이점 |
㉠ |
구름은 공중에 떠 있는 것이고, 안개는 지표면에 닿아 있는 것이다. |
㉡ |
구름은 공기의 상승 운동에 의하여 생기고, 안개는 주로 지표의 냉각에 의하여 생긴다. |
(1) |
구름을 이루는 물질 수직으로 크게 발달한 구름은 높이에 따라 구성 알갱이가 다르다. |
① |
하층 : 기온이 높아 물방울로 되어 있다. |
② |
중층 :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빙정)가 섞여 있다. |
③ |
상층 : 기온이 낮아 얼음 알갱이로 되어 있다. |
① |
눈의 생성 과정 : 구름 속에 물방울과 얼음 알갱이가 함께 있을 때, 물방울에서 증발한 수증기가 얼음 알갱이에 달라붙어서 커지면 눈이 된다. |
② |
비의 생성 과정 |
㉠ |
빙정설 :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진 눈이 지표면 부근의 따뜻한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녹으면 비가 된다는 학설이다.

|
㉡ |
병합설 : 두꺼운 구름에서 빨리 떨어지는 큰 구름 방울이 작은 구름 방울과 충돌하여 커지면서 비가 된다. 열대 지방에서 내리는 비를 설명하는 학설이다.
 |
① |
강우량 : 비의 양만을 잰 것을 우량 또는 강우량 이라고 한다. |
② |
강설량 : 땅에 쌓인 눈의 깊이를 자로 잰 양을 강설량 이라고 한다. |
③ |
강수량 : 우량에다 눈이나 우박 등을 녹인 양까지 합한 것을 강수량 이라고 한다.
|
① |
우박 : 적란운과 같이 상승 기류가 강한 곳에서는 눈의 결정이 차가운 물방울과 충돌하여 커진 지름 5mm 이상의 얼음 덩어리가 만들어지는데, 이것을 우박 이라고 한다. |
② |
우박의 단면 : 우박을 쪼개어 보면 투명한 얼음층과 불투명한 얼음층이 반복되어 있다. |
③ |
우박의 크기 : 우박의 지름은 대개 1cm 미만이지만 밤톨만한 것도 있다. | |
첫댓글 네넨 !! 그렇군여 !!
근데.ㅎ 정말 이러한 물의 순환과정이 성경에 있으니.ㅎ 너무너무 신기해여~ㅎㅎ 성경은 사실이져~ㅎ
그림과 함께 쉽게 설명해주셔서 이해가 잘 되었습니다^^
좋은 정보에요~ 이러한 과학이 성경에 미리 기록되어 있으니 감탄이 나올수 밖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