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 스 )
온천천-영락공원-수영강-임기마을-법기교차로-웅상 회야강 자전거도로-곡천삼거리-석계서원-회야호반
-온산자전거도로-서생포왜성-동해남부선 남창역(약69킬로)
( 후 기 )
부산에 내려온지 3주일째 일요일로 오늘은 온천천에서 시작하여 양산 천성산에서 발원하여 회야댐에서
잠시 강물을 갈무리한후 온산읍과 서생면을 돌아 진하 앞바다에서 동해바다로
합류하는 회야강을 종주할 작정 입니다.
혹시 공유한 정보가 있을까 여러 사이트를 기웃거려 보지만 별소득이 없어 강변길과 마을 안쪽
그리고 주변 답사 예정지를 염두에 두고 코스를 준비하여 동생과 단출하게 출발 합니다.
성탄절이자 일요일 이른 아침 온천천 상류는 운동나온 주민분을 찿아볼수 없습니다.

영락공원묘지 샛길에 도열한 메타세퀘어 숲을 넘으면 금정구민 운동장.
한켠에 동래부사 조재민 선생과 정이검 선생 선정 불망비.


송정마을로 수영강 자전거도로 타고 달립니다.
스포원 경륜장 휴계실에서 잠시 휴식시간을 가지고

송정마을 오일장 인근 노거수 느티나무군락.
울산.양산 .부산 을 연결하였던 교통 중심지로 한때 번창하였다는 오일장은
시대 흐름에 밀려 한가 합니다.

겨울철부터 봄까지 제철로 입맛을 돋구는 임기마을 미나리밭 수확현장

이제부터 혼잡한 웅상대로로 달리는 대신 호젓하다고 여기는 임기마을에서 법기교차로를 넘는
숨어있는 길을 찿아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사전에 희미한 등산로를 확인 하였지만 반신반의하며 만나는 운동골 수목원

성수기 지난 수목원을 오르면 멋진 등산로..
한시름 덜었습니다.

덕계동에서 오늘 종주길 회야강자전거 도로,
독특한 "회야강" 이름은 나로써는 발음하기도 어려워 검색 신공결과
논배미를 돌아돌아 간다 해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합니다.
수변가에 아담한 빨간 가로등은 수도권 한강변에서는 볼수없는 조형미가 뛰어난 작품으로
강원도 태백에서 굽이쳐 동해안 뺴대를 이루며 뻗어온 낙동정맥 일부구간인 영남알프스와
천성산 자락 조망이 일품 입니다.
자전거 코스로도 조망이 꽉 막힌혀 답답한 온천천보다 사시사철에 달랄수있는
특급 코스인것 같습니다.


강변 양안에 깔끔하게 정리된 웅상 화양강 하류방면 자전거 도로.

주남교에서 중식으로 짜장면 한그릇을 비우고,,


웅천교에서 조앙이 시원한 강변뚝방으로 들어서 우연곡절 격은후

내기길 산자락에서 만나는 명품 울주 걷기코스 안내판

석천리 보들에서 회야강 강변 농로는 일주일전 내린호우로 거센물살이 넘쳐 도강을 포기하고
곡천삼거리로 백하여 웅천로따라 오복교를 넘습니다.

석천마을 석계서원.
석계서원은 충숙공 이예를 배향한 서원,
충숙공 이예의 본관은 "학성"으로 오늘날 울산의 학성이라 합니다.
고려 말 태어나 조선 세종 때 7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충숙공은 타고난 외교관으로 조선과 일본을
오가며 왜구에 의해 납치된 우리 백성들을 소환하는 일을 맡아 큰 공을 세웠다 합니다.
또한 출세의 상징이기도 했는데, 중인 계급인 아전에서 시작하여 종2품 벼슬까지 올랐으니
이만하면 요즘 유행어로 "출세의 신"이라 불릴 수 있을 것입니다.
(울산누리 블로거에서 발취 )

석계서원이 있는 이 동내는 옛부터 돌내라고 부른다 합니다.
돌내란 "돌이 많은 내"란 뜻이며 이를 한자로 풀어 표기하면 석계(石溪)

회야강변 누대에 수백년된 소나무 고목과 어울려 우뚝 자리잡은 정자 "재천정"
강변가에 올여름 태풍에 쓸려내려온 쓰레기 잔해가 눈에 거슬리지만
풍경 하나는 일품 입니다.


통천교넘어 이제 본격적으로 회야호변 도로,
한적한 지방도로로 경사도가 완만하여 미벨도 힘들이지않고 모퉁이를 돌면 오르락 내리락
굽이치며 호수가를 진행 합니다.

온산 자전거 도로에서 사전 정보가 없이 만나는 동해안 자전거길

강변에서 세월을 낙는 조사님의 여유로운 풍경

오늘의 마지막 답사처인 서생포왜성을 찿아 달리는
상회마을 강변길

양산 천성산 무지개 폭포에서 발원한 회야강이
동해에 만나는 합수점

임진왜란 당시 가장 무식하고 포악 하였다는 가등청정이 약 5년정도 주둔한 왜성으로
남해안에 남아있는 왜성중 가장 웅장한 규모를 자랑한다는 서생포 왜성,

왜놈 지휘부가 전쟁을 지휘한 장대인 천수각을 답사하기 위해 완벽하게 보존된 남문지를 통과하면
마을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일단 수령을 알수없는 서생포 외성 고목 아래에서 잠시 휴식

회야강 강구의 작은포구를 끼고 해발 133미터 산정상에 자리집은 내성을 답사하기 위하여 안내소에
자전거을 묽어두고 급경사 산비탈로 올라 갑니다.
교활한 왜놈답게 미로같은 소곽을 어지럽게 배치하여 설령 성내로 적이 침입시 방향감각을 잃고
정신이 없을때 공격히기 좋은 축조법 이라 합니다.

내성 정상 5미터 높이의 왜놈의 지휘부 천수각,
이곳에서 박쥐같이 숨은 가등청정이 약 만명정도 왜놈을 지휘하며 우리 국토를 능멸한 현장 입니다.

왜성 성벽에서 동해바다 전망

경사도가 60도 이상인 전형적인 왜성


어둠이 찿아오기전에 서둘러 빠져나와 동문에서 바라본 왜성 전경

남창역으로 무궁화열차를 타기위하여 달립니다.

5시 50분 부전행 무궁화 열차로 무사히 오늘 답사 일정을 마무리 합니다.
아름다운 회야강 자전거도로와 강변길 따라 서생포 왜성에서 마무리한 오늘 라이딩 일정은 부산권 시외코스로
나에게는 올 연말에 보석같은 추억으로 남을것 입니다.
아름다운강산

2016.12.25 서생포.gpx
첫댓글 참.
신선이 되셨네.
어캐 마님 결제가나서 내려온건가?
그림도 좋고
해설도 좋고
잘보고갑니다.
옆에 없어주는것만으로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ㅎㅎ
올겨울은 당분간 예년과 같이 구정전 까지 이곳에서
눈알만 굴릴 작정 입니다..
따뜻한 남쪽나라는 약 올리는것 같지만
너무 좋습니다(?)..ㅎㅎ